목차
1. 시각적 주의
2. 형태지각
1) 0~2개월
2) 2~12개월
3. 안면지각
참고문헌
2. 형태지각
1) 0~2개월
2) 2~12개월
3. 안면지각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음, 신문이나 인쇄물을 색깔 있는 도형보다 더 오랫동안 주시한다. 다시 말해 23개월 된 영아는 복잡한 도형을 더 선호하며,또 복잡한 도형을 색깔 도형보다 더 주시한다는 것이다. Kagan(1978)은 이러한 선호성향이 영아에게 의미 있거나 새로운 형태에 집중하도록 타고난 것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생후 3개월 된 영아를 상대로 한 검사에 의하면,거꾸로 된 얼굴보다는 정상적인 얼굴을 더 오랫동안 쳐다보며 관심을 보이는데 이것은 영아가 정상적인 사람의 얼굴이 어떤 것인지 알고 있다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Dannemiller & Stephens, 1988). 또 다른 연구에서는 비슷한 모습의 다른 여성의 얼굴보다 엄마의 얼굴을 더 잘 인식하며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Barrera & Maurer, 1981),912주경에 얼굴에 대한 도식이 형성되어 친숙한 사람과 낯선 사람을 구별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Shaffer, 2005).
37개월이 되면,영아는 낯선 사람과 친숙한 사람의 얼굴을 빠르게 구별하며,23분 관찰한 얼굴을 2주까지 기억한다고 한다(Kagan, 1979). 8~10개월이면 엄마의 얼굴에 나타난 정서적 표정을 해석할 수 있으며, 표정에 따라 반응하기 시작한다(Femman, 1992). 생후 1년 이내에 영아는 부모의 정서적 표정을 해석하고 반응하는 데 상당히 익숙해진다.
참고문헌
홍길회, 한경님 외 저, 영아발달의 이해, 창지사 2015
유구종, 조희정 저, 최신 영유아보육학개론, 공동체 2015
민정선 저, 유아교육개론, 형설아카데미 2015
조혜경 저, 보육교사론, 창지사 2014
생후 3개월 된 영아를 상대로 한 검사에 의하면,거꾸로 된 얼굴보다는 정상적인 얼굴을 더 오랫동안 쳐다보며 관심을 보이는데 이것은 영아가 정상적인 사람의 얼굴이 어떤 것인지 알고 있다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Dannemiller & Stephens, 1988). 또 다른 연구에서는 비슷한 모습의 다른 여성의 얼굴보다 엄마의 얼굴을 더 잘 인식하며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Barrera & Maurer, 1981),912주경에 얼굴에 대한 도식이 형성되어 친숙한 사람과 낯선 사람을 구별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Shaffer, 2005).
37개월이 되면,영아는 낯선 사람과 친숙한 사람의 얼굴을 빠르게 구별하며,23분 관찰한 얼굴을 2주까지 기억한다고 한다(Kagan, 1979). 8~10개월이면 엄마의 얼굴에 나타난 정서적 표정을 해석할 수 있으며, 표정에 따라 반응하기 시작한다(Femman, 1992). 생후 1년 이내에 영아는 부모의 정서적 표정을 해석하고 반응하는 데 상당히 익숙해진다.
참고문헌
홍길회, 한경님 외 저, 영아발달의 이해, 창지사 2015
유구종, 조희정 저, 최신 영유아보육학개론, 공동체 2015
민정선 저, 유아교육개론, 형설아카데미 2015
조혜경 저, 보육교사론, 창지사 2014
추천자료
영유아발달단계
영유아발달
영유아발달특성
영유아발달특성
영유아기의지각발달
영유아발달 인지발달 보고서
영유아부모교육이 왜 필요한지 영유아발달의 측면, 부모발달의 측면, 사회적 변화에 대한 측...
영유아발달 체크리스트(신체발달, 사회정서발달, 언어발달, 인지발달)
[유아발달]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각각의 체계별로 바람직한 교육환경을 ...
[영아기발달] 영아의 신체 및 운동기능발달, 영아기 애착발달, 정서발달, 사회성발달, 인지발...
영유아발달_인간의 발달에서 볼 때 성숙주의, 정신분석, 행동주의 입장에서 자신의 생각을(교...
영유아발달_프로젝트 접근법에 대한 이론적 내용과 프로젝트 활동의 사례를 소개하고 그 사례...
영유아발달]누리과정의 역사적 의의와 더불어 교육과정으로서의 우리나라 보육, 유아교육에 ...
[영유아발달]조기 이중언어 학습을 찬성 혹은 반대하는 입장들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