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netary Boundaries (대학원과정)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Planetary Boundaries (대학원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2. Planetary Boundaries: Exploring the Safe Operating Space for Humanity 2
가. 연구의 배경 2
나. 연구의 내용 4
A. Clamate Change 7
B. Ocean Acidification 10
C. Stratospheric Ozone 10
D. Global P and N Cycles 12
E. Atmospheric Aerosol Loading 13
F. Freshwater Use 14
G. Land Use Change 14
H. Biodiversity Loss 15
I. Chemical Pollution 17

3. 결론 18

본문내용

내의 ‘유전자 다양성’이나 동물, 식물, 미생물로 구성하는 ‘생태계의 다양성’도 포함한다.
생물은 먹이사슬 등 생태계 네트워크 속에서 다른 종과 조화를 이루며 생존하고, 같은 종 내의 유전적 다양성에 의해 야생종, 재배종, 사육종 등이 환경 변화와 병원체에 대응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생물다양성은 생태계에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환경오염과 기후변화로 인한 종의 서식지 파괴, 환경파괴, 침입성 외래종의 유입, 생태계 혼란 등으로 인해 생물의 다양성이 감소하고 있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조류의 1/8, 포유류의 1/4, 침엽수의 1/3, 양서류의 1/3, 바다거북의 6/7에 달하는 종들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고, 농작물의 유전적 다양성 중 75%가 손실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이처럼 생물의 다양성이 훼손됨에 따라 인류적, 환경적, 전 지구적, 존재의 위험성이 가중되는 가운데 대책 방안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은 생물다양성을 위한 재원 조달, 보호지역의 확대, 파트너쉽을 통한 세계의 협력 등이 있다.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해서는 연간 100-500억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추청되고 있으며, 생물다양성협약의 재원조달책인 지구환경기금(GEF)은 개도국과 과도기 경제에서 생물다양성협약을 준수하는 것을 돕기 위해 28억 달러에 달하는 보조금을 지원하고, 155개국 750개의 생물다양성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76억 달러의 기금을 유치했다.
GEF는 6억 3200만 헥타르에 달하는 2300 개 보호지역의 지정과 관리를 위해서 15억 달러 이상을 투자,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서 보호 지역 밖 1억 헥타르에 토지를 지원하기도 했으며, GEF의 지원을 통해 각 나라의 농업, 어업, 산림분야를 포함한 국가 계획에 생물다양성 보전을 도입함으로써 122개국의 생물다양성이 제고되고 있다.
또한 GEF는 전세계 육지의 10%를 자연보호지역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데, 보호지역은 생물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관리되고 있는 숲, 산, 습지, 초원, 사막, 호수, 강, 산호초 지역, 해양 등으로 볼 수 있으며, 휴양, 관광, 유역 보호, 지속가능한 임업, 사냥 혹은 낚시, 과학 연구, 환경 교육 등 생물다양성 보존과 병행될 수 있는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를 통해 보호지역은 생물다양성의 피난처이며, 생물다양성의 보존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인 동시에 108,000 개가 넘는 전세계의 보호지역들은 각 지역 공동체의 생계와 경제활동의 근간이 되고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전 세계의 공동 유산인 생물의 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한 국가, 기관의 노력이 아닌 각국의 정부, 국제적 기관, NGO, 민간기업의 협력관계와 인류 공동의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
I. Chemical Pollution
1970년 미국의 러브캐널 사건, 1986년 체르노빌 사건은 독성 화학물질로 인한 자연과 인류의 피해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사례로 독성 화학물질의 위해성과 철저한 관리 및 처리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인간이 살아가는데 화학물질의 배출은 이미 필수적으로 자리하고 있으며, 독성 화학물질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기준치 이하의 배출을 유지함과 동시에 면 오염원에서 점오염원으로 점오염원에서 극점오염원으로 한정시켜 관리하고 중화와 안정 처리를 철저히 거쳐야 한다.
또한 독성 화학물질, 화학물질에 대한 정확한 검사와 추후 발생될 이상기후변화현상에 대해 명확히 밝혀내야 하며 이에 따른 명확한 기준치와 이에 따른 행정, 지침, 법 등이 규정되어 관리되어야 한다.
한편, 독성 화학물질의 범위가 굉장히 넓고 그 피해가 한참이 지난 후에 나타나는 특징 등으로 인해 본 보고서에서 화학물질의 지구한계선과 한계점을 명확히 제시하지 못하였다.
3. 결론
본 보고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9개의 지구한계선이 한계선의 기준을 넘어서면 위험이 점점 증가하는 영역으로 들어서게 되고, 환경파괴가 더 진행되어 완전히 고위험 영역으로 들어서면 지구 시스템이 원상태로 돌아오기 어려울 뿐 아니라 갑작스런 환경변화가 초래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현재 9가지 지구한계선 중 ‘Clamate Change’, ‘Global P and N Cycles’,‘Land Use Change’, ‘Biodiversity Loss’인 4개의 항목이 지구한계선을 초과하였으며, 특히 생물다양성 훼손은 한계선에 다다르고 있다. <그림 7>
세계자연기금(WWF)에 따르면, 매년 파괴되는 산림지역이 남한 면적보다 넓은 11만~15만㎢으로 매 분마다 축구장 36개 정도의 산림이 파괴되고 있다.
지금까지 인간이 파괴한 산림은 40%에 가까우며, 이처럼 무분별한 산림파괴가 지속될 시 에너지와 수증기, 태양열 흡수에 변화를 줘 기후변화를 초래할 뿐 아니라 생물다양성과 인류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최근 한계선들은 기존 2009년의 데이터에 기초해 수정되어 ‘생물다양성 상실’이라는 명칭은 ‘생물권 보전의 변화’로, ‘화학 오염’이라는 명칭도 ‘새로운 물질 등장’으로 바뀌었다.
이는 인간이 새로운 기술과 같은 방법으로 지구 시스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반영한 것이며, 과학자들은 이 새로운 명칭들이 한계에 대한 최근의 규모와 범위를 잘 나타낸다고 보고 있다.
스톡홀름 복원 센터의 요한 록스트롬이 본 보고서에서 한계로 지정한 지구한계선의 값들은 임의적이고 지구 전체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이 지구한계선을 국가 단위로 시선을 좁혀 연구를 진행한다면 각 지구한계선이 한계점에 얼마나 도달했는지 보다 명확하게 알 수 있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지구한계선을 관리한다면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이 9가지 지구한계선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어 상호 영향을 끼치므로, 각각을 분리해서 관리하는 것보다는 통합적으로 관리하였을 때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후변화 현상은 한 국가가 아닌 인류 공동의 문제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인류가 지구상에서 안전하게 지속적으로 살 수 있는 환경 영역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범지구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가격5,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9.04.12
  • 저작시기201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59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