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본문내용
992). A structural model of labor supply and child care demand. The Journal of Human Resources, Vol. 27, No. 1, 167-203 P
Misra, Joya (1998). Mothers or Workers? The value of women's labor : women and the emergence of family allowance policy. Gender & Society, Vol. 12, No. 4 376-399 P
Moss, P, and Fred Devin (1999). Parental leave: progress or pitfall? : NIDI/CBGS Publications
Nakamura, A. & Nakamura, M. (1991) 'Children and Female labor Supply: A survey of Economietric Approaches. in J. Siegers et.al. (Eds.) Feamle labor Market Behavior and Fertility Springer-Verlog
Orloff, Ann Shola(1993). ‘Gender and the social rights of citizenship: the comparative analysis of gender relations and welfare stat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53. June, pp.303-328
Riber, David C. (1992). Child care and the labor supply of married women . The Journal of Human Resources, Vol. 27, No. 1, 134-165 P
Sainsbury, Diane (1999). ‘Gender and Social-Democratic Welfare States', in D. Sainsbury (ed.) Gender and welfare state regimes : OXFORD UNIVERSITY PRESS.
Sainsbury, Diane(1999). Gender and welfare state regimes. Oxford University Press.
Schultz T.P. (1974) 'Fertility and Economic values in T. Schultz (Ed.) Economics of the Family (pp3-22) Univ. of Chicago Press
Skocpol, Theda(1992). 'Protecting soldiers and mothers.' The political origins of social policy in the United States. Cambridge/Mass.
Stetson, D. (1997). Women's rights in the U.S.A.,
Trzcinski, Eileen (2000). Family policy in germany : a feminist dilemma ?. Feminist Economics 6(1), 21-44 P
Trzcinski, Eileen, and William, T. Alpert.(1994). Pregnancy parental leave benefits in United States and Canada : Judicial decisions and legislation. The Journal of Human Resources, Vol 29, NO 2, 535-554 P
Wyness, (1997). Parental responsibilities, social policy and the maintenance of boundaries. The sociological review, Vol.45 No.2, 304-324 P
국회(2004). http://www.assembly.go.kr/ -국회 회의록 및 제출된 법률안(2004. 2.2)
김수정(2002), ‘복지국가 가족지원체계의 구조변화에 관한 일연구-가족수당과 보육지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학위 논문.
김혜경(2003). ‘가족정책과 젠더관점의 결합을 위한 연구: 서구복지국가의 캐어정책 체제를 중심으로’,여성연구 2003년 2호 통권 65호,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나정(2003), 「영유아 교육과 보육발전 방안」, 교육인적자원부.
노동부(2001). 근로여성 정책의 변화에 관한 연구: 근로여성정책 50년, (연구기관:여성개발원), 서울: 노동부.
달럽(D. Dahlerup)(1990). '개념의 혼돈-현실의 혼돈: 가부장제 국가에 대한 이론적 고찰‘ 앤 쇼우스틱 사쑨 편저, 여성과 국가: 국가정책과 여성의 공사영역의 변화,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박경주(2002). 여성정책결정과정에서의 정책네트워크분석: 근로여성의 모성보호정책을 중심으로,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행정학과 박사학위논문.
볼코스트심(A. Borchorst & B. Siim)(1990). ‘여성과 선진복지국가-새로운 가부장적 권력관계’ 앤 쇼우스틱 사쑨 편저, 여성과 국가: 국가정책과 여성의 공사영역의 변화,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이혜경홍승아(2003). ‘성통합적 복지국가재편 논의를 위한 여성주의적 비판’, 사회보장연구. 제19권 제1호.
장지연류임량(2004,예정). 여성근로자 모성보호의 현황과 정책방안,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정혜선(1995),
조은(1996). 절반의 경험 절반의 목소리. 서울:미래미디어.
한국경영자총협회(1982-2000), 노동경제연감, 82년부터 2000년까지의 각 호.
한국경영자총협회(2001). 모성보호법 개정 관련 보도자료.
한국여성개발원(2001). 근로여성 정책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 노동부.
한국여성개발원(2002), 「외국의 가족정책과 한국의 가족정책 및 전담부서의 체계화 방안 연구」.
한국여성단체연합 http://www.women21.or.kr/ - 여성노동법개정연대 자료
한국여성단체연합(1998). 열린희망-한국여성단체연합 10년사.
Misra, Joya (1998). Mothers or Workers? The value of women's labor : women and the emergence of family allowance policy. Gender & Society, Vol. 12, No. 4 376-399 P
Moss, P, and Fred Devin (1999). Parental leave: progress or pitfall? : NIDI/CBGS Publications
Nakamura, A. & Nakamura, M. (1991) 'Children and Female labor Supply: A survey of Economietric Approaches. in J. Siegers et.al. (Eds.) Feamle labor Market Behavior and Fertility Springer-Verlog
Orloff, Ann Shola(1993). ‘Gender and the social rights of citizenship: the comparative analysis of gender relations and welfare stat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53. June, pp.303-328
Riber, David C. (1992). Child care and the labor supply of married women . The Journal of Human Resources, Vol. 27, No. 1, 134-165 P
Sainsbury, Diane (1999). ‘Gender and Social-Democratic Welfare States', in D. Sainsbury (ed.) Gender and welfare state regimes : OXFORD UNIVERSITY PRESS.
Sainsbury, Diane(1999). Gender and welfare state regimes. Oxford University Press.
Schultz T.P. (1974) 'Fertility and Economic values in T. Schultz (Ed.) Economics of the Family (pp3-22) Univ. of Chicago Press
Skocpol, Theda(1992). 'Protecting soldiers and mothers.' The political origins of social policy in the United States. Cambridge/Mass.
Stetson, D. (1997). Women's rights in the U.S.A.,
Trzcinski, Eileen (2000). Family policy in germany : a feminist dilemma ?. Feminist Economics 6(1), 21-44 P
Trzcinski, Eileen, and William, T. Alpert.(1994). Pregnancy parental leave benefits in United States and Canada : Judicial decisions and legislation. The Journal of Human Resources, Vol 29, NO 2, 535-554 P
Wyness, (1997). Parental responsibilities, social policy and the maintenance of boundaries. The sociological review, Vol.45 No.2, 304-324 P
국회(2004). http://www.assembly.go.kr/ -국회 회의록 및 제출된 법률안(2004. 2.2)
김수정(2002), ‘복지국가 가족지원체계의 구조변화에 관한 일연구-가족수당과 보육지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학위 논문.
김혜경(2003). ‘가족정책과 젠더관점의 결합을 위한 연구: 서구복지국가의 캐어정책 체제를 중심으로’,여성연구 2003년 2호 통권 65호,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나정(2003), 「영유아 교육과 보육발전 방안」, 교육인적자원부.
노동부(2001). 근로여성 정책의 변화에 관한 연구: 근로여성정책 50년, (연구기관:여성개발원), 서울: 노동부.
달럽(D. Dahlerup)(1990). '개념의 혼돈-현실의 혼돈: 가부장제 국가에 대한 이론적 고찰‘ 앤 쇼우스틱 사쑨 편저, 여성과 국가: 국가정책과 여성의 공사영역의 변화,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박경주(2002). 여성정책결정과정에서의 정책네트워크분석: 근로여성의 모성보호정책을 중심으로,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행정학과 박사학위논문.
볼코스트심(A. Borchorst & B. Siim)(1990). ‘여성과 선진복지국가-새로운 가부장적 권력관계’ 앤 쇼우스틱 사쑨 편저, 여성과 국가: 국가정책과 여성의 공사영역의 변화,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이혜경홍승아(2003). ‘성통합적 복지국가재편 논의를 위한 여성주의적 비판’, 사회보장연구. 제19권 제1호.
장지연류임량(2004,예정). 여성근로자 모성보호의 현황과 정책방안,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정혜선(1995),
조은(1996). 절반의 경험 절반의 목소리. 서울:미래미디어.
한국경영자총협회(1982-2000), 노동경제연감, 82년부터 2000년까지의 각 호.
한국경영자총협회(2001). 모성보호법 개정 관련 보도자료.
한국여성개발원(2001). 근로여성 정책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 노동부.
한국여성개발원(2002), 「외국의 가족정책과 한국의 가족정책 및 전담부서의 체계화 방안 연구」.
한국여성단체연합 http://www.women21.or.kr/ - 여성노동법개정연대 자료
한국여성단체연합(1998). 열린희망-한국여성단체연합 10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