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연차유급휴가의 대체
Ⅱ. 휴가사용촉진제도
Ⅱ. 휴가사용촉진제도
본문내용
라 근로자가 휴가사용시기를 지정한 경우 원칙적으로 근로자와 사용자는 상대방의 동의가 없으면 휴가시기를 변경할 수 없다.
3. 근로자의 휴가시기변경권 유무
사용자가 근로자의 휴가시기지정통보가 없어 미사용휴가의 사용시기를 지정하여 근로자에게 통보한 경우 소멸시효완성전까지는 휴가청구권이 소멸한 것은 아니므로 근로자에게는 휴가시기변경권이 인정된다고 봄이 타당하다.
4. 휴가근로수당지급여부
사용자가 지정통보한 휴가일에 근로자가 출근하여 근로를 제공한 경우 연차휴가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하는지에 관해 문제된다.
이때 사용자가 노무수령거부의사를 병확히 표시한 때에는 연차휴가근로수당을 지급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업무지시를 하거나 노무수령거부의사를 명확히 표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연차휴가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한다.
3. 근로자의 휴가시기변경권 유무
사용자가 근로자의 휴가시기지정통보가 없어 미사용휴가의 사용시기를 지정하여 근로자에게 통보한 경우 소멸시효완성전까지는 휴가청구권이 소멸한 것은 아니므로 근로자에게는 휴가시기변경권이 인정된다고 봄이 타당하다.
4. 휴가근로수당지급여부
사용자가 지정통보한 휴가일에 근로자가 출근하여 근로를 제공한 경우 연차휴가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하는지에 관해 문제된다.
이때 사용자가 노무수령거부의사를 병확히 표시한 때에는 연차휴가근로수당을 지급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업무지시를 하거나 노무수령거부의사를 명확히 표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연차휴가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주5일 근무제를 통한 관광의 변화 (관광산업 호텔관광 호텔 주 5일 근무)
부당노동행위
(근로시간단축논의) 주5일근무제에 관한 완벽레포트
주5일 근무제에 대하여
기업복지의 기업간 격차와 해결방안(A+레포트)
유한킴벌리
국내 ․ 외 영유아 보육정책 사례와 앞으로의 과제
근로기준법의 적용범위 및 대상과 관련한 법적 검토
소매업에서의 주5일 근무제에 시행에 따른 남성복 패션 마케팅 전략
평생교육(평생학습) 정의, 평생교육(평생학습) 이념, 평생교육(평생학습) 교육기본법, 평생교...
[사회복지정책론_-여기과제]스웨덴_사회복지정책
삼성아이마켓코리아 기업조사
노사관계론 - 비정규직 증가와 문제점, 개선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