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의 징후와 출산과정 출산방법 출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출산의 징후와 출산과정 출산방법 출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출산

I. 출산 징후
1. 임신 말기 징후
2. 출산 시작 증세

II. 출산의 과정
1. 개구기
2. 만출기
3. 후산기

III. 출산방법
1. 의학적 문제가 없을 때
1) 무통분만
2) 라마즈 분만
3) 르부아예 분만
2. 의학적 문제가 있을 때
1) 제왕절개 분만
2) 겸자분만

IV. 출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1. 출산과정의 문제
2. 출산 직후의 문제 : 산소결핍
3. 조산과 미숙아

* 참고문헌

본문내용

때문에 제왕절개를 해야 한다. 태반조기박리는 미처 아기가 태어나기도 전에 태반이 자궁벽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으로 곧바로 출산을 유도하지 못하면 자궁에 많은 출혈이 있어서 태아사망률도 높고 산모에게 치명적이다. 조기파수는 비교적 많이 발생하는 상황으로 출산이 진행되기 이전에 양막이 터져 양수가 일적 나오는 현상이다. 이 상황에서도 곧바로 출산이 일어나지 않으면 태아가 감염되거나 질식사할 위험이 있다. 자궁파열은 출산과정 중 자궁수축을 견디지 못하고 자궁이 파열되는 경우로 태아사망률이 높고 산모는 출혈이 심하므로 서둘러 수술하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하다. 주로 이전에 제왕절개 등 자궁을 절개하는 수술을 경험했거나, 자궁벽에 상처가 잘 아물지 않았거나, 아기가 머리를 가로로 하고 누워 있는 자세로 태어나려고 할 때 자궁파열이 일어날 수 있다.
(2) 출산 직후의 문제 : 산소결핍
정상적 출산과정을 거쳐 태어난 아기들은 출산 직후 스스로 호흡을 하는 방법을 터득한다. 그러나 모체를 통한 산소공급이 중단된 후 아기가 스스로 호흡을 못하거나 혹은 출산 중 탯줄이 꼬여서 산소공급이 원활하게 되지 못하는 경우를 산소결핍이라고 한다. 비(Bee, 1997)는 약 20%의 아기들이 출산 중 어느 정도의 산소결핍을 경험하지만 이를 쉽게 극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예컨대, 가벼운 산소결핍증을 경험한 유아는 3세까지는 운동발달이나 지적 발달이 평균 이하지만, 정상아와의 차이가 점점 적어져서 7세가 되면 거의 차이가 없었다(Corah, Anthony, Painter, Stern, & Thurston, 1965, 정옥분, 2002 재인용). 그러나 산소결핍 상태가 너무 오래 경과되어 많은 신경세포가 손상되면 영구적인 뇌손상이나 사망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3) 조산과 미숙아
조산은 임신 기간을 미처 채우지 못하고 아기가 태어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임신 28주에서 37주 사이에 아기가 태어나는 경우를 말한다. 조산인 경우에는 대체로 아기의 체중이 2. 5kg미만인 미숙아다. 임신 40주를 다 채운 신생아도 2.5kg미만이면 미숙아로 간주한다. 임신 기간이 28주 이하이거나 신생아의 무게가 1.5kg미만인 경우 신생아의 생존가능성이 낮은 편이다. 조산이나 미숙아의 출산은 대체로 산모의 영양부족이나 흡연, 음주, 약물복용, 생식기관 미숙 등의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므로 정기적인 검진과 식사 및 체중조절, 과로나 무리를 피하는 임신기의 건강관리를 통하여 예방할 수 있다.
조산의 경우 가장 큰 문제는 신체적 성숙이 이루어지기 전에 세상에 태어난 미숙아들에게 호흡장애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과 뇌출혈 (brain hemorrhage)이 나타난다는 것이다(정옥분, 2002). 호흡장애 증후군은 신체에서 폐를 보호해 주는 물질을 생성하지 못한 결과 호흡이 불규칙하거나 호흡이 정지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숙아를 출생 직후 곧바로 보육기(incubator)에 넣어 스스로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을 때까지 온도와 산소량을 조절한 환경에서 보호한다. 대부분의 미숙아는 성장하면서 정상아보다 느릴 수는 있으나 궁극적으로 정상 발달을 해 나간다. 단 초기 문제의 심각성에 따라 자라면서 느린 심장박동, 환경자극에의 예민함, 잔병치레, 언어 및 운동발달 지체, 학습장애를 보이기도 한다. 또한 출산 직후 보육기에서 생활을 했기 때문에 초기 모자격리를 경험하여 종종 어머니와의 애착형성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조산의 장기적 효과는 임신 기간, 출생 시 체중, 출생 후 관리, 아동기 동안의 환경의 질에 의하여 좌우된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어 출산 후 적절한 환경적 중재에 의하여 조산의 장기적 후유증을 극복할 수 있다.
그 밖에 출산과 관련된 문제로 예정일을 2주 이상 지나도 출산징후가 없는 만산, 양수가 너무 많아져서 문제가 되는 양수과다증 등이 있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4.15
  • 저작시기201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59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