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동연구의 방법
I. 연구형태
1. 기술연구
2. 상관연구
3. 실험연구
II. 아동연구의 접근법
1. 종단적 접근법
2. 횡단적 접근법
3. 순차적 접근법
* 참고문헌
I. 연구형태
1. 기술연구
2. 상관연구
3. 실험연구
II. 아동연구의 접근법
1. 종단적 접근법
2. 횡단적 접근법
3. 순차적 접근법
*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3) 순차적 접근법
순차적 접근법은 횡단적 접근법과 종단적 접근법을 절충 보완한 접근법으로서 연령 효과와 동시대 출생 집단의 효과 및 측정 시기의 효과를 분리해 낼 수 있다. 여기서 연령 효과는 단순히 연령이 증가함으로써 나타나는 효과이고, 동시대 출생 집단 효과는 같은 시대에 태어나서 같은 역사적 환경에서 성장함으로써 나타나는 효과이며, 측정 시기의 효과는 자료가 수집될 당시 상황의 효과이다.
이 접근법은 몇 개의 동시대 출생 집단을 몇 차례에 걸쳐 측정하는 연구방법이다. 즉 한 연구자가 의존행동의 연령 변화에 대해 연구한다고 가정하자.
연구자는 보다 짧은 기간에 출생동시 집단의 효과를 배제한 순수한 연령 변화의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우선 2019년 현재 1세, 3세 그리고 5세의 아동들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연구를 시작한다. 세 개의 연령집단 아동들은 출생 연도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연구자는 세 개의 출생동시 집단을 대상으로 가정과 유아원 혹은 초등학교에서 성인의 도움이나 관심을 끌기 위하여 노력하는 정도를 평정하도록 연구를 설계한다. 2년 후 동일한 아동들이 각각 3세, 5세, 7세가 되었을 때 다시 의존성의 정도를 평정하고, 다시 2년 후 그들이 각각 5세, 7세, 9세가 될 때 다시 평정한다.
이렇게 설계된 연구는 순차적 접근법으로 인해 1세부터 9세까지의 의존성 발달연구를 세 개의 출생동시 집단을 사용하여 4년 만에 끝마칠 수 있다.
순수한 종단연구로 연구를 수행했다면 8년이 소요되나, 연구자는 연구기간을 1/2로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가로방향은 종단연구, 세로방향은 횡단연구이기 때문에 두 가지 접근법에 의한 연구 결과를 비교할 수 있는 동시에 대각선 방향의 동일한 연령 집단들의 의존성 점수를 비교함으로써 출생동시 집단의 효과도 알 수 있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3) 순차적 접근법
순차적 접근법은 횡단적 접근법과 종단적 접근법을 절충 보완한 접근법으로서 연령 효과와 동시대 출생 집단의 효과 및 측정 시기의 효과를 분리해 낼 수 있다. 여기서 연령 효과는 단순히 연령이 증가함으로써 나타나는 효과이고, 동시대 출생 집단 효과는 같은 시대에 태어나서 같은 역사적 환경에서 성장함으로써 나타나는 효과이며, 측정 시기의 효과는 자료가 수집될 당시 상황의 효과이다.
이 접근법은 몇 개의 동시대 출생 집단을 몇 차례에 걸쳐 측정하는 연구방법이다. 즉 한 연구자가 의존행동의 연령 변화에 대해 연구한다고 가정하자.
연구자는 보다 짧은 기간에 출생동시 집단의 효과를 배제한 순수한 연령 변화의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우선 2019년 현재 1세, 3세 그리고 5세의 아동들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연구를 시작한다. 세 개의 연령집단 아동들은 출생 연도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연구자는 세 개의 출생동시 집단을 대상으로 가정과 유아원 혹은 초등학교에서 성인의 도움이나 관심을 끌기 위하여 노력하는 정도를 평정하도록 연구를 설계한다. 2년 후 동일한 아동들이 각각 3세, 5세, 7세가 되었을 때 다시 의존성의 정도를 평정하고, 다시 2년 후 그들이 각각 5세, 7세, 9세가 될 때 다시 평정한다.
이렇게 설계된 연구는 순차적 접근법으로 인해 1세부터 9세까지의 의존성 발달연구를 세 개의 출생동시 집단을 사용하여 4년 만에 끝마칠 수 있다.
순수한 종단연구로 연구를 수행했다면 8년이 소요되나, 연구자는 연구기간을 1/2로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가로방향은 종단연구, 세로방향은 횡단연구이기 때문에 두 가지 접근법에 의한 연구 결과를 비교할 수 있는 동시에 대각선 방향의 동일한 연령 집단들의 의존성 점수를 비교함으로써 출생동시 집단의 효과도 알 수 있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