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영아기의 운동발달
I. 대근육 운동발달
II. 소근육 운동발달
III. 이행행동 발달
IV. 자조행동 발달
* 참고문헌
I. 대근육 운동발달
II. 소근육 운동발달
III. 이행행동 발달
IV. 자조행동 발달
*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 소변을 가릴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아기가 준비되었을 때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변 가리기, 낮 동안 소변 가리기, 밤 시간 동안 소변 가리기의 순으로 가능해진다.
스노우(Snow, 1998)에 의하면 대 소변 훈련은 반항이 심해지는 생후 1년 반~2년보다는 좀 더 협조적이 되는 24개월 이후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대 소변을 잘 가리다가도 4-5세 때까지는 실수를 하기도 하고, 또 동생이 태어나 희행 현상을 보이는 경우에 실수를 하기도 하기 때문에 부모의 각별한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다.
1세 전후부터는 스스로 먹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기술들이 점찬 정교화 되기 시작한다. 생후 7-8개월 무렵에는 손가락으로 집거나 숟가락으로 담아 입으로 음식을 가져가 입에 넣는 행동이 시작된다. 그러나 아직 눈과 손의 협응, 손목의 조절이 완벽하지 않아 음식을 입에 정확하게 가져가기보다는 음식을 얼굴에 가져간다. 2세경이 되어야 비로소 흘리지 않고 스스로 숟가락을 잘 사용할 수 있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스노우(Snow, 1998)에 의하면 대 소변 훈련은 반항이 심해지는 생후 1년 반~2년보다는 좀 더 협조적이 되는 24개월 이후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대 소변을 잘 가리다가도 4-5세 때까지는 실수를 하기도 하고, 또 동생이 태어나 희행 현상을 보이는 경우에 실수를 하기도 하기 때문에 부모의 각별한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다.
1세 전후부터는 스스로 먹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기술들이 점찬 정교화 되기 시작한다. 생후 7-8개월 무렵에는 손가락으로 집거나 숟가락으로 담아 입으로 음식을 가져가 입에 넣는 행동이 시작된다. 그러나 아직 눈과 손의 협응, 손목의 조절이 완벽하지 않아 음식을 입에 정확하게 가져가기보다는 음식을 얼굴에 가져간다. 2세경이 되어야 비로소 흘리지 않고 스스로 숟가락을 잘 사용할 수 있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시각장애아동 조기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오레곤 프로젝트)
유아의 발달적 특징과 교육
만 2세 대상 표준보육과정 프로그램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만 3~5세 유아용 프로그램 - 만 3~5세의 발달적 특징, 보육목...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만 2세용 프로그램 - 만 2세의 발달적 특성, 보육목표와 내용(만...
[영아기 운동발달] 영아기와 걸음마기의 운동능력발달
[유아 신체운동발달] 유아기 신체발달 및 운동발달(유아기 신체적 성장, 운동능력 발달)
유아기 신체-운동발달(유아의 신체성장발달, 유아 운동발달, 유아기 신체발달에 영향을 미치...
영아의 신체운동발달
영아기 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