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영아의 시지각의 발달
1) 시자극에 주의 기울이기
2) 시력발달
3) 색깔지각
4) 움직임을 따라가기
5) 얼굴지각
6) 깊이지각
* 참고문헌
1) 시자극에 주의 기울이기
2) 시력발달
3) 색깔지각
4) 움직임을 따라가기
5) 얼굴지각
6) 깊이지각
* 참고문헌
본문내용
개월경 이전에는 얼굴의 움직임과 대칭성 때문으로, 그 이후는 얼굴의 친숙성 때문으로 해석된다.
6) 깊이지각
1960년에 Gibson과 Walk은 시각철벽(visual cliff)장치로 영아의 깊이지각발달에 대한 많은 연구를 했다. 시각절벽은 영아들이 그 위를 기어 다니거나 걸어 다닐 수 있도록 커다란 유리판이 덮인 장치로서, 장치의 한쪽 면에는 유리판 바로 밑에 체크무늬의 나무판이 있고, 다른 한쪽은 5-6피트 아래에 체크무늬의 나무판을 설치했다. 따라서 한쪽은 절벽처럼 보였다. 영아를 유리판 위에 기도록 했을 때, 만약 영아가 깊이를 지각하지 못한다면, 유리판 위의 두 쪽을 차이 없이 다 기어 다닐 것이다. 그러난 만약 영아가 깊이를 지각한다면, 시각적으로 절벽처럼 보이는 쪽은 기어 다니기를 주저할 것이다.
<그림> 시각절벽
기어 다닐 수 있는 6개월 된 영아들을 대상으로 한 Gibson과 Walk의 실험에서, 영아들은 절벽처럼 보이는 곳은 기어 다니기를 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아들이 생후 6개월이 되면 깊이지각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 뒤 아직 기어 다니지 못하는 2개월 된 영아를 대상으로 하여 깊이지각의 발달을 연구한 Campos 등의 연구(1970)에서는 시각절벽장치 위에 영아를 눕혀놓고 그들의 심장박동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만약 2개월 된 영아가 절벽의 깊이를 지각한다면 심장박동의 변화가 있을 것이고, 만약 깊이를 지각하지 못한다면 심장박동의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연구결과 시각절벽 쪽에 영아를 눕혔을 때는 심장박동의 변화가 생겼고, 시각절벽이 아닌 곳에 눕혔을 때에는 심장박동이 평상시와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개월 된 영아들도 깊이를 지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6) 깊이지각
1960년에 Gibson과 Walk은 시각철벽(visual cliff)장치로 영아의 깊이지각발달에 대한 많은 연구를 했다. 시각절벽은 영아들이 그 위를 기어 다니거나 걸어 다닐 수 있도록 커다란 유리판이 덮인 장치로서, 장치의 한쪽 면에는 유리판 바로 밑에 체크무늬의 나무판이 있고, 다른 한쪽은 5-6피트 아래에 체크무늬의 나무판을 설치했다. 따라서 한쪽은 절벽처럼 보였다. 영아를 유리판 위에 기도록 했을 때, 만약 영아가 깊이를 지각하지 못한다면, 유리판 위의 두 쪽을 차이 없이 다 기어 다닐 것이다. 그러난 만약 영아가 깊이를 지각한다면, 시각적으로 절벽처럼 보이는 쪽은 기어 다니기를 주저할 것이다.
<그림> 시각절벽
기어 다닐 수 있는 6개월 된 영아들을 대상으로 한 Gibson과 Walk의 실험에서, 영아들은 절벽처럼 보이는 곳은 기어 다니기를 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아들이 생후 6개월이 되면 깊이지각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 뒤 아직 기어 다니지 못하는 2개월 된 영아를 대상으로 하여 깊이지각의 발달을 연구한 Campos 등의 연구(1970)에서는 시각절벽장치 위에 영아를 눕혀놓고 그들의 심장박동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만약 2개월 된 영아가 절벽의 깊이를 지각한다면 심장박동의 변화가 있을 것이고, 만약 깊이를 지각하지 못한다면 심장박동의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연구결과 시각절벽 쪽에 영아를 눕혔을 때는 심장박동의 변화가 생겼고, 시각절벽이 아닌 곳에 눕혔을 때에는 심장박동이 평상시와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개월 된 영아들도 깊이를 지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유아동작교육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발달단계별 부모역할
영유아발달기
[영유아기][지각발달][성장발달][신체운동기능][치아관리]영유아기의 지각발달, 영유아기의 ...
유아기 아동의 성장발달 특징[1. 생물학적 발달 2. 심리 사회적 발달3. 인지발달 4. 영적발달...
영아기 운동발달과 감각 및 지각발달
[전 생애 발달단계] 인간발달단계 - 태내기 발달, 영아기 발달, 유아기 발달, 아동기 발달, ...
영아기 지각발달(영아의 촉각발달 청각발달 시각발달 미각발달 후각발달 감각 간 지각능력발달)
영아기 발달
신생아기 및 영아기 발달 특징에 대해 정리하시고 영아기 보육이 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