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음으로, 해당 과정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ATP와 함께 생성된 NADH가 NAD로 다시 산화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저농도의 산소조건에서는 전자전달계를 이용할 수가 없으므로, 발효가 일어나게 된다. 대부분의 척추동물에서는 젖산탈수소효소(Lactate dehydrogenase)의 작용에 의해 해당과정을 통해 생성된 피루브산(Pyruvates)을 다시 젖산으로 환원시킨다. 이 젖산은 유기산이므로 반응이 지속될 수록 pH가 낮아진다. 그 결과 효소의 활성이 점점 떨어지게 되어, 결국에는 이 반응조차 중지된다. 그래서 어떤 무척추동물(ex: 문어)들은 옥토파인(Octopine)이라는 산물을 생성하는데, 피루브산+아르기닌+NADH -> 옥토파인+H2O+NAD 의 반응식을 갖는다. 아르기닌은 아르기닌 인산이 분해된 후에 남아돌고 있을것이고, 옥토파인은 젖산보다 산성도가 낮아 근육에 큰 무리를 주지 않는다. 수중에서 사는 문어와 같은 연체동물은 산소의 공급에 제한이 되기 때문에 무산소 조건에 더 잘 적응한 것이다. 어쨌거나, 조직의 pH가 낮아지게 되면 근육의 피로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근육의 피로도를 유발하는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수소이온의 농도(산성도), 무기인산의 농도, ATP의 농도 등 다양한 이유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 추정하고 있다. 따라서, 주로 어떤 경로를 통해 ATP를 확보하느냐에 따라 근섬유(Myofibrin)의 종류는 달라진다. 만약에 주로 산화적 인산화 반응을 통해 ATP를 확보한다면 미오글로빈을 많이 함유하여 붉은 색을 띌 것이고, 피로도에도 저항을 가질 것이다.
반대로, 해당과정. 즉, 젖산 발효를 통해 ATP를 주로 확보한다면 빠른 시간에 많은 힘을 낼 수는 있으나, 그만큼 피로도가 빨리 누적되어 지구력이 약할 것이다.
Ⅴ. contraction of motor unit
민무늬근에서는 이런 뚜렷한 단위는 증명되어 있지 않다. 골격근의 경우는 지배하는 운동신경섬유 수는 근섬유에 비하여 훨씬 적고, 1개의 신경섬유가 지배하는 지배비는 근에 따라 매우 다르다. 예를 들어 고양이의 민무늬근에서는 1:120이다. 근수축에 의한 힘의 크기는 임펄스를 보내는 운동단위 수 및 자극의 빈도에 좌우되는데, 빈도가 작을 때에도 각 운동단위는 같은 움직임이 아닌 약간 어긋난 리듬으로 자극을 보내기 때문에 수축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Ⅵ. contraction whole muscle
잘 갖추어진 근(筋)으로서 건(腱)에 부착하고 있는 근섬유군(筋纖維群)을 전근이라고 한다. 하나의 운동 신경 세포에서 나온 신경 섬유는 하행(下行)해서 몇 가닥 또는 수백 가닥의 근섬유를 지배하는데, 이것이 신경과 근이 결부한 최소의 단위이다. 겉으로 보기에는 하나의 근으로 보이는 것이라 할지라도 이와 같이 신경과 근의 단위가 많이 모여서 전체로서의 수축을 하게 되는 것이다. 형태상으로도 내근주막(內筋周膜), 외근주막(外筋周膜)이라 불리는 결합 조직의 막에 의해서 근섬유가 다수의 묶음으로 종합되어 그것이 모여 하나의 근으로 된다.
반대로, 해당과정. 즉, 젖산 발효를 통해 ATP를 주로 확보한다면 빠른 시간에 많은 힘을 낼 수는 있으나, 그만큼 피로도가 빨리 누적되어 지구력이 약할 것이다.
Ⅴ. contraction of motor unit
민무늬근에서는 이런 뚜렷한 단위는 증명되어 있지 않다. 골격근의 경우는 지배하는 운동신경섬유 수는 근섬유에 비하여 훨씬 적고, 1개의 신경섬유가 지배하는 지배비는 근에 따라 매우 다르다. 예를 들어 고양이의 민무늬근에서는 1:120이다. 근수축에 의한 힘의 크기는 임펄스를 보내는 운동단위 수 및 자극의 빈도에 좌우되는데, 빈도가 작을 때에도 각 운동단위는 같은 움직임이 아닌 약간 어긋난 리듬으로 자극을 보내기 때문에 수축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Ⅵ. contraction whole muscle
잘 갖추어진 근(筋)으로서 건(腱)에 부착하고 있는 근섬유군(筋纖維群)을 전근이라고 한다. 하나의 운동 신경 세포에서 나온 신경 섬유는 하행(下行)해서 몇 가닥 또는 수백 가닥의 근섬유를 지배하는데, 이것이 신경과 근이 결부한 최소의 단위이다. 겉으로 보기에는 하나의 근으로 보이는 것이라 할지라도 이와 같이 신경과 근의 단위가 많이 모여서 전체로서의 수축을 하게 되는 것이다. 형태상으로도 내근주막(內筋周膜), 외근주막(外筋周膜)이라 불리는 결합 조직의 막에 의해서 근섬유가 다수의 묶음으로 종합되어 그것이 모여 하나의 근으로 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