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터뷰한 사람이 실제 처해 있는 불편함, 결핍, 위험이 무엇인지를 서술하시오.
2) 다음의 관점에서 분석하시오. 이 위험의 원인을 논의하고 그 위험해결의 책임에 대해 서술하시오. 즉 위험의 원인은 개인인지 사회인지, 그 책임을 개인이 져야 하는지, 사회적 책임으로 보아야 하는지를 이유를 들어 설명하시오.
3)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시오.
4) 이 인터뷰 과정에서 본인이 느낀 점을 서술하시오.
2) 다음의 관점에서 분석하시오. 이 위험의 원인을 논의하고 그 위험해결의 책임에 대해 서술하시오. 즉 위험의 원인은 개인인지 사회인지, 그 책임을 개인이 져야 하는지, 사회적 책임으로 보아야 하는지를 이유를 들어 설명하시오.
3)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시오.
4) 이 인터뷰 과정에서 본인이 느낀 점을 서술하시오.
본문내용
폭력 피해를 보았을 때 사람들은 피해자가 옷을 야하게 입었거나 행동을 그렇게 유도했겠지 라고 생각을 한다.
그런데 최근 미국 매체 시카고트리뷴은 캔자스 대학교에서 성폭행 피해자들이 사건 당시 입었던 옷들을 전시한 특별한 전시회에 대해 보도했다.
전시회의 주제는 \'당신은 무엇을 입고 있었나요? (What were you wearing?)\'다. 실제로 피해자들의 당시 옷차림은 다양하다. 만약 편견이 있던 사람이라면 \"이런 옷을 입었는데도 성폭행을 당했다고?\"라고 생각할 만큼 평범한, 그저 단출한 티셔츠와 긴 바지 차림의 옷도 있다.
그중 눈길을 끄는 것은 다름 아닌 아동복이었다.
\"나는 6살이었습니다\"라는 충격적인 증언과 함께 걸려있는 조그마한 아동용 원피스는 성범죄가 대상을 가리지 않는다고 언제 어디서나 도사리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전시회를 기획한 젠 브록만(Jen Brockman)은 \"옷차림이 성폭력을 유발한다는 것은 거짓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이렇듯 여기에서도 피해를 당한 사람들이 아니라 사건을 일으킨 주체는 성폭행을 행한 이들이다.
3. 어떻게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수 있는가.
1) 이미경 소장의 말대로 인권감수성을 키우는 교육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대방이 싫다고 느낄수 있는 행동에 대해서 하지 않도록 자신안의 힘을 기르는 것이 필요하다.
2) 전 사회적으로 야동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스스로의 규제는 힘드니, 국가 정책적으로 규제가 필요하다. 또한 힘들게 직장생활을 마치고 마음과 몸을 충족시켜주는 활동이 아닌 말초신경을 자극시키며 어두운 곳에서 쾌락을 즐기는 불쌍한 직장인들에게 직장내에서 다양한 긍정적인 마음을 일으키는 간단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여 마음이 새로워지는 긍정적인 에너지를 통해 자신을 리프레쉬시키는 방법을 인생을 살아가면서 체득할수 있도록 교육을 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3) 회사내에 성폭력상담 자격증을 가진 사람을 배치하고 피해자에게 어떤 권리가 있는지를 일깨워주어야 한다. 상담사가 자율적이고 독립적으로 센터를 운영해야 윗사람의 압력을 받지 않을수 있다. 그래야 피해자들이 사내 기구를 신뢰하고 말할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결 론
요번 안희정 사태를 보면서 또한 연예계나 연극계등 여러 분야에서 미투가 일어나는 것을 보면서 이러한 일들이 세상에 정말이나 많았구나 라는 사실에 놀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과거에는 그냥 묻고 지나갔던 것들이 이렇게 고름이 터져나오듯이 터져나와 여론화되고 공시화되는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위에 미국 매체 시카고트리뷴은 캔자스 대학교에서 성폭행 피해자들이 사건 당시 입었던 옷들을 전시한 특별한 전시회 내용을 보고 여태까지 나도 상당한 고정관념에 빠져있었구나를 뼈저리게 느꼈다. 나 자신도 성폭행 당한 이들에 대해서 그들의 품행이 방정하지 못해서 왜 술을 마시고 같이 있었나 등 오히려 원인제공을 한게 아닌가 라고 많이 생각을 했었는데 이 전시회에 나온 여성들의 평범한 옷들을 보고 소름이 끼쳤고 섬
그런데 최근 미국 매체 시카고트리뷴은 캔자스 대학교에서 성폭행 피해자들이 사건 당시 입었던 옷들을 전시한 특별한 전시회에 대해 보도했다.
전시회의 주제는 \'당신은 무엇을 입고 있었나요? (What were you wearing?)\'다. 실제로 피해자들의 당시 옷차림은 다양하다. 만약 편견이 있던 사람이라면 \"이런 옷을 입었는데도 성폭행을 당했다고?\"라고 생각할 만큼 평범한, 그저 단출한 티셔츠와 긴 바지 차림의 옷도 있다.
그중 눈길을 끄는 것은 다름 아닌 아동복이었다.
\"나는 6살이었습니다\"라는 충격적인 증언과 함께 걸려있는 조그마한 아동용 원피스는 성범죄가 대상을 가리지 않는다고 언제 어디서나 도사리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전시회를 기획한 젠 브록만(Jen Brockman)은 \"옷차림이 성폭력을 유발한다는 것은 거짓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이렇듯 여기에서도 피해를 당한 사람들이 아니라 사건을 일으킨 주체는 성폭행을 행한 이들이다.
3. 어떻게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수 있는가.
1) 이미경 소장의 말대로 인권감수성을 키우는 교육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대방이 싫다고 느낄수 있는 행동에 대해서 하지 않도록 자신안의 힘을 기르는 것이 필요하다.
2) 전 사회적으로 야동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스스로의 규제는 힘드니, 국가 정책적으로 규제가 필요하다. 또한 힘들게 직장생활을 마치고 마음과 몸을 충족시켜주는 활동이 아닌 말초신경을 자극시키며 어두운 곳에서 쾌락을 즐기는 불쌍한 직장인들에게 직장내에서 다양한 긍정적인 마음을 일으키는 간단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여 마음이 새로워지는 긍정적인 에너지를 통해 자신을 리프레쉬시키는 방법을 인생을 살아가면서 체득할수 있도록 교육을 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3) 회사내에 성폭력상담 자격증을 가진 사람을 배치하고 피해자에게 어떤 권리가 있는지를 일깨워주어야 한다. 상담사가 자율적이고 독립적으로 센터를 운영해야 윗사람의 압력을 받지 않을수 있다. 그래야 피해자들이 사내 기구를 신뢰하고 말할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결 론
요번 안희정 사태를 보면서 또한 연예계나 연극계등 여러 분야에서 미투가 일어나는 것을 보면서 이러한 일들이 세상에 정말이나 많았구나 라는 사실에 놀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과거에는 그냥 묻고 지나갔던 것들이 이렇게 고름이 터져나오듯이 터져나와 여론화되고 공시화되는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위에 미국 매체 시카고트리뷴은 캔자스 대학교에서 성폭행 피해자들이 사건 당시 입었던 옷들을 전시한 특별한 전시회 내용을 보고 여태까지 나도 상당한 고정관념에 빠져있었구나를 뼈저리게 느꼈다. 나 자신도 성폭행 당한 이들에 대해서 그들의 품행이 방정하지 못해서 왜 술을 마시고 같이 있었나 등 오히려 원인제공을 한게 아닌가 라고 많이 생각을 했었는데 이 전시회에 나온 여성들의 평범한 옷들을 보고 소름이 끼쳤고 섬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개론_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위험에 처하게 된다. 재난(세월호, 가습기 살균제 ...
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위험에 처하게 된다. 재난(세월호, 가습기 살균제, 성폭력 등), ...
(사회복지개론 공통) 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위험에 처하게 된다 재난(세월호 가습기 살균...
사회복지개론] 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위험에 처하게 된다 재난(세월호 가습기 살균제 성...
사회복지개론)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위험에 처하게 된다 재난(세월호 가습기 살균제 성폭...
사회복지개론)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위험에 처하게 된다. 재난(세월호, 가습기 살균제, ...
[사회복지개론]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위험에 처하게 된다 재난(세월호 가습기 살균제 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