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영아의 기억발달 과정
1. 재인기억의 발달
2. 회상기억의 발달
3. 처리용량의 발달
4. 기억방략의 발달
1) 시연하기
2) 조직화하기
3) 정교화하기
5. 상위기억의 발달
* 참고문헌
1. 재인기억의 발달
2. 회상기억의 발달
3. 처리용량의 발달
4. 기억방략의 발달
1) 시연하기
2) 조직화하기
3) 정교화하기
5. 상위기억의 발달
* 참고문헌
본문내용
료를 모두 기억하는 것이 좋은가, 중요한 것만 기억하는 것이 좋은가? ' 등과 같이 과제에 대한지식, '숫자를 기억하는 데는 정교화가 효과적일까, 시연이 효과적일까? ' 등과 같은 방략에 대한 지식, '아이들이 어른보다 기억을 더 잘 할까, 아닐까?' 등과 같은 사람들에 대한 지식으로 이루어진다.
상위기억은 또한 기억에 대한 외재적인 지식과 기억 활동을 감시하고 통제하는데 관련되는 내재적인 지식으로 나눌 수 있다. 5세 이후에 비교적 천천히 발달하는 외재적 상위기억에 비해, 내재적 상위기억은 아동이 자신의 발음, 문법과 물체의 이름을 말할 때 스스로 자신의 실수를 교정하는 2세경의 아동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아동이 듣는 사람의 지식이나 인지수준에 맞추어 자신의 말을 변화시키는 것은 아동의 내재적 상위기억이 발달한 예로 볼 수 있다.
외재적 상위기억으로 가장 기본적인 것은 자신의 기억이 틀릴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지식이다. Yussen과 Levy(1975)는 4세, 8세 아동과 20세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단기기억과제의 수행을 예측토록 한 후 이 예측수준과 실제수행수준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20세 성인의 실제수행은 예측치에 접근한 반면에, 나이가 어릴수록 실제수행과 예측치 간의 격차가 심했으며, 4세 아동은 가장 높게 예측했으나 실제수행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4세 아동에게 10개의 그림 중 몇 개를 기억할 수 있는지를 물어보면, 대부분 10개라고 대답하지만. 실제는 그보다 훨씬 적은 수의 그림만을 기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4세 아동들의 자신의 기억량에 대한 추정치가 나이든 아동의 추정치보다 크지만,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신의 기억능력에 대한 평가가 현실적인 것으로 되어간다는 것을 나타낸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상위기억은 또한 기억에 대한 외재적인 지식과 기억 활동을 감시하고 통제하는데 관련되는 내재적인 지식으로 나눌 수 있다. 5세 이후에 비교적 천천히 발달하는 외재적 상위기억에 비해, 내재적 상위기억은 아동이 자신의 발음, 문법과 물체의 이름을 말할 때 스스로 자신의 실수를 교정하는 2세경의 아동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아동이 듣는 사람의 지식이나 인지수준에 맞추어 자신의 말을 변화시키는 것은 아동의 내재적 상위기억이 발달한 예로 볼 수 있다.
외재적 상위기억으로 가장 기본적인 것은 자신의 기억이 틀릴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지식이다. Yussen과 Levy(1975)는 4세, 8세 아동과 20세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단기기억과제의 수행을 예측토록 한 후 이 예측수준과 실제수행수준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20세 성인의 실제수행은 예측치에 접근한 반면에, 나이가 어릴수록 실제수행과 예측치 간의 격차가 심했으며, 4세 아동은 가장 높게 예측했으나 실제수행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4세 아동에게 10개의 그림 중 몇 개를 기억할 수 있는지를 물어보면, 대부분 10개라고 대답하지만. 실제는 그보다 훨씬 적은 수의 그림만을 기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4세 아동들의 자신의 기억량에 대한 추정치가 나이든 아동의 추정치보다 크지만,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신의 기억능력에 대한 평가가 현실적인 것으로 되어간다는 것을 나타낸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기억발달
(A+, 교육심리) 지능이론 및 기억발달
(A+, 교육심리) 지능이론 및 기억발달
아동기억발달,아동기억,아동기 사고의 특성,기억의 종류와 과정.ppt
유아의 기억발달에 도움이 되는 기억책략을 유아에게 학습시키기에 적합한 방안을 논하시오
[유아기 발달특성] 유아기 인지발달, 기억발달, 언어발달, 다중지능이론, 유아기 언어발달에 ...
영아기 인지발달(감각운동기, 대상연속성 개념의 발달, 영아기 기억발달)
아동기 기억발달(기억의 기본능력변화 기억책략의 발달 상위기억발달 지식기반과 기억발달)
아동의 인지발달(피아제의 사고발달단계 기억발달 언어발달)
[유아의 기억발달] 기억용량의 증가 기억전략의 발달(시연 조직화 정교화 인출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