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해결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활용된다. ‘루니툰즈’나 공룡 ‘바니’ 같은 만화주인공들은 널리 알려져 있고 전 세계의 어린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3) 가격 마케팅
원산지 효과로 선진제품이라는 이미지를 프리미엄 가격으로 적용하는 사례를 종종 찾아 볼 수 있다. 일찍이 위생용품이나 개인용품이 발달한 선진국인 미국의 세제나 면도기, 여성용품 등은 해외시장에서 고가격 정책을 가능하게 하였다. P&G의 카매이 비누, 퍼트 플러스 샴푸, 오래이나이트 크림 등은 초기 러시아 시장 진출 시 현지산 제품보다 8배나 비싼 가격으로 설정되었으며, 이들 제품은 러시아의 ‘여성의 날’과 같은 특별한 날에 여성들을 위한 선물용품으로 팔려나갔다. P&G 위스퍼 생리대 또한 중국 진출 시 현지상품의 10배 이상의 가격으로 팔렸고, 존슨앤존슨 샴푸와 반창고는 5배의 프리미엄 가격에, 인도에서 1회용 질레트 면도기는 경쟁 제품보다 2배의 가격으로 출시했다. 이 밖에도 특정 산업분야에서 전통적인 원산지라는 고급 이미지는 해외시장에서 품질 이상의 가격설정을 가능하게 해준다. 스칸디나비아 산 가구, 프랑스산 향수, 이탈리아산 양모제품 등이 여기에 해당하는 제품이라 하겠다.
개도국에 비해 까다롭고 수준 높은 소비자가 있는 성숙시장인 경우에는 브랜드 또는 기업이 의도한 상품 이미지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철저하게 가격대비 품질을 측정하는 소비시장이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 필름시장의 경우 영국 고객은 상표 간 품질의 차이를 거의 느끼지 않으므로 가격에 매우 민감하다. 이 경우 시장진출 가격전략으로 홍보를 강화하여 마케팅 비용을 상승시키기보다는 경쟁자보다 가격을 낮게 설정하는 침투가격 전략이 바람직할 것이다. 성숙한 까다로운 소비자가 존재하는 우리나라의 카메라 시장, 휴대폰 시장 등도 같은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소비자들은 눈에 보이는 가격, 즉 숫자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100원, 1,000원과 99원, 999원 등이 절대가격으로는 별 차이가 나지 않지만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 가격은 앞의 숫자가 바뀜으로써 더 크게 느껴진다. 따라서 기업들은 이 같이 단가에 단수를 붙이는 전략으로 소비자에게 상품가격이 최하의 가능한 선에서 결정되었다는 인상을 주어 판매량을 늘리는 가격 마케팅 전략을 펼칠 수 있다.
4. 결론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소비생활과정에서 나타난 ‘한 사회의 공통된 현상’을 소비문화라 하며, 기업은 상품 개발, 판매하는 데 있어서 소비문화를 이용한다. 기업은 기초적인 소비자 조사를 통해 각 나라별 문화에 따른 소비자의 기호나 현지 시장상황과 같은 소비자의 차이를 정확히 파악해야만 글로벌 마케팅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경영학의 대가 피터 드러커 교수는 “21세기는 문화산업에서 각국의 승패가 결정될 것이며, 최후의 승부처는 바로 문화산업이다.”라고 하였다. 문화산업의 핵심요소들의 중심엔 언어와 상징적인 요소가 있다. 앞서 이러한 요소에 대한 인식여부가 기업의 성패를 좌우했듯, 다가올 무한경쟁사회에서는 그 중요성이 더 부각될 것이다.
(3) 가격 마케팅
원산지 효과로 선진제품이라는 이미지를 프리미엄 가격으로 적용하는 사례를 종종 찾아 볼 수 있다. 일찍이 위생용품이나 개인용품이 발달한 선진국인 미국의 세제나 면도기, 여성용품 등은 해외시장에서 고가격 정책을 가능하게 하였다. P&G의 카매이 비누, 퍼트 플러스 샴푸, 오래이나이트 크림 등은 초기 러시아 시장 진출 시 현지산 제품보다 8배나 비싼 가격으로 설정되었으며, 이들 제품은 러시아의 ‘여성의 날’과 같은 특별한 날에 여성들을 위한 선물용품으로 팔려나갔다. P&G 위스퍼 생리대 또한 중국 진출 시 현지상품의 10배 이상의 가격으로 팔렸고, 존슨앤존슨 샴푸와 반창고는 5배의 프리미엄 가격에, 인도에서 1회용 질레트 면도기는 경쟁 제품보다 2배의 가격으로 출시했다. 이 밖에도 특정 산업분야에서 전통적인 원산지라는 고급 이미지는 해외시장에서 품질 이상의 가격설정을 가능하게 해준다. 스칸디나비아 산 가구, 프랑스산 향수, 이탈리아산 양모제품 등이 여기에 해당하는 제품이라 하겠다.
개도국에 비해 까다롭고 수준 높은 소비자가 있는 성숙시장인 경우에는 브랜드 또는 기업이 의도한 상품 이미지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철저하게 가격대비 품질을 측정하는 소비시장이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 필름시장의 경우 영국 고객은 상표 간 품질의 차이를 거의 느끼지 않으므로 가격에 매우 민감하다. 이 경우 시장진출 가격전략으로 홍보를 강화하여 마케팅 비용을 상승시키기보다는 경쟁자보다 가격을 낮게 설정하는 침투가격 전략이 바람직할 것이다. 성숙한 까다로운 소비자가 존재하는 우리나라의 카메라 시장, 휴대폰 시장 등도 같은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소비자들은 눈에 보이는 가격, 즉 숫자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100원, 1,000원과 99원, 999원 등이 절대가격으로는 별 차이가 나지 않지만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 가격은 앞의 숫자가 바뀜으로써 더 크게 느껴진다. 따라서 기업들은 이 같이 단가에 단수를 붙이는 전략으로 소비자에게 상품가격이 최하의 가능한 선에서 결정되었다는 인상을 주어 판매량을 늘리는 가격 마케팅 전략을 펼칠 수 있다.
4. 결론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소비생활과정에서 나타난 ‘한 사회의 공통된 현상’을 소비문화라 하며, 기업은 상품 개발, 판매하는 데 있어서 소비문화를 이용한다. 기업은 기초적인 소비자 조사를 통해 각 나라별 문화에 따른 소비자의 기호나 현지 시장상황과 같은 소비자의 차이를 정확히 파악해야만 글로벌 마케팅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경영학의 대가 피터 드러커 교수는 “21세기는 문화산업에서 각국의 승패가 결정될 것이며, 최후의 승부처는 바로 문화산업이다.”라고 하였다. 문화산업의 핵심요소들의 중심엔 언어와 상징적인 요소가 있다. 앞서 이러한 요소에 대한 인식여부가 기업의 성패를 좌우했듯, 다가올 무한경쟁사회에서는 그 중요성이 더 부각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