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피아제 이후의 인지발달이론
A. 신피아제 학파
B. 상식이론
C.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I. 근접발달영역
II. 비계
III. 사적 언어
* 참고문헌
A. 신피아제 학파
B. 상식이론
C.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I. 근접발달영역
II. 비계
III. 사적 언어
* 참고문헌
본문내용
II. 비계(scaffolding)
비계(scaffolding)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아동의 요구나 수준에 맞게 성인이나 유능한 또래가 도움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아동이 학습하는 내용이 새로운 것이라면 직접적인 지시를 주고, 아동이 따라오게 되면 직접적인 지신 대신 힌트를 주다가, 아동 혼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면 더 이상 비계는 필요 없게 된다. 비계의 제공은 대부분의 문화에서 보편적인 특징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부모나 성인들이 학습에서 되도록 과제를 단순하게 제공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비계를 사용하는 방법은 문화에 따라 다르다고 한다. 예를 들어 미국이나 터키의 부모들은 언어적 지시와 손가락으로 지적하기 등의 몸짓을 함께 사용하지만, 팔꿈치로 찌르거나 눈짓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반면에 인도의 부모들은 언어적 지시, 몸짓, 접촉, 눈짓을 함께 사용한다.
III. 사적 언어(private speech)
아동은 놀이를 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사용하는 혼잣말을 말한다. 이러한 아동의 혼잣말을 사적언어라 한다. 아동의 혼잣말(사적 언어)은 다른 사람에게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적 언어는 인지발달에서 자기조절을 향하는 중간 단계로서, 처음에는 자기 자신의 혼잣말로 행동을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지시에 의해 조절된다. 그러다가 아동이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자신의 행동과 사고를 조절하고자 할 때 혼잣말(사적 언어)을 사용하게 된다.
마지막에는 아동의 인지적 기술이 향상되면서, 혼잣말(사적 언어)이 내면화되어 겉으로 소리 내지 않고 내면화된 내적 언어(inner speech)를 사용하여 사고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비계(scaffolding)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아동의 요구나 수준에 맞게 성인이나 유능한 또래가 도움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아동이 학습하는 내용이 새로운 것이라면 직접적인 지시를 주고, 아동이 따라오게 되면 직접적인 지신 대신 힌트를 주다가, 아동 혼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면 더 이상 비계는 필요 없게 된다. 비계의 제공은 대부분의 문화에서 보편적인 특징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부모나 성인들이 학습에서 되도록 과제를 단순하게 제공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비계를 사용하는 방법은 문화에 따라 다르다고 한다. 예를 들어 미국이나 터키의 부모들은 언어적 지시와 손가락으로 지적하기 등의 몸짓을 함께 사용하지만, 팔꿈치로 찌르거나 눈짓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반면에 인도의 부모들은 언어적 지시, 몸짓, 접촉, 눈짓을 함께 사용한다.
III. 사적 언어(private speech)
아동은 놀이를 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사용하는 혼잣말을 말한다. 이러한 아동의 혼잣말을 사적언어라 한다. 아동의 혼잣말(사적 언어)은 다른 사람에게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적 언어는 인지발달에서 자기조절을 향하는 중간 단계로서, 처음에는 자기 자신의 혼잣말로 행동을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지시에 의해 조절된다. 그러다가 아동이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자신의 행동과 사고를 조절하고자 할 때 혼잣말(사적 언어)을 사용하게 된다.
마지막에는 아동의 인지적 기술이 향상되면서, 혼잣말(사적 언어)이 내면화되어 겉으로 소리 내지 않고 내면화된 내적 언어(inner speech)를 사용하여 사고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인지발달이론(피아제) 배경과 기본개념, 인지발달이론(피아제) 특징, 인지발달이론(피아제) ...
피아제이론(인지발달이론) 발달배경, 피아제이론(인지발달이론) 기본요소, 피아제이론(인지발...
피아제의 약력, 피아제이론(인지발달이론) 개념과 구성요소, 피아제이론(인지발달이론) 단계,...
피아제(Piaget) 인지발달 이론에 따른 아동의 보존개념 형성정도 실험
(인간과교육공통) 1.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를 설명-현대사회에서평...
[인간과교육] 1.주입식교육관과 성장식교육관 자연주의교육관 진보주의교육관 실존주의교육관...
인간과교육2014) 1.주입식교육관 성장식교육관 자연주의교육관 진보주의교육관 실존주의교육...
피아제(Piaget)와 비고스키(비고츠키/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 이론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