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신분석이론
I. 프로이드의 이론
1. 성격의 구조
2. 성격발달단계
II. 에릭슨의 이론
1. 제1단계 : 신뢰감 대 불신감(출생~1세)
2. 제2단계 : 자율감 대 수치심 및 회의감(2~3세)
3. 제3단계 : 주도성 대 죄책감(4~5세)
4. 제4단계 : 근면성 대 열등감(6~11세)
5. 제5단계 : 정체감 대 정체감 혼돈(12~18세)
6. 제6단계 : 친밀감 대 고립감(19~35세, 성인초기)
7. 제7단계 : 생산성 대 침체감(36~50세, 중년기)
8. 제8단계 : 자아통합감 대 절망감
* 참고문헌
I. 프로이드의 이론
1. 성격의 구조
2. 성격발달단계
II. 에릭슨의 이론
1. 제1단계 : 신뢰감 대 불신감(출생~1세)
2. 제2단계 : 자율감 대 수치심 및 회의감(2~3세)
3. 제3단계 : 주도성 대 죄책감(4~5세)
4. 제4단계 : 근면성 대 열등감(6~11세)
5. 제5단계 : 정체감 대 정체감 혼돈(12~18세)
6. 제6단계 : 친밀감 대 고립감(19~35세, 성인초기)
7. 제7단계 : 생산성 대 침체감(36~50세, 중년기)
8. 제8단계 : 자아통합감 대 절망감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지 못한 청소년들은 성인기에 부정적이며 타인을 잔인하게 취급하고 영웅에 대해 무조건적 동일시나 충성을 다하는 미성숙한 인성특성을 가지게 된다. 영웅이나 위인, 혹은 주위의 성인들을 통하여 역할모델을 제공받은 청소년들은 그렇지 못한 청소년보다 정체감 혼돈의 위기를 더 잘 극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6. 제6단계: 친밀감 대 고립감(19-35세, 성인초기)
이 단계에는 부모로부터 독립을 성취하여 직업을 선택하고 배우자를 찾으면서 성숙하고 책임 있는 성인으로서의 역할을 시작한다. 또한 우정 혹은 성적 결합의 형태로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수립한다. 그러나 친밀감을 발달시키지 못할 경우는 고립감의 위기를 갖는다. 특정 이성과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시키려는 욕구로 인해 궁극적으로 배우자를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획득되는 친밀감은 결혼생활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친밀한 관계를 수립하는데 실패한 개인은 고립감을 가지고 타인과의 접촉을 회피하거나 자신에게 위협적으로 느껴지는 사람에게 거부적이며 공격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
7. 제7단계: 생산성 대 침체감(36-50세, 중년기)
이 시기에는 다음 세대를 교육하고, 사회적 전통을 전수시키며, 가치관을 배양시켜 전달하는 부모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어 생산성을 획득한다. 또한 직업적인 성취나 자기 분야에서도 업적에서도 생산성을 획득할 수 있고, 사회봉사활동으로 자신의 생산성을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음 세대나 사회에 대한 관심보다는 자기 자신의 물질적인 또는 신체적인 안녕에만 치중하게 되면 타인에 대한 관대함이 결여되고 인생에 보람을 느끼지 못해 따분함을 느끼며 대인관계로부터 얻는 풍성함이 부족하게 되어 공허감을 많이 느낀다.
8. 제8단계: 자아 통합감 대 절망감
노년기는 자신의 생애를 돌아보면서 보람이 있었고 가치가 있었다는 것을 인식하고 오랜 삶을 통해 노련한 지혜를 획득하게 되면 자아통합감을 얻게 된다. 이는 개인의 전 생애를 조망하는 방식을 결정한다. 만일 성취감과 만족감으로 생을 회고하며 성패에 잘 적응했다면 자아통제감을 갖게 되는데 이것은 자신의 위치와 과거를 수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신체적인 노쇠와 직업에서의 은퇴, 친구나 배우자의 사망 등이 일어나는 인생말기이므로 무력감을 많이 느끼는 시기이며, 자신의 지나 온 인생이 무의미한 것이었다고 느끼면 절망에 빠지게 된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6. 제6단계: 친밀감 대 고립감(19-35세, 성인초기)
이 단계에는 부모로부터 독립을 성취하여 직업을 선택하고 배우자를 찾으면서 성숙하고 책임 있는 성인으로서의 역할을 시작한다. 또한 우정 혹은 성적 결합의 형태로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수립한다. 그러나 친밀감을 발달시키지 못할 경우는 고립감의 위기를 갖는다. 특정 이성과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시키려는 욕구로 인해 궁극적으로 배우자를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획득되는 친밀감은 결혼생활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친밀한 관계를 수립하는데 실패한 개인은 고립감을 가지고 타인과의 접촉을 회피하거나 자신에게 위협적으로 느껴지는 사람에게 거부적이며 공격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
7. 제7단계: 생산성 대 침체감(36-50세, 중년기)
이 시기에는 다음 세대를 교육하고, 사회적 전통을 전수시키며, 가치관을 배양시켜 전달하는 부모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어 생산성을 획득한다. 또한 직업적인 성취나 자기 분야에서도 업적에서도 생산성을 획득할 수 있고, 사회봉사활동으로 자신의 생산성을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음 세대나 사회에 대한 관심보다는 자기 자신의 물질적인 또는 신체적인 안녕에만 치중하게 되면 타인에 대한 관대함이 결여되고 인생에 보람을 느끼지 못해 따분함을 느끼며 대인관계로부터 얻는 풍성함이 부족하게 되어 공허감을 많이 느낀다.
8. 제8단계: 자아 통합감 대 절망감
노년기는 자신의 생애를 돌아보면서 보람이 있었고 가치가 있었다는 것을 인식하고 오랜 삶을 통해 노련한 지혜를 획득하게 되면 자아통합감을 얻게 된다. 이는 개인의 전 생애를 조망하는 방식을 결정한다. 만일 성취감과 만족감으로 생을 회고하며 성패에 잘 적응했다면 자아통제감을 갖게 되는데 이것은 자신의 위치와 과거를 수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신체적인 노쇠와 직업에서의 은퇴, 친구나 배우자의 사망 등이 일어나는 인생말기이므로 무력감을 많이 느끼는 시기이며, 자신의 지나 온 인생이 무의미한 것이었다고 느끼면 절망에 빠지게 된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 이론과 에릭슨 이론)
[사회복지실천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성격 형성 이론 비교(프로이드, 에릭슨)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 이론, 피아제의 인지 발달이론의 인간발달단계...
프로이드(프로이트/Freud)와 에릭슨(Erikson) :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이론
프로이드(Freud)의 정신분석이론과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이론의 주요내용 및 차이점...
프로이드(Freud)의 정신분석이론과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이론
프로이드(Freud)의 정신분석이론과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이론의 주요내용 및 차이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