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사례
2) 최근 유니버설디자인 공모전 수상자 경향
3) 창의적 사례
3. 결론
4. 참고 및 문헌
2. 본론
1)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사례
2) 최근 유니버설디자인 공모전 수상자 경향
3) 창의적 사례
3. 결론
4. 참고 및 문헌
본문내용
은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다(강현재 외, 2018). 이는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이 아직도 많은 사람에게 모든 사람을 위한 포용적 디자인이라는 인식이 적기 때문이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다.
3) 창의적 사례
최근 맥도날드는 독특한 마케팅으로 맥도날드 신제품과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을 톡톡히 홍보했다. 속이 가득한 수제 버거를 먹다 보면 토핑과 소스들이 빵 밖으로 빠져나가기 일쑤이다. 트레이나 테이블에 떨어진 내용물들을 다시 빵 속에 넣기도 모호하고 그대로 두자니 아깝다. 이에 맥도날드는 토핑 소스가 중심이 되는 새로운 수제버거를 출시하면서 소스까지 눈치 보지 않고 깔끔히 먹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특별한 포크를 함께 선보였다. 프라이드+포크=프로크 라는 이름이다. 갈퀴 없는 포크에 감자튀김 세개를 끼워 넣어 흘린 소스들을 찍어 먹을 수 있고 양손잡이가 사용 가능하다. 쓸데없는 개발과 광고라는 소리와 소비자들의 호기심으로 새로운 버거 홍보는 흥행했고 유니버설디자인이라는 개념도 알릴 수 있었다. 또한, 유니버설디자인에 쉽고 재미있게 누구나 다가갈 수 있었던 사례라고 생각한다.
3. 결론
선진국의 경우 모든 사람을 위한 편리한 공간 장소 제품을 만드는 기본 디자인의 원리로 정착되어가고 있다. 세계화의 흐름으로 인종과 문화가 통합 운용되는 측면에 고려가 요구되고 있고, 선진 사회로 진입하기 위해 유니버설디자인 도입의 필요성이 점점 커져서 각종 표시나 편의시설, 공공 건축 시설물 등의 설계와 미래지향적 디자인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에 우리도 전체 사회적인 개편이 필요하다. 특히,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개념 확립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우리나라 사람들은 유니버설디자인과 배리어프리 디자인을 동일화시키고 있다. 배리어프리 디자인은 모든 사람이 인생의 한 시점에서 무언가 장애를 가질 수 있는 개념으로 장애의 부위와 정도에 따라 발생하는 배리어에 대처하는 것이며, 유니버설디자인은 장애의 유무·연령·성별·국적·인종 등과 관계없이 다양한 사람들이 기분 좋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시와 생활환경, 정보를 계획하고 디자인하는 것을 말한다.
4. 참고 및 문헌
강현재,김영주,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2, [2018])
“유니버설 디자인 공모전 수상작의 디자인 경향 분석(2006~2016)”
장호현, (한국디자인포럼, Vol.0 No.10, [2004]) “접근성과 사용성을 고려한 유니버설디자인의 기호학적 인터페이스 고찰”
3) 창의적 사례
최근 맥도날드는 독특한 마케팅으로 맥도날드 신제품과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을 톡톡히 홍보했다. 속이 가득한 수제 버거를 먹다 보면 토핑과 소스들이 빵 밖으로 빠져나가기 일쑤이다. 트레이나 테이블에 떨어진 내용물들을 다시 빵 속에 넣기도 모호하고 그대로 두자니 아깝다. 이에 맥도날드는 토핑 소스가 중심이 되는 새로운 수제버거를 출시하면서 소스까지 눈치 보지 않고 깔끔히 먹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특별한 포크를 함께 선보였다. 프라이드+포크=프로크 라는 이름이다. 갈퀴 없는 포크에 감자튀김 세개를 끼워 넣어 흘린 소스들을 찍어 먹을 수 있고 양손잡이가 사용 가능하다. 쓸데없는 개발과 광고라는 소리와 소비자들의 호기심으로 새로운 버거 홍보는 흥행했고 유니버설디자인이라는 개념도 알릴 수 있었다. 또한, 유니버설디자인에 쉽고 재미있게 누구나 다가갈 수 있었던 사례라고 생각한다.
3. 결론
선진국의 경우 모든 사람을 위한 편리한 공간 장소 제품을 만드는 기본 디자인의 원리로 정착되어가고 있다. 세계화의 흐름으로 인종과 문화가 통합 운용되는 측면에 고려가 요구되고 있고, 선진 사회로 진입하기 위해 유니버설디자인 도입의 필요성이 점점 커져서 각종 표시나 편의시설, 공공 건축 시설물 등의 설계와 미래지향적 디자인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에 우리도 전체 사회적인 개편이 필요하다. 특히,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개념 확립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우리나라 사람들은 유니버설디자인과 배리어프리 디자인을 동일화시키고 있다. 배리어프리 디자인은 모든 사람이 인생의 한 시점에서 무언가 장애를 가질 수 있는 개념으로 장애의 부위와 정도에 따라 발생하는 배리어에 대처하는 것이며, 유니버설디자인은 장애의 유무·연령·성별·국적·인종 등과 관계없이 다양한 사람들이 기분 좋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시와 생활환경, 정보를 계획하고 디자인하는 것을 말한다.
4. 참고 및 문헌
강현재,김영주,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2, [2018])
“유니버설 디자인 공모전 수상작의 디자인 경향 분석(2006~2016)”
장호현, (한국디자인포럼, Vol.0 No.10, [2004]) “접근성과 사용성을 고려한 유니버설디자인의 기호학적 인터페이스 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