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아기 정서발달
1. 공포와 불안
2. 분노
3. 질투
4. 울음, 기쁨, 웃음
5. 호기심
6. 자율성
7. 공격성
8. 자아의 발달
* 참고문헌
1. 공포와 불안
2. 분노
3. 질투
4. 울음, 기쁨, 웃음
5. 호기심
6. 자율성
7. 공격성
8. 자아의 발달
* 참고문헌
본문내용
러 돌아올 수 있는 안전한 피난처로서의 역할을 해줄 필요가 있다.
(7) 공격성
4-5세 유마는 놀리고, 홍보고, 욕하며, 상대방을 위협하고 모욕을 가하는 등 언어적 공격성도 나타나게 된다. 이시기 아동의 공격성은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것을 얻기 위해 타인에게 해를 가하는 도구적 공격성이 나타난다. 특히 이 시기는 공격적인 충동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남의 입장을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을 때리고 물고 꼬집는 행동이 비교적 흔하게 나타난다. 이런 공격적인 행동은 자신의 힘을 과시하는 측면도 있으며, 피곤하거나 흥분할 때, 또는 떼쓰기를 할 때 자주 나타나게 된다.
이런 행동이 나타날 때마다 아이의 어깨를 잡고 두 눈을 쳐다보며 단호하게 '안 돼!'라고 말해주는 것이 좋다. 그 이유를 설명해 주면서 앞으로도 그런 행동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말해준다. 이런 과정에서 아이의 행동을 똑같이 되돌려주는 방식으로 지도하는 부모나 교사도 있지만, 아이에게'공격적인 행동을 가르치는 원치 않는 결과가 초래되므로 피하는 것이 좋겠다. 이 방법으로 효과가 없다면, 그런 행동이 있을 때마다 일시적으로 아이를 3-5분 정도 혼자 있게 하는 타임아웃 기법을 사용해본다. 또한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는 공감훈련이 있다. 공격적 행동의 동기는 종종 분노이므로 분노를 공감으로 대치시키거나 공감을 증진시키는 방법이다. 즉, 갈등상황에서 자신의 분노에만 몰입하는 것에서 벗어나 타인의 슬픔, 분노 등의 정서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8) 자아의 발달
이 시기의 유아는 애착 대상과의 격리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의연히 대처할 수 있게 되면서 개체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유아의 개체화를 뒷받침해주는 발달은 사물을 스스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능력의 발달과 자신이 부모와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인식이다. 이 시기에 자기를 돌볼 수 있는 능력인 자조기능이 발달하면서 유아는 자기 몸과 주변의 환경을 능숙하게 조절할 수 있을 때 자율감과 성취감을 맛보게 된다. 유아는 블록 쌓기 등의 놀이를 즐기면서 제 뜻대로 잘 쌓으면 기뻐하고 잘못하여 실패를 하면 몇 번이고 반복하면서 능숙하게 성취하려고 하며, 잘 안 되면 화를 낸다. 놀이를 통해 유아는 새 기술을 익히고 그것을 기초로 보다 세련된 다른 기술을 새로이 배우려고 끈질기게 시도한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7) 공격성
4-5세 유마는 놀리고, 홍보고, 욕하며, 상대방을 위협하고 모욕을 가하는 등 언어적 공격성도 나타나게 된다. 이시기 아동의 공격성은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것을 얻기 위해 타인에게 해를 가하는 도구적 공격성이 나타난다. 특히 이 시기는 공격적인 충동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남의 입장을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을 때리고 물고 꼬집는 행동이 비교적 흔하게 나타난다. 이런 공격적인 행동은 자신의 힘을 과시하는 측면도 있으며, 피곤하거나 흥분할 때, 또는 떼쓰기를 할 때 자주 나타나게 된다.
이런 행동이 나타날 때마다 아이의 어깨를 잡고 두 눈을 쳐다보며 단호하게 '안 돼!'라고 말해주는 것이 좋다. 그 이유를 설명해 주면서 앞으로도 그런 행동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말해준다. 이런 과정에서 아이의 행동을 똑같이 되돌려주는 방식으로 지도하는 부모나 교사도 있지만, 아이에게'공격적인 행동을 가르치는 원치 않는 결과가 초래되므로 피하는 것이 좋겠다. 이 방법으로 효과가 없다면, 그런 행동이 있을 때마다 일시적으로 아이를 3-5분 정도 혼자 있게 하는 타임아웃 기법을 사용해본다. 또한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는 공감훈련이 있다. 공격적 행동의 동기는 종종 분노이므로 분노를 공감으로 대치시키거나 공감을 증진시키는 방법이다. 즉, 갈등상황에서 자신의 분노에만 몰입하는 것에서 벗어나 타인의 슬픔, 분노 등의 정서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8) 자아의 발달
이 시기의 유아는 애착 대상과의 격리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의연히 대처할 수 있게 되면서 개체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유아의 개체화를 뒷받침해주는 발달은 사물을 스스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능력의 발달과 자신이 부모와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인식이다. 이 시기에 자기를 돌볼 수 있는 능력인 자조기능이 발달하면서 유아는 자기 몸과 주변의 환경을 능숙하게 조절할 수 있을 때 자율감과 성취감을 맛보게 된다. 유아는 블록 쌓기 등의 놀이를 즐기면서 제 뜻대로 잘 쌓으면 기뻐하고 잘못하여 실패를 하면 몇 번이고 반복하면서 능숙하게 성취하려고 하며, 잘 안 되면 화를 낸다. 놀이를 통해 유아는 새 기술을 익히고 그것을 기초로 보다 세련된 다른 기술을 새로이 배우려고 끈질기게 시도한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가정교육학과 유아기 사회정서발달
부모의 맞벌로 인해 많은 어린 유아들이 부모를 대신해서 유아교육기관 보육과 교육을 받고 ...
[유아발달] 유아기 정서발달의 중요성과 정서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교육방법을 제...
[유아기 정서발달] 유아기의 정서표현(정서이해발달), 정서지능의 개념과 구성요소, 정서지능...
[유아기 발달] 유아기 정서발달과 사회성발달(유아기 정서발달의 의의와 유형, 유아기 사회성...
영유아기 정서발달(영아-유아 정서표현, 정서이해, 정소조절, 정서지능)
[유아기 정서발달] 유아기 정서표현의 특징, 유아의 정서유형, 정서이해와 정서조절능력의 발달
[유아기 정서발달] 유아기 정서표현, 유아의 정서이해능력 및 정서규제능력의 발달
영유아 정서발달(영유아기 정서표현, 정서이해능력, 정서규제능력의 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