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朱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자(朱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序 論

Ⅱ. 주자의 생애와 저서

Ⅲ. 성리학의 출현 배경

Ⅳ. 주자의 사상
(1) 理氣論
(2) 心性論
(3) 修養論
(4) 人心道心, 知行의 문제

Ⅴ. 結 論

본문내용

위태로운 것은 편안해질 것이며, 은미한 것은 뚜fut하게 모자람과 넘침이 없을 것이다. 이 뜻은 감성적인 욕구를 완전히 제거하라는 것이 아니라 도덕원칙에 어긋나면서까지 지나치게 利慾만을 추구하는 의식을 도덕의식으로 극복하라는 뜻이다.
10. 先知後行
先知後行이란 먼저 알고 나중에 행위하라는 의미이다. 이것은 明代 王陽明에 의해 지와 행의 관계는 같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知行合一, 행동이 먼저이고 인식이 나중에 있다는 行先知後 사상에 의해 비판을 받게 된다. 여기에서는 지와 행을 주희의 사상으로만 말해보고자 한다. 知는 도덕의식, 행은 실천과 관계된다. 주희는 논리적으로 도덕지식이 실천보다 앞선다고 보는 입장이다. 지는 지식 or 지식의 추구이며, 행은 이미 갖고 있는 지식을 실행한다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어떤 것이 도덕적인 것인지 알아야(知) 실천(行)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經知重行 이라 하여 행동이 앎보다 무겁다는 의미이다. 이것은 그만큼 행동에 비중을 앎보다 더 둔다는 뜻이다. 이는 왕양명과 입장을 같이 한다. 格物致知는 사물의 理를 알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그 앎을 실천하지 않는다면 덕성의 함양효과를 나타낼 수 없을 것이다. 반드시 실행이 없다면 治國, 平天下를 이루어 낼 수 없을 것이다.
知行互發이란, 先知後行의 의미는 “앎이 지극해진” 다음에 역행하라는 의미가 아니다. 구체적인 실천 속에서 ‘지와 행은 서로 일으킨다(知行互發)’, ‘지와 행의 공부는 반드시 함께 병행해야 한다.(知行竝進)’는 뜻이다. 이는 王陽明의 주장과 같은 입장이다.
11. 性卽理와 心卽理, 理氣二元論과 理氣一元論
♣《性卽理 vs 心卽理》
① 性卽理란 우주의 보편적인 理는 理一分殊 사상에 근거하여 세상 만물의 개개의 사물에게도 理가 부여된다. 그것이 바로 성이다. 이 성은 곧 仁義禮智를 일컫는다. 즉, 우주본연의 理가 각각의 개개 사물에도 존재하기 때문에 개개의 사물의 성을 格함으로써 우주 본연의 理인 太極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理를 구하기 위한 수양의 방법에는 格物과 窮理가 있으며,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오늘 한 사물을 격하고 내일 한 사물을 격하면” 이것이 점진적으로 쌓여서 어느 순간 豁然貫通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수양방법으로는 靜坐와 見聞之知가 있다.
② 心卽理란 장재 이래 정호와 육구연에 이어 心學을 집대성한 왕양명이 주장한 것으로, 주희의 성즉리와 대비되는 것이다. 心卽理란 “마음이 곧 이치이다.”, “마음 밖에는 理가 없고, 마음 밖에는 사물도 없다.(心外無理, 心外無物)”의 뜻이다. 이는 외부에 있는 객관 사물은 격할 수 없으며, 오로지 마음을 格物窮理 할 때에만이 理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인간의 마음으로 理를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은 마음속에 양지가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致良知說과 연결된다.
♣《理氣二元論 vs 理氣二元論》
理氣二元論과 理氣一元論은 性卽理와 心卽理와 마찬가지로 宋과 明代 新儒學의 두 흐름이다. 理氣二元論은 이와 기에 같은 위치를 부과하였으나 理에 보다 많은 중점을 두어 리와 기의 관계를 설명한 것이고, 太極圖說의 주렴계를 시작으로 하여 정이천, 그리고 주희에 이르러 집대성 된다. 理氣一元論은 반대로 우주의 모든 존재의 원리를 氣로써 설명하여 理는 氣안에 존재하는 원리일 뿐이라는 주장으로 장재를 시작으로 정명도, 아호논쟁으로 유명한 육구연을 거쳐 왕양명에 이르러 집대성된다.
① 理氣二元論
理란 우주의 절대 보편적인 원리로써 움직임은 없으나 움직임의 원인이 된다. 理는 形而上者로써 형체가 없는 본체가 되고, 理一分殊 사상에 근거하여 각 사물에 성이 부여되기 위해서는 움직일 수 있는 기가 필요하다. 氣란 형체와 움직임이 있는 形以下者로써 이에서 성이 부여되기 위해서는 기가 필요하다. 기는 인성에 있어서 情과 같은 것으로써 사물이 생성됨에 있어서 기로써 형체를 이루고 이로써 본질을 이룬다고 본다.
이러한 이와 기는 개념상 서로 분리되나, 현실적으로는 분리할 수 없고, 우주 만물을 이루는 체와 용으로써 작용한다. 주자학의 입장에서 보면 기보다가는 이를 더 중시하는 경향이 보인다. 즉 학문의 수양 목적은 우주 본연의 理를 구하는데 있는 것과 같다.
② 氣一元論
우주 만물은 모두 기의 상태에 있다. 그리고 우주 만물의 생성 원인도 기에 의해 가능하다. 고요하고 감응이 없는 본연지성의 상태가 기의 본질이다. 만물은 기가 離合聚散 되어 서로 다르게 품수 받기 때문에 각 사물은 모두 다르게 나타난다. 이란 기안에 포함되어 있는 우주의 원리에 불과하다는 입장이다.
Ⅴ. 結 論
지금까지 주자의 생애와 사상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실로 신유학이라 불리는 성리학은 공맹의 유학과는 비교도 되지 않은 만큼 학문의 깊이는 심오하며, 그 이론적 바탕도 탄탄하다. 당대 지배적이었던 불교와 도교의 사상으로부터 독립하기 위해 형이상학적인 부분을 바탕으로 한 우주론을 시작으로 심성론과 수양론으로 이루어진 성리학은 이후 원대와 명청시대를 거치면서 명실상부한 정치철학으로써의 자리매김과 함께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강력한 정신사적 사상으로 발전하였다.
이와 기의 개념을 바탕으로 이기의 선후, 이기의 동정으로 인간의 심성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맹자가 주장한 성선설의 이론적 부족함을 메웠으며, 심성론의 보다 확고한 자리를 차지함으로써 공맹 이후 사장의 학을 버리고 수양론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그러나 주자가 집대성한 성리학은 심학이라는 또 다른 방향으로의 길을 모색하기에 이르고, 한국으로 넘어와서 四端七情論과 같은 보다 깊은 철학적 논쟁을 유발하게 되어, 주자철학의 해석상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어 명료한 철학적 완성을 이루지 못하였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한계점을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동아시아의 정신적, 도덕적인 원류가 주자철학 즉 성리학임을 인식할 때 주자는 실로 위대한 인물임에는 틀림없다.
《 참 고 문 헌 》
오오하마 아끼라 임헌규 譯, 주자의 철학, 인간사랑, 1997
이강대, 주자학의 인간학적 이해, 예문서원, 2000
이광율 유명종, 중국철학사 上中, 중문출판사, 1999
동래 안재호 譯, 송명성리학, 예문서원, 1997

키워드

  • 가격1,6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5.23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001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