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폐의 구조와 역할 ----------------------------------------------------------- p. 1
2. 폐렴(pneumonia)의 문헌고찰 ----------------------------------------------- p. 1 - 11
1) 폐렴(pneumonia)의 정의 ---------------------------------------------------- p. 1 - 3
2) 폐렴(pneumonia)의 원인과 위험요인 ----------------------------------------- p. 3
3) 폐렴(pneumonia)의 병태생리 ------------------------------------------------ p. 3 - 4
4) 폐렴(pneumonia)의 임상증상 ------------------------------------------------ p. 4
5) 폐렴(pneumonia)의 진단검사 ------------------------------------------------ p. 5
6) 폐렴(pneumonia)의 치료 ---------------------------------------------------- p. 5 - 6
3. 인공호흡기 간호 ----------------------------------------------------------- p. 6 - 12
Ⅱ. 본론
1. 일반적 사항 ----------------------------------------------------------------- p. 12
2. 과거력 ---------------------------------------------------------------------- p. 12
3. 신체사정 ----------------------------------------------------------------- p. 13 - 15
4. Intake & Output ----------------------------------------------------------- p. 16
5. V/S (BP-PR(회/분)-RR(회/분)-BT(℃)) -------------------------------------- p. 16 - 18
6. 진단검사 ----------------------------------------------------------------- p. 18 - 20
7. 영상의학 판독 보고서 ---------------------------------------------------- p. 20 - 21
8. 투약 --------------------------------------------------------------------- p. 21 - 24
Ⅲ. 간호과정
#1 고체온 ------------------------------------------------------------------ p. 24- 28
#2 비효율적 기도청결 ------------------------------------------------------ p. 29 - 33
Ⅳ. 결론
1. 느낀 점 ------------------------------------------------------------------ p. 33 - 34
2. 참고문헌 ----------------------------------------------------------------- p. 34
1. 폐의 구조와 역할 ----------------------------------------------------------- p. 1
2. 폐렴(pneumonia)의 문헌고찰 ----------------------------------------------- p. 1 - 11
1) 폐렴(pneumonia)의 정의 ---------------------------------------------------- p. 1 - 3
2) 폐렴(pneumonia)의 원인과 위험요인 ----------------------------------------- p. 3
3) 폐렴(pneumonia)의 병태생리 ------------------------------------------------ p. 3 - 4
4) 폐렴(pneumonia)의 임상증상 ------------------------------------------------ p. 4
5) 폐렴(pneumonia)의 진단검사 ------------------------------------------------ p. 5
6) 폐렴(pneumonia)의 치료 ---------------------------------------------------- p. 5 - 6
3. 인공호흡기 간호 ----------------------------------------------------------- p. 6 - 12
Ⅱ. 본론
1. 일반적 사항 ----------------------------------------------------------------- p. 12
2. 과거력 ---------------------------------------------------------------------- p. 12
3. 신체사정 ----------------------------------------------------------------- p. 13 - 15
4. Intake & Output ----------------------------------------------------------- p. 16
5. V/S (BP-PR(회/분)-RR(회/분)-BT(℃)) -------------------------------------- p. 16 - 18
6. 진단검사 ----------------------------------------------------------------- p. 18 - 20
7. 영상의학 판독 보고서 ---------------------------------------------------- p. 20 - 21
8. 투약 --------------------------------------------------------------------- p. 21 - 24
Ⅲ. 간호과정
#1 고체온 ------------------------------------------------------------------ p. 24- 28
#2 비효율적 기도청결 ------------------------------------------------------ p. 29 - 33
Ⅳ. 결론
1. 느낀 점 ------------------------------------------------------------------ p. 33 - 34
2. 참고문헌 ----------------------------------------------------------------- p. 34
본문내용
1회에 20~30분 동안 체위 배액을 시행한다.
· 대상자가 허약함이나 어지러움을 느끼기 시작하면 배액을 중지한다.
· 식사 후 1~2시간 동안은 구토를 피하기 위해 체위배액을 하지 않는다.
· 체위배액 시 가습요법을 증진하기 위해 대상자가 적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10. position change를 2시간마다 한다.
→ change position은 등마사지와 기관분비물의 배출, 체위 변경을 위해 사용된다. 측위는 머리와 목 아래 베개를 대주는 것은 목의 측굴곡 예방과 구강분비물이 잘 나오게 하기 위해, 상박 아래에 베개를 대주고 전박이 굴곡되는 등 편안한 자세가 되게 하는 것은 호흡을 유지하기 위해(심스위는 등마사지와 구강과 상기도 분비물 배액을 위함이다. 복위은 흉곽 끝과 상복부 아래에 적당한 지지대를 대주어 호흡을 용이하게 하고 호흡공간을 만들어준다.) - 기본간호학 수기 p.229
11. 가습기를 통해 수분이 많은 환경을 만든다.
→ 공기 습도가 낮을 때 흡입되는 공기를 가습화 시키기 위해 인공적인 방법이며 건조한 공기의 흡인은 호흡기도의 정상수분을 제거하며 가극과 감염으로부터의 방어 기능을 손상시킨다. - 성인간호학 p.358
12. 산소를 제공한다.
→ 손상받은 뇌를 지지하기 위해 산소요법이 필요할 수도 있으며, 필요 시, ventilator 100% 산소를 공급한다.
13. 처방된 진해제,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한다.
→ 분비물의 점도를 낮추어 호흡기 분비물의 제거를 촉진시켜 주는 약물이며 극도로 점도가 높은 분비물을 갖고 있는 대상자는 기침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분비물을 액화시킬 일요가 있다. 기관지 확장제를 Neblizer 기구를 통해 호흡시 분무하게 하여 기관지를 넓혀 주어 분비물 배출을 용이하게 해주기 위함이다. - 성인간호학 p.357
1. 1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함.
2. 1시간마다 맥박산소계측으로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였더니 95%가 측정됨.
일자
시간
Spo2
BP
PR
RR
BT(℃)
ETco2
4/25
01:00
98
159/78
94
23
36.6
34
01:49
98
182/83
100
25
02:00
99
176/82
90
22
37.1
35
04:00
97
146/76
90
29
36.9
31
06:00
96
141/84
91
26
36.5
36
08:00
95
182/90
102
23
36.6
34
09:00
97
126/68
92
12
36.4
45
10:00
97
136/70
92
12
36.8
45
14;00
98
174/92
100
17
37.0
41
16:00
98
178/80
108
15
37.8
45
16:30
96
130/62
16:45
Fresofol투여해서 sedation
3mcg/kg/min
16:56
베카론 3MIV
17:00
98
102/54
96
27
36.9
48
17:15
96
86/50
17:27
95
190/86
18:00
96
95/64
82
27
36.9
40
20:00
96
124/48
82
27
36.6
42
22:00
96
104/50
80
28
36.7
41
3. 22회/min이상으로 얕고 빠른 호흡과 폐 청진 시 rale들림, grunting sound 증가함. purulent sputum있음. 자가호흡이 불완전하여 ventilator mode P/PSIMV, RR 28, Fio2 0.5, PEEP/PSV 5/12, 최고흡기압 27, 흡입시간 1로 설정함.
4. ABGA를 정상범위내에 유지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함.
항목
결과
정상범주
단위
4/23
4/24
4/25
pH
7.405
7.398
7.337▽
7.357.45
-
pCO2
57.1△
62.8△
79.4△
35 - 45
mmHg
pO2
59.8▽
133.0△
64.2▽
80 - 90
mmHg
HCO3
35△
38△
42.5△
22 - 26
mmol/L
BE
9.20△
11.70△
14.0△
± 2
mEq/L
SaO2
90▽
99
90.5▽
95-100
%
Tco2
30.1△
31.5△
32.8△
22 - 34
mEq/L
현재 ABGA 결과가 pH 7.337▽, pCO2 79.4△, pO2 64.2▽, HCO3 42.5△, BE 14.0△, O2 content 12.3▽, SaO2 90.5▽, Tco2 32.8△ 정상범위 내로 유지되지 못한 수치를 보임.
5. 대상자는 현재 비인두기도와 E-tube을 하여 ventilator 중이며, 기침과 구토반사가 확인되지 않음.
6. 상체를 30°로 상승시킨 체위를 취하고 있음.
7. 1~2시간마다 suction을 시행함. oral suction 시 다량의 침 흡인, E-tube의 suction 시 연노란색의 다량의 thick 객담 흡인됨.
8 흉부의 vest로 진동법을 통해 흉부의 분비물을 떨어트리고, 흉부에 타진법을 적용하여 분비물을 쉽게 뱉어낼 수 있게 한 뒤, suction 수행함.
9. 복와위 취하여 Pco2와 함께 폐 저부에 있던 분비물을 배출시키는 체위백액을 수행함.
10. 2시간마다 change position를 하면서 머리와 목 아래 베개를 대주어 목의 측굴곡 예방과 구강분비물이 잘 나오도록 도와줌.
11. nebulizer을 사용해 대상자에게 가습된 공기를 제공함.
12. 인공호흡기를 통해 산소를 제공하고 있음. ventilator mode P/PSIMV, RR 28, Fio2 0.5, PEEP/PSV 5/12, 최고흡기압 27, 흡입시간 1로 설정함.
13. 처방된 진해제인 Ventoline 2.5mg/amp, Atovent 500mcg/2ml을 6시간마다 nebulizer함.
간호평가
4/25 현재 대상자는 호흡수를 측정한 결과 정상범위(10~20회/min)을 유지하려고 햇으나 25회/min이상의 빈호흡을 보였음. 2시간마다 suction을 통해 객담배출하여 기도 청결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스스로 효율적인 객담배출을 하지 못해 장기목표는 지속적인 관찰 필요함.
Ⅳ. 결론
느낀 점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김옥수 외 공저, 2015, p 608~609
- 성인간호학 상, 정담미디어, 이영휘 외 공저, 2013, p 666~669
· 대상자가 허약함이나 어지러움을 느끼기 시작하면 배액을 중지한다.
· 식사 후 1~2시간 동안은 구토를 피하기 위해 체위배액을 하지 않는다.
· 체위배액 시 가습요법을 증진하기 위해 대상자가 적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10. position change를 2시간마다 한다.
→ change position은 등마사지와 기관분비물의 배출, 체위 변경을 위해 사용된다. 측위는 머리와 목 아래 베개를 대주는 것은 목의 측굴곡 예방과 구강분비물이 잘 나오게 하기 위해, 상박 아래에 베개를 대주고 전박이 굴곡되는 등 편안한 자세가 되게 하는 것은 호흡을 유지하기 위해(심스위는 등마사지와 구강과 상기도 분비물 배액을 위함이다. 복위은 흉곽 끝과 상복부 아래에 적당한 지지대를 대주어 호흡을 용이하게 하고 호흡공간을 만들어준다.) - 기본간호학 수기 p.229
11. 가습기를 통해 수분이 많은 환경을 만든다.
→ 공기 습도가 낮을 때 흡입되는 공기를 가습화 시키기 위해 인공적인 방법이며 건조한 공기의 흡인은 호흡기도의 정상수분을 제거하며 가극과 감염으로부터의 방어 기능을 손상시킨다. - 성인간호학 p.358
12. 산소를 제공한다.
→ 손상받은 뇌를 지지하기 위해 산소요법이 필요할 수도 있으며, 필요 시, ventilator 100% 산소를 공급한다.
13. 처방된 진해제,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한다.
→ 분비물의 점도를 낮추어 호흡기 분비물의 제거를 촉진시켜 주는 약물이며 극도로 점도가 높은 분비물을 갖고 있는 대상자는 기침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분비물을 액화시킬 일요가 있다. 기관지 확장제를 Neblizer 기구를 통해 호흡시 분무하게 하여 기관지를 넓혀 주어 분비물 배출을 용이하게 해주기 위함이다. - 성인간호학 p.357
1. 1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함.
2. 1시간마다 맥박산소계측으로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였더니 95%가 측정됨.
일자
시간
Spo2
BP
PR
RR
BT(℃)
ETco2
4/25
01:00
98
159/78
94
23
36.6
34
01:49
98
182/83
100
25
02:00
99
176/82
90
22
37.1
35
04:00
97
146/76
90
29
36.9
31
06:00
96
141/84
91
26
36.5
36
08:00
95
182/90
102
23
36.6
34
09:00
97
126/68
92
12
36.4
45
10:00
97
136/70
92
12
36.8
45
14;00
98
174/92
100
17
37.0
41
16:00
98
178/80
108
15
37.8
45
16:30
96
130/62
16:45
Fresofol투여해서 sedation
3mcg/kg/min
16:56
베카론 3MIV
17:00
98
102/54
96
27
36.9
48
17:15
96
86/50
17:27
95
190/86
18:00
96
95/64
82
27
36.9
40
20:00
96
124/48
82
27
36.6
42
22:00
96
104/50
80
28
36.7
41
3. 22회/min이상으로 얕고 빠른 호흡과 폐 청진 시 rale들림, grunting sound 증가함. purulent sputum있음. 자가호흡이 불완전하여 ventilator mode P/PSIMV, RR 28, Fio2 0.5, PEEP/PSV 5/12, 최고흡기압 27, 흡입시간 1로 설정함.
4. ABGA를 정상범위내에 유지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함.
항목
결과
정상범주
단위
4/23
4/24
4/25
pH
7.405
7.398
7.337▽
7.357.45
-
pCO2
57.1△
62.8△
79.4△
35 - 45
mmHg
pO2
59.8▽
133.0△
64.2▽
80 - 90
mmHg
HCO3
35△
38△
42.5△
22 - 26
mmol/L
BE
9.20△
11.70△
14.0△
± 2
mEq/L
SaO2
90▽
99
90.5▽
95-100
%
Tco2
30.1△
31.5△
32.8△
22 - 34
mEq/L
현재 ABGA 결과가 pH 7.337▽, pCO2 79.4△, pO2 64.2▽, HCO3 42.5△, BE 14.0△, O2 content 12.3▽, SaO2 90.5▽, Tco2 32.8△ 정상범위 내로 유지되지 못한 수치를 보임.
5. 대상자는 현재 비인두기도와 E-tube을 하여 ventilator 중이며, 기침과 구토반사가 확인되지 않음.
6. 상체를 30°로 상승시킨 체위를 취하고 있음.
7. 1~2시간마다 suction을 시행함. oral suction 시 다량의 침 흡인, E-tube의 suction 시 연노란색의 다량의 thick 객담 흡인됨.
8 흉부의 vest로 진동법을 통해 흉부의 분비물을 떨어트리고, 흉부에 타진법을 적용하여 분비물을 쉽게 뱉어낼 수 있게 한 뒤, suction 수행함.
9. 복와위 취하여 Pco2와 함께 폐 저부에 있던 분비물을 배출시키는 체위백액을 수행함.
10. 2시간마다 change position를 하면서 머리와 목 아래 베개를 대주어 목의 측굴곡 예방과 구강분비물이 잘 나오도록 도와줌.
11. nebulizer을 사용해 대상자에게 가습된 공기를 제공함.
12. 인공호흡기를 통해 산소를 제공하고 있음. ventilator mode P/PSIMV, RR 28, Fio2 0.5, PEEP/PSV 5/12, 최고흡기압 27, 흡입시간 1로 설정함.
13. 처방된 진해제인 Ventoline 2.5mg/amp, Atovent 500mcg/2ml을 6시간마다 nebulizer함.
간호평가
4/25 현재 대상자는 호흡수를 측정한 결과 정상범위(10~20회/min)을 유지하려고 햇으나 25회/min이상의 빈호흡을 보였음. 2시간마다 suction을 통해 객담배출하여 기도 청결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스스로 효율적인 객담배출을 하지 못해 장기목표는 지속적인 관찰 필요함.
Ⅳ. 결론
느낀 점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김옥수 외 공저, 2015, p 608~609
- 성인간호학 상, 정담미디어, 이영휘 외 공저, 2013, p 666~66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