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의 증가원인 문제점 및 해결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인 가구의 증가원인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1인 가구란?

2. 1인 가구의 증가 원인
1) 사회적, 경제적 영향
2) 개인적, 문화적 영향

3. 1인 가구의 유형
1) 유동적인 1인 가구
2) 선택적인 1인 가구
3) 환경적인 1인 가구
4) 복합적인 1인 가구

4. 1인 가구의 거처 별 종류
1) 원룸
2) 고시원
3) 기숙사
4) 오피스텔
5) 다세대, 다가구 연립주택

5. 1인 가구 주택공급 측면 문제점

6. 1인 가구분화에 따른 주택공급방안
1) 소형주택 의무비율 확대
2) 매입 임대사업자 활성화
3) 1인가구 노인주택 활성화
4) 소형 민간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5) 소형 공공임대주택 활성화
6) 수요특성별 맞춤형 주택공급

참고자료

본문내용

관리한다는 계획과 공급 조절을 하여야 한다.
6) 수요특성별 맞춤형 주택공급
1인가구의 향후 주택 선택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은 주택의 가격, 규모, 유형 등이다. 이외 교통에 대한 고려요인이 높게 증가하였으며, 향후 주택 구입을 고려할 경우, 입지에 대한 고려는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입지와 관련하여 대도시권의 경우, 도심과 대중교통 지향성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도심 및 부도심의 역세권, 대학가 등이 주요 입지지역으로 도심지역은 노년층과 젊은 직장인들을 중심으로 하고 노년층을 위해서는 의료, 노인복지시설 등에 대한 접근성이 고려된 지역에 대한 수요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1인가구의 주택의 규모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40∼60㎡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선호하는 주택규모는 넓게 나타났다. 이중에서 1인가구 및 미혼가구가 선호하는 주택규모는 예외적으로 나타났으며, 40㎡이하의 소형 주택을 가장 선호(42.4%)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60~85㎡를 선호(19.5%), 40~50㎡(16.3%)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인가구의 경우는 40㎡이하의 소형주택의 공급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인가구(고령자가 있는 가구)의 경우는, 60~85㎡(32.3%)와 85㎡~102㎡(23.5%)의 주택규모에 대한 수요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노인가구의 유형은 1인 노인가구, 2인 노인가구, 이외 자녀들과 한세대를 구성하는 가구로 예상할 수 있으며, 대체적으로 노인가구의 규모는 젊은 세대에 비해 선호하는 규모는 크게 나타났다. 이는 노인가구가 기존 거주하던 주택의 규모를 고려할 때, 규모가 아주 작은 소형평수로 이동하기보다는 일정규모(60~85㎡)를 유지한 채 주택의 규모를 낮출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주택수요는 60~85㎡의 규모가 가장 높고, 이외 102~135㎡규모나 이상의 대형 주택에 대한 수요는 감소하는 대신 가구원수의 감소로 50~60㎡규모의 주택규모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택의 유형은 일반적으로 아파트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경우도 가장 선호하는 유형은 아파트로 전체의 36.4%, 단독주택 25.7%, 기타 20.1%로 나타났다. 노인가구 또한 아파트를 가장 선호(63.6%)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단독주택(23.3%)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60세 이상의 고령층이 선호하는 주택유형은 배우자의 유무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배우자가 있는 경우에 비해 배우자가 없는 경우,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다소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1~2인가구의 분화와 고령화 등을 고려하여 그 수요의 특성에 맞게 주택의 가격, 규모, 유형에 대한 맞춤형의 주택을 공급하여야 할 것이다(김송이, 2013).
참고자료
강성호, 가구분화에 따른 주택공급 방안, 명지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1.
강인하, 싱글족의 라이프 스타일과 여가태도 및 무용인식의 관계, 세종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3.
권세연, 1인 가구의 주거환경 만족도 및 주거입지특성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권지혜, 1인 가구의 여가몰입경험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5.
김송이, 1인 가구 주택 수요 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3.
송기원, 1인 가구를 위한 공동 주택 공유 공간의 군집,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논문, 2016.
신미림, 서울시 1인가구의 주택수요 예측,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1.
양제연,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싱글족의 관광행동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7.
원경미,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주택공급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논문, 2011.
이명화, 1인 가구를 위한 주방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2.
이진아,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1인 가구 유니트 계획안,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논문, 2010.
조주형, 1인가구와 미혼자의 외식 소비 형태에 관한 연구, 우송대학교 Culinary-MBA대학원 논문, 2012.
진해석 외, 1인 가구 요구 분석에 따른 집합주택 단지 계획, 대한건축학회 학술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9권 1호, 2009.
차경욱, 남성 일인가구의 경제구조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논문, 2006.
한국마케팅연구원, 싱글족의 소비특성. 한국사회학, 2011.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5.28
  • 저작시기201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008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