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미생물의 발견
2. 자연발생설과 생물속생설
3.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의 변환
① 미생물에 의한 발효
② 혐기성 생명체의 발견
4. 질병 발생과 미생물의 역할
①외과적 소독(Surgical antisepsis)
②탄저병의 세균 병원학
③병원세균학(Medical bacteriology)의 출현
④여과성 바이러스의 발견
5. 순수 배양법의 발달
①다형태성 주장의 기원
②최초의 순수배양
6. 20세기의 미생물학의 발전
결론
참고문헌
본론
1. 미생물의 발견
2. 자연발생설과 생물속생설
3.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의 변환
① 미생물에 의한 발효
② 혐기성 생명체의 발견
4. 질병 발생과 미생물의 역할
①외과적 소독(Surgical antisepsis)
②탄저병의 세균 병원학
③병원세균학(Medical bacteriology)의 출현
④여과성 바이러스의 발견
5. 순수 배양법의 발달
①다형태성 주장의 기원
②최초의 순수배양
6. 20세기의 미생물학의 발전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당했다. - 세균 적용 방법은 희석법(dilution method)으로 혼합된 세균을 포함한 액체를 멸 균된 배지로 희석시켜 단일세포로부터 생성되어 자란 균체의 증식을 기대하는 방법이다. - J. Schroeter는 감자, 녹말풀, 빵, 알부민 등 고체물질 위에 분리한 세균의 성장 또는 콜로니(colony)의 형성을 확인했다. - Koch의 streak method(도말법) : 액체배지에 응고제로 젤라틴첨가, 콜로니 확인 을 위한 반투명 겔(gel) 겔 위에 백금선으로 streaking과정 반복하여 서로 분리 된 콜로니 형성한 것을 순수하게 분리하였다. - Pour plate method(주입평판법) : 세균이 포함된 한천배지를 평판에 붓는 방법
6. 20세기의 미생물학의 발전
- 1895년 Pasteur 사망 후 미생물학과 생물학의 독립적인 발전 : 감염성 질병의 병원체의 동정, 면역학과 질병의 치료 및 예방에 있어서의 그 기능의 연구, 화 학요법제의 탐구, 미생물의 화학적 활성에 대한 분석.
- 20세기 초 : 세포의 형성, 생식과 발생에 있어서 세포의 역할, 동식물에 있어서 유전과 진화 등 일반생물학의 초점.
- 20세기 중반
: 유전학 원리의 탄생. 1941년 Beadle, Tatum이 곰팡이 Neurospora의 생화학 적 돌연변이체(biochemical mutant) 분리 성공. 1943년 Delbruck, Luria의 유전 적 전달(genetic transfer)가 세균에 존재발견. - 1950년대 중반 : 미생물생화학이 세포의 구성성분의 반응에만 관심을 가졌으나 그 후 특정 유전자들의 형질발현의 조절과 효소작용 수준에서 세포의 조절, 효 소 작용 수준에서 세포의 조절과 제어에 관한 세부적 연구
- 1970년대 중반 : 재조합 DNA기술이라 알려진 새롭고 강력한 일련의 가능성 예 고, 유전물질에 관한 화학적 연구와 생물학적 연구의 통합이 가능하게 되었다.
III.결론
미생물학의 발전사를 조사하면서 오늘날의 미생물학을 중심으로 한 학문들이 발전 속도가 다른 학문에 비해 비교적 매우 빠른 분야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생물학은 우리 눈으로 볼 수 없는 아주 작은 크기의 생물체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항상 함께하는 여러 종류의 미생물들에 대한 다향한 생명현상과 이들이 인간생활에서 이용하는 방법을 연구해온 과학자들의 연구가 현대 우리생활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었다. 미생물은 크기가 작으면서 생명체의 특성을 그대로 드러내므로 생명현상을 규명하는 새로운 생물학적 연구에 빠질 수 없다. 우리의 생활과 환경 속에서 공존하는 미생물들에 대한 고마움을 느끼면서 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하는 미생물학의 발전사에 힘쓴 과학자들에 대해 감사함을 가져야 하겠다.
*참고문헌
배무 외. 최신미생물학. 아카데미서적. 1994
김경민 외. 일반미생물학. 라이프사이언스. 2003
민경희 외. 대학미생물학. 탐구당. 2000
경북대 자연과학대 교수들. 24명의 과학자가 들려주는 생생한 과학이야기. 지호. 2000
6. 20세기의 미생물학의 발전
- 1895년 Pasteur 사망 후 미생물학과 생물학의 독립적인 발전 : 감염성 질병의 병원체의 동정, 면역학과 질병의 치료 및 예방에 있어서의 그 기능의 연구, 화 학요법제의 탐구, 미생물의 화학적 활성에 대한 분석.
- 20세기 초 : 세포의 형성, 생식과 발생에 있어서 세포의 역할, 동식물에 있어서 유전과 진화 등 일반생물학의 초점.
- 20세기 중반
: 유전학 원리의 탄생. 1941년 Beadle, Tatum이 곰팡이 Neurospora의 생화학 적 돌연변이체(biochemical mutant) 분리 성공. 1943년 Delbruck, Luria의 유전 적 전달(genetic transfer)가 세균에 존재발견. - 1950년대 중반 : 미생물생화학이 세포의 구성성분의 반응에만 관심을 가졌으나 그 후 특정 유전자들의 형질발현의 조절과 효소작용 수준에서 세포의 조절, 효 소 작용 수준에서 세포의 조절과 제어에 관한 세부적 연구
- 1970년대 중반 : 재조합 DNA기술이라 알려진 새롭고 강력한 일련의 가능성 예 고, 유전물질에 관한 화학적 연구와 생물학적 연구의 통합이 가능하게 되었다.
III.결론
미생물학의 발전사를 조사하면서 오늘날의 미생물학을 중심으로 한 학문들이 발전 속도가 다른 학문에 비해 비교적 매우 빠른 분야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생물학은 우리 눈으로 볼 수 없는 아주 작은 크기의 생물체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항상 함께하는 여러 종류의 미생물들에 대한 다향한 생명현상과 이들이 인간생활에서 이용하는 방법을 연구해온 과학자들의 연구가 현대 우리생활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었다. 미생물은 크기가 작으면서 생명체의 특성을 그대로 드러내므로 생명현상을 규명하는 새로운 생물학적 연구에 빠질 수 없다. 우리의 생활과 환경 속에서 공존하는 미생물들에 대한 고마움을 느끼면서 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하는 미생물학의 발전사에 힘쓴 과학자들에 대해 감사함을 가져야 하겠다.
*참고문헌
배무 외. 최신미생물학. 아카데미서적. 1994
김경민 외. 일반미생물학. 라이프사이언스. 2003
민경희 외. 대학미생물학. 탐구당. 2000
경북대 자연과학대 교수들. 24명의 과학자가 들려주는 생생한 과학이야기. 지호. 2000
추천자료
환경과학 레포트
HACCP에 대한 조사
간장에 관하여
젓갈-밥상위의 바다
식품위생의 총체적 분석과 식품위생대책
[식생활과문화]우리의 전통 발효식품 중 젓갈류와 장아찌류에 대해
[생명공학][생명공학기술][생명공학산업][바이오][생물산업]생명공학의 정의, 특징, 중요성, ...
한국 전통 발효식품에 관한 고찰
고대 히브리인들의 치료법-히스기야의 악성종양-
유전자재조합식품 GMO 장점과 우수성 및 필요성, 올바른 이해
[대장균][균][바이러스][분원성 대장균][병원성 대장균][장독소원성 대장균][장출혈성 대장균...
[생산][생산과 구비문학][생산과 생물학][생산과 경제학][생산과 사회학][생산과 정치학][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