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재가복지와 자원봉사활동
I. 재가복지대상자 선정방법
II. 재가복지대상자의 특성
III. 자원봉사원의 개념
IV. 재가복지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
1. 방문간호서비스
2. 가사원조서비스
3. 식사서비스
4. 목욕서비스
5. 세탁서비스
6. 이불건조서비스
7. 주택개량 및 개선서비스
8. 재활과 보호기구의 제공 및 대여
9. 복지전화서비스
10. 노령수당 및 우체국 업무 심부름
11. 교통안내 및 외출서비스
12. 보행원 서비스
V. 재가복지에서 자원봉사활동 시 주의사항
1. 정해진 시간을 지켜야 한다.
2. 복장과 외모는 평범하게 한다.
3. 활동 후 활동일지를 기록하고 담당자에게 특별한 내용은 이야기한다.
* 참고문헌
I. 재가복지대상자 선정방법
II. 재가복지대상자의 특성
III. 자원봉사원의 개념
IV. 재가복지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
1. 방문간호서비스
2. 가사원조서비스
3. 식사서비스
4. 목욕서비스
5. 세탁서비스
6. 이불건조서비스
7. 주택개량 및 개선서비스
8. 재활과 보호기구의 제공 및 대여
9. 복지전화서비스
10. 노령수당 및 우체국 업무 심부름
11. 교통안내 및 외출서비스
12. 보행원 서비스
V. 재가복지에서 자원봉사활동 시 주의사항
1. 정해진 시간을 지켜야 한다.
2. 복장과 외모는 평범하게 한다.
3. 활동 후 활동일지를 기록하고 담당자에게 특별한 내용은 이야기한다.
* 참고문헌
본문내용
원봉사자는 이를 잘 홍보하여 적극적으로 용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9) 복지전화서비스
정기적으로 전화를 걸어 안부를 묻고 대화상대자가 되어 이용자와 심신의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아들딸의 역할이나 손자손녀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10) 노령수당 및 우체국 업무 심부름
노인에게 지급되는 노령수당이나 교통비 등은 통장으로 지급되고 있으나 이를 확인하거나 금융기관을 방문하는 것이 어려워 노인의 불편사항이 많다. 자원봉사자는 노인의 통장확인이나 우편물 수령 등의 서비스를 하는 것이 좋으나 이때 주의해야 할 것은 잔돈 1원이라도 중요시하고 안전성을 고려하여 서비스하는 것이다.
(11) 교통안내 및 외출서비스
노인은 눈이 어둡고 돋보기를 항상 휴대하지 못할 때도 많아 외출을 불편하게 생각한다. 따라서 자원봉사자는 소홀하여 지나치지 말고 길거리에서 낯설어하는 노인이 없도록 원활한 이동을 돕거나 외출을 나가고 싶어도 나갈 수 없는 일이 없도록 시기적절한 서비스를 해야 한다.
(12) 보행원 서비스
나이가 들면 무릎관절의 상태가 건강하지 못하고 눈이 나빠서 시야도 좁아지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때 자원봉사자의 보행원서비스는 꼭 필요하다. 보행의 보조를 행하면서 항상 1보 좌로, 1보 앞에서 보행하는 것을 준수해서 안내서비스를 해야 한다.
V. 재가복지에서 자원봉사활동 시 주의사항
(1) 정해진 시간을 지켜야 한다.
정해진 시간을 준수하는 것은 자원봉사자의 필수지침사항이다. 만일 정해진 시간에 가지 못하거나 사정이 발생할 경우에는 사전에 기관과 시설에 연락하여 대상자가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2) 복장과 외모는 명법하게 한다.
자원봉사를 하겠다는 사람 중에 자신의 독특한 개성을 나타내기 위해 지나치게 화려한 옷이나 특이한 복장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기관과 대상자에 대한 큰 실레이다. 외모와 복장, 패 대한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자신의 역할과 나이에 맞는 평범한 것을 입고 활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나친 화장은 혐오감을 줄 수 있다. 행사보조 시 그 행사가 격식을 요구하는 것이라면 정장을 할 수 있어야 한다.
(3) 활동 후 활동일지를 기록하고 담당자에게 특별한 내용은 이야기한다.
계가복지대상자인 경우는 특히 건강문제가 중요한 고려사항이므로 활동 이후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안 좋을 경우 이를 담당 . 사회복지사에게 이야기해야 한다. 또한 자신의 활동에 대한 기록을 요구받았을 때에는 기관에 설치되어 있는 기록지에 적어야 한다.
* 참고문헌
자원봉사 여가 및 취미생활 - 한국생애설계협회 저,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자원봉사관리론 - 최유미 저, 공동체, 2015
시민사회와 자원봉사 - 김동배 저, 학지사, 2005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자원봉사 여가 및 취미생활 - 한국생애설계협회 저, 2016
(9) 복지전화서비스
정기적으로 전화를 걸어 안부를 묻고 대화상대자가 되어 이용자와 심신의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아들딸의 역할이나 손자손녀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10) 노령수당 및 우체국 업무 심부름
노인에게 지급되는 노령수당이나 교통비 등은 통장으로 지급되고 있으나 이를 확인하거나 금융기관을 방문하는 것이 어려워 노인의 불편사항이 많다. 자원봉사자는 노인의 통장확인이나 우편물 수령 등의 서비스를 하는 것이 좋으나 이때 주의해야 할 것은 잔돈 1원이라도 중요시하고 안전성을 고려하여 서비스하는 것이다.
(11) 교통안내 및 외출서비스
노인은 눈이 어둡고 돋보기를 항상 휴대하지 못할 때도 많아 외출을 불편하게 생각한다. 따라서 자원봉사자는 소홀하여 지나치지 말고 길거리에서 낯설어하는 노인이 없도록 원활한 이동을 돕거나 외출을 나가고 싶어도 나갈 수 없는 일이 없도록 시기적절한 서비스를 해야 한다.
(12) 보행원 서비스
나이가 들면 무릎관절의 상태가 건강하지 못하고 눈이 나빠서 시야도 좁아지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때 자원봉사자의 보행원서비스는 꼭 필요하다. 보행의 보조를 행하면서 항상 1보 좌로, 1보 앞에서 보행하는 것을 준수해서 안내서비스를 해야 한다.
V. 재가복지에서 자원봉사활동 시 주의사항
(1) 정해진 시간을 지켜야 한다.
정해진 시간을 준수하는 것은 자원봉사자의 필수지침사항이다. 만일 정해진 시간에 가지 못하거나 사정이 발생할 경우에는 사전에 기관과 시설에 연락하여 대상자가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2) 복장과 외모는 명법하게 한다.
자원봉사를 하겠다는 사람 중에 자신의 독특한 개성을 나타내기 위해 지나치게 화려한 옷이나 특이한 복장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기관과 대상자에 대한 큰 실레이다. 외모와 복장, 패 대한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자신의 역할과 나이에 맞는 평범한 것을 입고 활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나친 화장은 혐오감을 줄 수 있다. 행사보조 시 그 행사가 격식을 요구하는 것이라면 정장을 할 수 있어야 한다.
(3) 활동 후 활동일지를 기록하고 담당자에게 특별한 내용은 이야기한다.
계가복지대상자인 경우는 특히 건강문제가 중요한 고려사항이므로 활동 이후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안 좋을 경우 이를 담당 . 사회복지사에게 이야기해야 한다. 또한 자신의 활동에 대한 기록을 요구받았을 때에는 기관에 설치되어 있는 기록지에 적어야 한다.
* 참고문헌
자원봉사 여가 및 취미생활 - 한국생애설계협회 저,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자원봉사관리론 - 최유미 저, 공동체, 2015
시민사회와 자원봉사 - 김동배 저, 학지사, 2005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자원봉사 여가 및 취미생활 - 한국생애설계협회 저,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