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등 충분한 자아기능을 발달시키지 못했다. 또한 영유아를 미숙하기 때문에 돌봐야 하는 존재로 인적하지 않고 오히려 자신에게 적의를 가지고 지배하려 한다고 생각하고 있어서 왜곡된 부모-자녀 역할을 가지고 있었다.
영유아기에 부모에게서 학대를 받았던 아동이 성장하면 자신도 또다시 학대하는 부모가 되는 악순환이 이어졌기 때문에 유아학대는 세대에서 세대로 전수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결혼 후의 부부관계도 많은 장애를 나타내며, 특히 부부간의 공감이 결여된다. 따라서 유아학대를 가족관계나 가족의 경제적 상태 등 만성적인 문제가 있을 때 드러나는 가족위기의 현상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유아학대의 가족과 만나는 상담자가 먼저 염두에 두어야 하는 것은 학대받는 유아의 안전에 관한 부분이다. 임상경험에 의하면 학대를 지속적으로 받아온 유아는 강한 죄책감을 가지며, 학대를 한 부모 역시 죄책감이나 불안을 느끼므로 상담자는 이러한 불안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상담자는 부모에게 그들이 느끼는 불안이나 죄책감이 자녀인 유아와 부모 자신에게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을 알리면서 상담과정에 상담자와 부모는 이러한 불안을 어떻게 생산적으로 활용하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에는 학대아동과 가족에 대해 분리 중심의 개입을 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외상적 상처를 지닌 유아에게는 부모의 보살핌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은 상담자들이 가족보존이라는 개입을 선호한다. 따라서 부모들의 불필요한 불안이나 죄책감에 머물지 않도록 하며, 오히려 부모로서 유아를 돌볼 수 있도록 심리 교육적 접근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대를 받은 자녀들은 때로는 혼란스러운 것처럼 보이는데, 이러한 정서적 혼란은 그들의 부모 역시 마찬가지다. 그러므로 심리 교육적 모델과 정보를 제공해 부모로서 그들의 역할을 이해시키고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영유아기에 부모에게서 학대를 받았던 아동이 성장하면 자신도 또다시 학대하는 부모가 되는 악순환이 이어졌기 때문에 유아학대는 세대에서 세대로 전수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결혼 후의 부부관계도 많은 장애를 나타내며, 특히 부부간의 공감이 결여된다. 따라서 유아학대를 가족관계나 가족의 경제적 상태 등 만성적인 문제가 있을 때 드러나는 가족위기의 현상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유아학대의 가족과 만나는 상담자가 먼저 염두에 두어야 하는 것은 학대받는 유아의 안전에 관한 부분이다. 임상경험에 의하면 학대를 지속적으로 받아온 유아는 강한 죄책감을 가지며, 학대를 한 부모 역시 죄책감이나 불안을 느끼므로 상담자는 이러한 불안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상담자는 부모에게 그들이 느끼는 불안이나 죄책감이 자녀인 유아와 부모 자신에게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을 알리면서 상담과정에 상담자와 부모는 이러한 불안을 어떻게 생산적으로 활용하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에는 학대아동과 가족에 대해 분리 중심의 개입을 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외상적 상처를 지닌 유아에게는 부모의 보살핌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은 상담자들이 가족보존이라는 개입을 선호한다. 따라서 부모들의 불필요한 불안이나 죄책감에 머물지 않도록 하며, 오히려 부모로서 유아를 돌볼 수 있도록 심리 교육적 접근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대를 받은 자녀들은 때로는 혼란스러운 것처럼 보이는데, 이러한 정서적 혼란은 그들의 부모 역시 마찬가지다. 그러므로 심리 교육적 모델과 정보를 제공해 부모로서 그들의 역할을 이해시키고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추천자료
가족문제에 대한 연구
가족 상담 연구
[생활지도의이론과실제] 우리가 바라본 '가족문제'
[맞벌이가정][맞벌이가족][맞벌이부부]맞벌이가정(맞벌이가족, 맞벌이부부)의 개념, 배경, 실...
[결식아동][빈곤][결식아동지원][결식아동 대책][아동복지][가족복지][결식][아동문제]결식아...
맞벌이 가정의 문제점 개선 방안, 맞벌이가정(맞벌이가족, 맞벌이부부)의 개념과 형성 배경, ...
가족생활주기와 가족문제
[가족상담 및 치료] 영유아기의 가족문제 - 전생애 발달과정에 따른 가족의 과제(영아기, 유...
사회변화의 따른 다양한 가족 형태와 각 가족 유형별로 보육교사로서 해줄 수 있는 지원책에 ...
유아기의 가족문제에서 모성적 발달의 중요성과 박탈로 인한 영향을 밝히고 학습자의 유아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