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화형 조현병(schizophrenia undifferentiated type)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분화형 조현병(schizophrenia undifferentiated typ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 문헌고찰
(간단한 문헌고찰)
Ⅱ . 사례연구
(간호사정 / 자료분석)
Ⅲ . 간호진단
(#1. 환시와 관련된 불안 / #2. 사회적 활동 감소와 관련된 무력감)
Ⅳ .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아졌지만 보이긴 보여.“
4. 대상자에 대해 파악한 특징을 살려 신뢰감을 형성하였다.
- 피해망상 있으시고 의사소통하기 쉽지않다는 점을 인지하고 조심스럽게 대화시도를 하
고 신뢰감을 형성하였다.
- 매일 아침 먼저 다가가 인사를 나누고 챙기며, 프로그램 외적인 시간에 일반적 대화를
많이 시도하며 경청과 수용으로 신뢰감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 신뢰감이 형성된 후 대상자가 환시가 나타났을 때 이에 관해 어떤 모습이 보였는지, 몇
분 정도로, 환시가 보이는지 보이는 동안, 후의 감정과 기분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 평소 취미와 특기, 좋아하는 활동, 병원 내 치료 활동 프로그램 중 좋아하는 것, 앞으로
하고 싶은 것에 대해 사정하였다.(학생들과 대화하는 것을 좋아한다고 함)
5,6. 불안과 환시 발생 시 주의를 전환시킬 수 있는 대화하기, 산책과 병실 복도운동, 활동요법, 그림 그리기 등의 대처전략을 함께 교육하고 함께 참여하고 계획했으며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7. 라운딩 시 대상자에게 감정을 표현하도록 유도하였고 대상자가 불안한 감정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경청하고 불안을 야기하는 상황을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지지하였다.
8. 대상자는 환시가 보일 때 학생들과 대화를 하거나 수면을 하면 괜찮다고 하셔서 환시가 보일 때 학생이나 병실 환자분들과 대화를 하여 무시하거나 기도를 하며 마음을 가다듬는 교육을 하였다.
9. 대상자에게 불안한 마음과 힘든 마음을 혼자 마음에 담아두지 말고 말로 표현하도록 교육하고 마음이 많이 불안하거나 공허 할 때에는 선생님께 면담을 요청해 풀 수 있도록 격려하고 혼자 담아두지 않도록 교육하였으며 활동치료와 같은 전환요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간호
평가
- 단기목표 : 대상자는 불안 시 대처기전으로 학생간호사와 대화를 하고 있거나 산책갔다 왔다고 대답하여 단기목표 달성하였다.
- 장기목표 : 대상자에게 활동요법이나 전환요법, 대화하기, 산책 등 여러 활동을 통해 대상자가 불안감을 느낄 때는 교육한 요법들을 이용하여 건강한 방법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것 같다.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간호
사정
- “나는 (활동요법)흥미가 없어.. 흥미를 못 느껴..”
- ”(활동요법) 저런거 잘 못해..“
- “재미도 없고 나는 등신이라서(서예, 스트레스대처요법)저런거 못해-”
- “어떻게 하는지 잘 몰라-”
- 자발적으로 활동요법과 집단활동에 나오지
않으시고 방에만 계시려고 함.
- 활동요법 시 참여를 하지 않으려고 함.
- 일상생활 대부분을 방에서 생활하고 밖으로
나오는 모습 보기 힘듦.
- 침상에 앉거나 누워 멍하게 있는 거나, 병실
안에서도 아무것도 하지 않음을 관찰함.
- 다른 사람과의 대화를 선호하지 않음.
간호
진단
# 2. 사회적 활동 감소와 관련된 무력감
장기
목표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무력감을 경험하지 않을 것이다.
단기
목표
7일 이내에 대상자는 자발적으로 산책과 집단활동에 참여하게 될 것이다.
간호
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에게 천천히 다가가기 위해 매일 인사를 하고 관심을 가진다.
1. 천천히 다가가 낯선환경을 감소시키고 매일 자주 마주하게 하여 관심을 가지도록 유도한다.
2. 대상자에게 신뢰관계를 제공한다. (수용하는 태도를 보이며 대상자가 개방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 및 정서적 지지를 해준다.)
2. 수용적인 태도는 자존감을 증가시키고 신뢰를 촉진한다.
신뢰관계를 통해 대상자는 자신의 문제를 더 잘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자존감을 증가시켜 고립된 생활의 무기력함을 증가시켜 준다.
3. 대상자와 함께 활동요법과 산책하고 자주 칭찬하여 믿음과 안정을 촉진시킨다.
3. 믿음은 대상자에게 정서적인 안정을 제공하고, 자존감을 증진 시킬 수 있고 바람직한 행동을 반복 하도록 도울 수 있으며, 활동을 통해 무력감을 해소할 수 있다.
4. 대상자가 잘 할 수 있는 활동을 찾아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권유한다.
4. 무력감을 느끼는 환자에게 흥미있는 활동을 함으로써 신체적, 정신적 무력감을 없앨 수 있다.
5. 대상자가 매일 다루기 쉬운 목적을 한가지 씩 세우고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5. 목표달성으로 인한 성취감은 무력감을 느끼는 대상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간호
중재
1. 대상자에게 천천히 자주 다가가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을 보였다.
2. 대상자와 매일 1시간 이상을 함께 복도와 야외 산책하면서 대화하며 수용적인 태도로 신뢰 관계를 형성하고 무기력함을 증가시키기 위해 야외산책을 통해 대화를 하여 자주 웃는 모습이 보였다.
3. 대상자와 함께 활동요법과 산책하고 같이 하고나면 칭찬해드렸다.
(활동요법, 산책 시 방에서 대상자를 데리고나와 함께 함.)
4. 대상자를 다른 환우들과 같이 참여할 수 있는 활동요법과 야외산책 등을 권유하였고 요법들이 시작되기 전에 집단활동을 같이하자고 격려하였고 하기 싫은 반응이 나오면 나와 함께 옆에서 같이 하자고 지지와 격려하였다. 한 번 더 제안 할 때 아무말 하지 않고 나와서 요법에 참가하셨다.
5. 대상자에게 “오늘은 좀 걸어볼까요?” “오늘은 다른 환자분과 이야기 해볼까요?”등의 목표를 같이 정했고, 대상자는 수행하는 경우도 있었고, 귀찮다고 참여 안하시는 경우도 있었다.
간호
평가
- 단기목표 : 대상자와 함께 산책을 가고 대상자 스스로 나와 산책하는 모습이 보였고, 대상자는 전보다는 덜 무기력하다고 말씀하여 단기목표 달성하였다.
- 장기목표 : 대상자의 활동을 사정하였을 때 집단활동의 흥미를 못 느끼고 모든 활동에 참여 하지 않고 병실 안에서만 생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대상자의 흥미 분야를 찾아내고 그에 맞춘 활동요법이나 취미, 여가활동을 개발하여 주면 무기력했던 하루의 즐거움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Ⅳ . 참고문헌
- 유성자 외(2016), 정신건강간호학 실습지침서
- 박현숙 외(2017), 실무 중심의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 이웅현(2019), 심리정신건강간호6, 퍼시픽북스
- ****병원 EMR
-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9.06.08
  • 저작시기201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022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