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ⅰ. 문헌고찰
ⅱ. 사례연구
ⅲ. 간호과정
Ⅲ. 결론
ⅰ. 느낀점
Ⅳ. 참고문헌
Ⅱ. 본론
ⅰ. 문헌고찰
ⅱ. 사례연구
ⅲ. 간호과정
Ⅲ. 결론
ⅰ. 느낀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토, 설사, 식욕부진이 있으면 즉시 간호사실로 보고해
달라고 설명하였다.
③ 환아의 어머니에게 충분한 휴식을 취하도록 설명하고 병실의 조명을 꺼주고 실내온도를
24℃로 맞추어 주었음. 5/8 점심 약 투약 후 오후 2시에 잠을 자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④ 2일간 하루 2번 환아의 중이 부위에 약 20분 정도의 얼음팩을 적용해 준 결과 발적감
이 호전되고 부종이 완화되었다.
⑤ 환아가 수분섭취를 자주 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 잦은 수분섭취는 아이에게 있는 염증을 완화시키고 통증을 감소시켜줍니다. 이관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회복시키기 위해서 옆에서 수분섭취를 자주하게끔 해주세요.”
⑥ 환아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 아이가 불안해하지 않도록 옆에서 지지를 잘 해주세요. 아이에게 말을 할 때 평소보
다는 큰 소리로 부드럽게 말해주고 얼굴을 서로 마주보고 이야기해주도록 하세요.”
간호평가
단기 - 대상자는 FLACC 점수가 8점에서 3점으로 감소하였다. (목표부분달성)
장기 - 대상자는 귀 주변을 만지는 행동이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만지는 모습을 관찰하였
다. (목표부분달성)
사정
주관적자료
“ 으아앙 ”
“ 뜨끈뜨끈하니 열나는 것 같아요 ”(보호자)
“ 애기가 자꾸 보채고 울어요 ”(보호자)
“ 식땀이 나는 것 같아요 ”(보호자가발전)
객관적자료
- C.C : 고열
- 진단명 : 급성 중이염
- 얼굴 홍조가 띔
- 이마에 땀방울 맺힌 모습 관찰됨
- 안절부절 하지 못하는 것이 관찰됨
- 보채는 것이 관찰됨
- 자꾸 우는 것이 관찰됨
- 잘 먹지 않는 것이 관찰됨
- 밤에 자꾸 깨는 것이 관찰됨
날짜
체온(℃)
날짜
체온(℃)
날짜
체온(℃)
날짜
체온(℃)
5/7
am 8:00
38.7
5/7
am 9:00
38.3
5/7
am 10:00
37.9
5/8
am 8:00
37.6
간호진단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계획
목 표
단기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체온이 정상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장기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고체온 증상과 징후가 없을 것이다.
간호계획
근 거
① 환아의 체온이 37.5℃ 이상일 때 1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여 관찰한다.
활력징후는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기초자료이다.
② 환아의 피부 상태 색깔을 확인하여 관
련된 증상이나 징후를 사정한다.
피부상태를 확인함으로써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③ 처방된 해열제와 항생제, 소염제 복용하
고 아이의 반응, 부작용 등을 사정한다.
해열제를 이용하여 체온을 하강시키고 항생제와 소염제는 재발 방지와 염증을 완화 시킨다.
④ Tepid water massage를 교육하고 실천행위를 사정한다.
미온수 마사지를 이용하여 체온이 미온수와 함께 증발되어 하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⑤ 대상자에게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고열이 발생할 시 탈수 증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수분을 공급해야 한다.
⑥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정서적 지지를 통해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간호수행
① 해당 근무 시간의 환아의 체온을 37.5℃ 이상의 고체온일 때 1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② AM8시 환아의 피부 상태를 사정한 결과 건조함과 홍조를 관찰하였다.
③ 환아에게 처방된 항생제, 해열제, 소염제를 투약하였다. (간호사수행)
→ 5/7,8 타이레놀 현탄액, 타페인주, 슈프락스 산, 파세타주, 썰바존주
환자의 어머니에게 약 복용 후 구토, 설사, 식욕부진이 있으면 즉시 간호사실로 보고해
달라고 설명하였다.
④ 대상자가 미온수 마사지를 이용하여 아이의 체온을 감소시켰다.
⑤ 대상자가 수분섭취를 자주 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 고열이 발생할 시 탈수 증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수분을 공급해주어 탈수증
상을 예방해 주세요.”
⑥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 아이가 불안해하지 않도록 옆에서 지지를 잘 해주세요. 아이에게 말을 할 때 평소보
다는 큰 소리로 부드럽게 말해주고 얼굴을 서로 마주보고 이야기해주도록 하세요.”
간호평가
단기 - 대상자의 체온이 38.2에서 37.1로 감소하였다. (목표부분달성)
장기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얼굴의 홍조와 땀, 불안 증상과 징후가 감소하였다.
(목표부분달성)
Ⅲ. 결론
간호진단을 하면서 환자에 대한 재평가를 해보게 되었다. 여러 가지 요인들을 분석하면서 그 요인들이 상호작용을 가지게 되고 그로 인해 환자의 상태가 더욱 악화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내가 선정한 환아에 대한 재평가를 해보자면 중이염뿐만 아니라 다른 주증상도 가지고 있어서 그런지 고열, 통증뿐만 아니라 극심한 기침, 가래까지 동반하였다. 그러므로 재 계획으로는 상기도감염을 얼마나 빠르게 완화시킬 수 있을까 하는 방법을 찾고 함께 치료를 병행하여 치료의 효율을 높여야겠다는 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한편,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아이들의 체온 때문에 한 시간마다 계속 F/U 해주고 경과를 지켜보았다. 보호자들은 체온측정에 민감성을 보였으며, 아이들의 체온 변화가 오르락내리락하여서 그런지 보호자들의 마음이 충분히 이해되었다. 한창 잘 먹고 잘 놀 아이가 열, 기침, 가래 때문에 울고 보채고하는 것을 보니 내가 더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그리고 아동에 대한 여러 간호와 처치들을 보면서 작은 아동이지만 내가 노력한다면 아동이 조금은 덜 힘들게 치료를 받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고 주사를 맞을 때 대성통곡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며 연습을 많이 하여 아프지 않게 주사를 놓는 선생님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Ⅳ. 참고문헌
김미예(2015) /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각론 / 수문사
홍천수(2018) / 해부·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8: 결합조직질환 / 정담
김금순(2016) / 성인간호학Ⅰ / 수문사
송경애(2016) / 최신 기본간호학Ⅱ / 수문사
유해영(2015) /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
드러그인포 (www.druginfo.co.kr)
달라고 설명하였다.
③ 환아의 어머니에게 충분한 휴식을 취하도록 설명하고 병실의 조명을 꺼주고 실내온도를
24℃로 맞추어 주었음. 5/8 점심 약 투약 후 오후 2시에 잠을 자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④ 2일간 하루 2번 환아의 중이 부위에 약 20분 정도의 얼음팩을 적용해 준 결과 발적감
이 호전되고 부종이 완화되었다.
⑤ 환아가 수분섭취를 자주 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 잦은 수분섭취는 아이에게 있는 염증을 완화시키고 통증을 감소시켜줍니다. 이관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회복시키기 위해서 옆에서 수분섭취를 자주하게끔 해주세요.”
⑥ 환아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 아이가 불안해하지 않도록 옆에서 지지를 잘 해주세요. 아이에게 말을 할 때 평소보
다는 큰 소리로 부드럽게 말해주고 얼굴을 서로 마주보고 이야기해주도록 하세요.”
간호평가
단기 - 대상자는 FLACC 점수가 8점에서 3점으로 감소하였다. (목표부분달성)
장기 - 대상자는 귀 주변을 만지는 행동이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만지는 모습을 관찰하였
다. (목표부분달성)
사정
주관적자료
“ 으아앙 ”
“ 뜨끈뜨끈하니 열나는 것 같아요 ”(보호자)
“ 애기가 자꾸 보채고 울어요 ”(보호자)
“ 식땀이 나는 것 같아요 ”(보호자가발전)
객관적자료
- C.C : 고열
- 진단명 : 급성 중이염
- 얼굴 홍조가 띔
- 이마에 땀방울 맺힌 모습 관찰됨
- 안절부절 하지 못하는 것이 관찰됨
- 보채는 것이 관찰됨
- 자꾸 우는 것이 관찰됨
- 잘 먹지 않는 것이 관찰됨
- 밤에 자꾸 깨는 것이 관찰됨
날짜
체온(℃)
날짜
체온(℃)
날짜
체온(℃)
날짜
체온(℃)
5/7
am 8:00
38.7
5/7
am 9:00
38.3
5/7
am 10:00
37.9
5/8
am 8:00
37.6
간호진단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계획
목 표
단기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체온이 정상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장기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고체온 증상과 징후가 없을 것이다.
간호계획
근 거
① 환아의 체온이 37.5℃ 이상일 때 1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여 관찰한다.
활력징후는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기초자료이다.
② 환아의 피부 상태 색깔을 확인하여 관
련된 증상이나 징후를 사정한다.
피부상태를 확인함으로써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③ 처방된 해열제와 항생제, 소염제 복용하
고 아이의 반응, 부작용 등을 사정한다.
해열제를 이용하여 체온을 하강시키고 항생제와 소염제는 재발 방지와 염증을 완화 시킨다.
④ Tepid water massage를 교육하고 실천행위를 사정한다.
미온수 마사지를 이용하여 체온이 미온수와 함께 증발되어 하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⑤ 대상자에게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고열이 발생할 시 탈수 증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수분을 공급해야 한다.
⑥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정서적 지지를 통해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간호수행
① 해당 근무 시간의 환아의 체온을 37.5℃ 이상의 고체온일 때 1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② AM8시 환아의 피부 상태를 사정한 결과 건조함과 홍조를 관찰하였다.
③ 환아에게 처방된 항생제, 해열제, 소염제를 투약하였다. (간호사수행)
→ 5/7,8 타이레놀 현탄액, 타페인주, 슈프락스 산, 파세타주, 썰바존주
환자의 어머니에게 약 복용 후 구토, 설사, 식욕부진이 있으면 즉시 간호사실로 보고해
달라고 설명하였다.
④ 대상자가 미온수 마사지를 이용하여 아이의 체온을 감소시켰다.
⑤ 대상자가 수분섭취를 자주 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 고열이 발생할 시 탈수 증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수분을 공급해주어 탈수증
상을 예방해 주세요.”
⑥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 아이가 불안해하지 않도록 옆에서 지지를 잘 해주세요. 아이에게 말을 할 때 평소보
다는 큰 소리로 부드럽게 말해주고 얼굴을 서로 마주보고 이야기해주도록 하세요.”
간호평가
단기 - 대상자의 체온이 38.2에서 37.1로 감소하였다. (목표부분달성)
장기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얼굴의 홍조와 땀, 불안 증상과 징후가 감소하였다.
(목표부분달성)
Ⅲ. 결론
간호진단을 하면서 환자에 대한 재평가를 해보게 되었다. 여러 가지 요인들을 분석하면서 그 요인들이 상호작용을 가지게 되고 그로 인해 환자의 상태가 더욱 악화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내가 선정한 환아에 대한 재평가를 해보자면 중이염뿐만 아니라 다른 주증상도 가지고 있어서 그런지 고열, 통증뿐만 아니라 극심한 기침, 가래까지 동반하였다. 그러므로 재 계획으로는 상기도감염을 얼마나 빠르게 완화시킬 수 있을까 하는 방법을 찾고 함께 치료를 병행하여 치료의 효율을 높여야겠다는 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한편,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아이들의 체온 때문에 한 시간마다 계속 F/U 해주고 경과를 지켜보았다. 보호자들은 체온측정에 민감성을 보였으며, 아이들의 체온 변화가 오르락내리락하여서 그런지 보호자들의 마음이 충분히 이해되었다. 한창 잘 먹고 잘 놀 아이가 열, 기침, 가래 때문에 울고 보채고하는 것을 보니 내가 더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그리고 아동에 대한 여러 간호와 처치들을 보면서 작은 아동이지만 내가 노력한다면 아동이 조금은 덜 힘들게 치료를 받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고 주사를 맞을 때 대성통곡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며 연습을 많이 하여 아프지 않게 주사를 놓는 선생님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Ⅳ. 참고문헌
김미예(2015) /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각론 / 수문사
홍천수(2018) / 해부·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8: 결합조직질환 / 정담
김금순(2016) / 성인간호학Ⅰ / 수문사
송경애(2016) / 최신 기본간호학Ⅱ / 수문사
유해영(2015) /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
드러그인포 (www.druginfo.c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