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 인후염(laryngopharyngitis)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발생빈도
4. 증상
5. 진단방법
6. 치료
7. 간호
◆ 중이염(Otitis media)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진단- 임상증상 및 검사
5. 치료
6. 간호
7. 합병증
◆ 간호 사정
◆ 간호 과정
Dx 1.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Dx 2. 기도 내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Dx 3. 설사 및 기저귀 발진과 관련된 피부손상
◆ 보호자 교육 자료
◆ 인후염(laryngopharyngitis)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발생빈도
4. 증상
5. 진단방법
6. 치료
7. 간호
◆ 중이염(Otitis media)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진단- 임상증상 및 검사
5. 치료
6. 간호
7. 합병증
◆ 간호 사정
◆ 간호 과정
Dx 1.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Dx 2. 기도 내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Dx 3. 설사 및 기저귀 발진과 관련된 피부손상
◆ 보호자 교육 자료
본문내용
- 발진이 더 번지는 것을 막고, 대상자의 피부를 유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 기저귀 교환 시마다 엉덩이 주변 피부통합성장애 정도를 파악하였다.
- 2시간마다 v/s을 check하면서 배변 여부및 특성을 관찰하고, 배변 확인 즉시 기저귀를 새것으로 교환해주었다.
- 설사의 양상이 물 같았던 변에서 무른변으로 바뀐 것을 확인하였다.
- 미온수로 깨끗이 닦은 후 물기가 없어질 때까지 건조시켜주었다.
- 처방에 따라 canesten cream을 발라주고, 잠시 기저귀를 채우지 않은채 두었다.
- 귀저귀를 느슨하게 채워서 조이지 않고 통풍이 잘되도록 유지하였다.
- 대상자의 몸에 파우더 사용은 하지 않고, 수분공급을 위해 목욕 후 엉덩이 부위를 가볍게 톡톡 두드려 주었다.
- 설사증상완화를 위해 설사개선제를 투약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평가
- 엉덩이 주변 발진은 사라지지 않았으나 설사의 빈도가 줄어들고 양상이 좋아졌다.
정의 : 표피나 진피가 변화된 상태
< 참 고 > 보호자 교육 자료
① 인후통 관리 교육
: 아이가 인후통 때문에 모유를 먹는 양이 줄었다고 하셔서 인후통 관리에 대해 교육하였음.
- 아이가 좋아하는 음료수나 우유를 시원하게 해서 먹여주세요. 시원한 음료수는 통증을 완화시켜줄 뿐만 아니라 목에 촉촉하게 수분이 유지되도록 해주고, 아이가 모유를 적게 먹음으로써 생길 수 있는 영양 부족을 채워줄 수도 있어요. 탄산음료나 신 음료는 목의 점막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아요.
- 아이가 목이 아파서 수유를 잘 하지 못할 때는 억지로 먹이지 않는 것이 좋아요. 왜냐하면 억지로 먹이면 아이가 목이 다 나은 후에도 아팠던 기억 때문에 모유를 먹지 않으려고 할지도 모르기 때문이에요. 억지로 모유를 먹이는 대신, 아이가 좋아하는 이유식을 시원하게 해서 조금씩, 천천히, 자주 먹여주세요.
② 전염 예방 교육
: 연쇄상 구균으로 인한 급성 인후염이기 때문에 비인두 분비물에 의해 전염이 될 수 있기 때 문에 주의점에 대해서 교육하였음.
- 아이가 급성 인후염을 앓게 된 원인이 연쇄상 구균이라는 세균의 감염 때문인데, 이 세균은 아이의 콧물이나 가래, 기침 할 때 나오는 침에도 섞여 나올 거예요. 그래서 다른 아이들이나 부모님에게 전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해요.
- 아이의 콧물이나 가래, 침 등을 닦은 휴지는 꼭 그때그때 휴지통에 버려주세요.
- 아이가 기침을 할 때는 가급적 다른 아동과 마주보고 하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 아이와 접촉하고 난 후에는 꼭 손을 깨끗하게 씻도록 하고(내과적 손 씻기에 대해 설명함), 만약 손을 씻을 수 없다면 손 소독제를 사용해 주세요.
- 엄마나 가족의 전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아동이 수저나 컵을 따로 쓰도록 해주세요.
③ 열 간호 교육
- 아이가 세균에 감염이 되어 수시로 열이 날 수 있어요. 아이가 열이 나는지 자주 확인해 주시고, 개인 체온계를 가지고 계시면서 수시로 열을 재주세요.
- 열이 37.5도 이상 올라갔을 때는 간호사 선생님이나 저에게 말씀해 주세요. 고열은 아니지만 아이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예요.
- 열이 38도 이상 올라갔을 때 먹도록 처방된 약이 있으니, 38도 이상 올라갔을 때는 바로 간호사 선생님이나 저를 불러 주세요.
- 해열제를 먹고 나서도 열이 떨어질 때 까지 계속 열을 재주세요.
- 아이가 열이 나도, 오한을 느끼면 열을 내려주는 게 아니라 이불을 덮어 주어야 해요. 그 이유는 아이가 추위를 느끼면 추위를 없애기 위해 몸에서 체온을 조절하는 부분이 자극 되어서 열이 더 올라가기 때문이에요.
- 아이의 오한이 없어지면 즉시 이불을 벗겨주세요. 오한이 없어지면 열을 낮춰주어야 해요. 미지근한 물을 수건에 적셔서 아이의 이마나 겨드랑이, 사타구니 부분을 중심으로 몸을 닦아 주세요. 물이 증발하면서 아이의 열을 낮춰 줄 거예요. 찬 물을 적신 수건으로 닦아주는 것이 안 되는 것은 아니지만, 아이가 어리기 때문에 갑자기 찬 수건으로 닦아주면 놀라거나 무리를 줄 수 있기 때문에 미지근한 물을 적신 수건으로 꼭 닦아 주세요.
- 아이가 열이 나면서 땀이 많이 나면 몸에 수분이 부족해 질 수 있어요. 아이가 지금 8kg라서 하루에 필요한 수분량이 800cc정도 되요. 모유와 우유, 음료수 등을 포함해서 하루에 800cc이상의 수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⑥ 가습 교육
- 공기를 촉촉하게 해 주는 것은 아이의 목 안 점막을 촉촉하게 해주고, 가래도 묽게 해서 나오기 쉽게 만들어 줄 수 있어요.
= 가습기의 물을 채울 때 깨끗하게 한번 씻어주시면, 가습기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막아줘서 더 깨끗한 수증기가 나오도록 할 수 있어요.
- 밤에는 젖은 빨래나 수건을 침대 옆에 두는 것도 좋아요. 이것은 집에서도 평소에 손쉽게 할 수 있는 가습법인데, 밤 동안 빨래나 수건이 마르면서 수분이 증발하기 때문에 가습기와 비슷한 효과를 볼 수 있어요.
④ 흉부 물리요법 교육
- 아이가 기침을 할 때 흉부를 지지해주면 기침할 때의 통증을 덜어줄 수 있어요. 양 손으로 가슴과 등을 받쳐주세요. 아이가 어리기 때문에 심하게 기침을 할 때에는 품에 앉고 지지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 아이가 가래가 많아서 불편해 하면 손을 컵 모양으로 만들어서 등을 두드려 주세요.(직접 보여드림.) 손을 컵 모양으로 만들어서 등을 두드려 주는 것은 흉부 물리 요법이라고 하는데, 목 안에 붙어있는 가래들이 떨어져서 기침할 때 나오기 쉬운 상태가 되도록 만들어 줘요. 척추가 있는 부분은 피해서 두드려 주시고, 아이가 어리니까 너무 무리가 가지 않도록 주의하시는 것도 잊지 않으셔야 해요.
⑤ 아동의 성장발달 교육
- 아동이 열이 나고 있을 때는 열이 더 오르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안정을 시켜주는 것이 좋아요. 하지만 아이들은 놀면서 발달을 하기 때문에 열이 나지 않거나, 많이 아파하지 않을 때는 놀아주는 것이 좋아요. 장난감을 이용해서 침대 위에서도 놀 수 있겠죠. 유모차를 태우고 옥외 휴게실에 나가서 햇볕을 쬐게 해주는 것도 뼈를 튼튼하게 만들고 시각적 발달을 시켜 줄 수 있어서 좋아요.
- 기저귀 교환 시마다 엉덩이 주변 피부통합성장애 정도를 파악하였다.
- 2시간마다 v/s을 check하면서 배변 여부및 특성을 관찰하고, 배변 확인 즉시 기저귀를 새것으로 교환해주었다.
- 설사의 양상이 물 같았던 변에서 무른변으로 바뀐 것을 확인하였다.
- 미온수로 깨끗이 닦은 후 물기가 없어질 때까지 건조시켜주었다.
- 처방에 따라 canesten cream을 발라주고, 잠시 기저귀를 채우지 않은채 두었다.
- 귀저귀를 느슨하게 채워서 조이지 않고 통풍이 잘되도록 유지하였다.
- 대상자의 몸에 파우더 사용은 하지 않고, 수분공급을 위해 목욕 후 엉덩이 부위를 가볍게 톡톡 두드려 주었다.
- 설사증상완화를 위해 설사개선제를 투약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평가
- 엉덩이 주변 발진은 사라지지 않았으나 설사의 빈도가 줄어들고 양상이 좋아졌다.
정의 : 표피나 진피가 변화된 상태
< 참 고 > 보호자 교육 자료
① 인후통 관리 교육
: 아이가 인후통 때문에 모유를 먹는 양이 줄었다고 하셔서 인후통 관리에 대해 교육하였음.
- 아이가 좋아하는 음료수나 우유를 시원하게 해서 먹여주세요. 시원한 음료수는 통증을 완화시켜줄 뿐만 아니라 목에 촉촉하게 수분이 유지되도록 해주고, 아이가 모유를 적게 먹음으로써 생길 수 있는 영양 부족을 채워줄 수도 있어요. 탄산음료나 신 음료는 목의 점막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아요.
- 아이가 목이 아파서 수유를 잘 하지 못할 때는 억지로 먹이지 않는 것이 좋아요. 왜냐하면 억지로 먹이면 아이가 목이 다 나은 후에도 아팠던 기억 때문에 모유를 먹지 않으려고 할지도 모르기 때문이에요. 억지로 모유를 먹이는 대신, 아이가 좋아하는 이유식을 시원하게 해서 조금씩, 천천히, 자주 먹여주세요.
② 전염 예방 교육
: 연쇄상 구균으로 인한 급성 인후염이기 때문에 비인두 분비물에 의해 전염이 될 수 있기 때 문에 주의점에 대해서 교육하였음.
- 아이가 급성 인후염을 앓게 된 원인이 연쇄상 구균이라는 세균의 감염 때문인데, 이 세균은 아이의 콧물이나 가래, 기침 할 때 나오는 침에도 섞여 나올 거예요. 그래서 다른 아이들이나 부모님에게 전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해요.
- 아이의 콧물이나 가래, 침 등을 닦은 휴지는 꼭 그때그때 휴지통에 버려주세요.
- 아이가 기침을 할 때는 가급적 다른 아동과 마주보고 하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 아이와 접촉하고 난 후에는 꼭 손을 깨끗하게 씻도록 하고(내과적 손 씻기에 대해 설명함), 만약 손을 씻을 수 없다면 손 소독제를 사용해 주세요.
- 엄마나 가족의 전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아동이 수저나 컵을 따로 쓰도록 해주세요.
③ 열 간호 교육
- 아이가 세균에 감염이 되어 수시로 열이 날 수 있어요. 아이가 열이 나는지 자주 확인해 주시고, 개인 체온계를 가지고 계시면서 수시로 열을 재주세요.
- 열이 37.5도 이상 올라갔을 때는 간호사 선생님이나 저에게 말씀해 주세요. 고열은 아니지만 아이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예요.
- 열이 38도 이상 올라갔을 때 먹도록 처방된 약이 있으니, 38도 이상 올라갔을 때는 바로 간호사 선생님이나 저를 불러 주세요.
- 해열제를 먹고 나서도 열이 떨어질 때 까지 계속 열을 재주세요.
- 아이가 열이 나도, 오한을 느끼면 열을 내려주는 게 아니라 이불을 덮어 주어야 해요. 그 이유는 아이가 추위를 느끼면 추위를 없애기 위해 몸에서 체온을 조절하는 부분이 자극 되어서 열이 더 올라가기 때문이에요.
- 아이의 오한이 없어지면 즉시 이불을 벗겨주세요. 오한이 없어지면 열을 낮춰주어야 해요. 미지근한 물을 수건에 적셔서 아이의 이마나 겨드랑이, 사타구니 부분을 중심으로 몸을 닦아 주세요. 물이 증발하면서 아이의 열을 낮춰 줄 거예요. 찬 물을 적신 수건으로 닦아주는 것이 안 되는 것은 아니지만, 아이가 어리기 때문에 갑자기 찬 수건으로 닦아주면 놀라거나 무리를 줄 수 있기 때문에 미지근한 물을 적신 수건으로 꼭 닦아 주세요.
- 아이가 열이 나면서 땀이 많이 나면 몸에 수분이 부족해 질 수 있어요. 아이가 지금 8kg라서 하루에 필요한 수분량이 800cc정도 되요. 모유와 우유, 음료수 등을 포함해서 하루에 800cc이상의 수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⑥ 가습 교육
- 공기를 촉촉하게 해 주는 것은 아이의 목 안 점막을 촉촉하게 해주고, 가래도 묽게 해서 나오기 쉽게 만들어 줄 수 있어요.
= 가습기의 물을 채울 때 깨끗하게 한번 씻어주시면, 가습기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막아줘서 더 깨끗한 수증기가 나오도록 할 수 있어요.
- 밤에는 젖은 빨래나 수건을 침대 옆에 두는 것도 좋아요. 이것은 집에서도 평소에 손쉽게 할 수 있는 가습법인데, 밤 동안 빨래나 수건이 마르면서 수분이 증발하기 때문에 가습기와 비슷한 효과를 볼 수 있어요.
④ 흉부 물리요법 교육
- 아이가 기침을 할 때 흉부를 지지해주면 기침할 때의 통증을 덜어줄 수 있어요. 양 손으로 가슴과 등을 받쳐주세요. 아이가 어리기 때문에 심하게 기침을 할 때에는 품에 앉고 지지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 아이가 가래가 많아서 불편해 하면 손을 컵 모양으로 만들어서 등을 두드려 주세요.(직접 보여드림.) 손을 컵 모양으로 만들어서 등을 두드려 주는 것은 흉부 물리 요법이라고 하는데, 목 안에 붙어있는 가래들이 떨어져서 기침할 때 나오기 쉬운 상태가 되도록 만들어 줘요. 척추가 있는 부분은 피해서 두드려 주시고, 아이가 어리니까 너무 무리가 가지 않도록 주의하시는 것도 잊지 않으셔야 해요.
⑤ 아동의 성장발달 교육
- 아동이 열이 나고 있을 때는 열이 더 오르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안정을 시켜주는 것이 좋아요. 하지만 아이들은 놀면서 발달을 하기 때문에 열이 나지 않거나, 많이 아파하지 않을 때는 놀아주는 것이 좋아요. 장난감을 이용해서 침대 위에서도 놀 수 있겠죠. 유모차를 태우고 옥외 휴게실에 나가서 햇볕을 쬐게 해주는 것도 뼈를 튼튼하게 만들고 시각적 발달을 시켜 줄 수 있어서 좋아요.
추천자료
지주막하출혈 성인간호학 SAH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폐렴 Pneumonia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호흡
[정신간호]정신분열병 간호과정(정신분열병치료,문헌고찰등 정신분열병에 관한 모든자료)
(지역간호) 가족간호과정
간호학과 pre eclampsia (자간전증) 간호과정 ppt 발표 A+★ 그림자료多
[정신간호학 - 환자사례 간호과정]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케이스
정신간호학 bipolar disorder (양극성장애) 간호과정
정신간호학 우울증(depression disorder)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 TTN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케이스 간호과정
[지역사회간호학] 지역사회간호과정(A+)
[성인간호학A+] 대동맥박리 대상자의 간호과정 (ICU) CASE STUDY
여성간호Case study 제왕절개 시나리오 간호과정
[간호학] 알콜장애 간호과정
[간호학] 정신간호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