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파블로프 : 고전적 조건형성
II. 왓슨
III. 울프 : 상호제지, 체계적 둔감법
IV. 스키너 : 조작적 조건형성
V. 티보와 켈리 : 사회교환이론
VI. 패터슨 : 부모훈련프로그램
VII. 리베르만 : 유관계약
VIII. 스튜어트 : 조작적 대인치료
IX. 엘리스 : 합리적 정서치료
X. 베크 : 인지치료
XI. 마이켄바움 : 자기교습법
* 참고문헌
II. 왓슨
III. 울프 : 상호제지, 체계적 둔감법
IV. 스키너 : 조작적 조건형성
V. 티보와 켈리 : 사회교환이론
VI. 패터슨 : 부모훈련프로그램
VII. 리베르만 : 유관계약
VIII. 스튜어트 : 조작적 대인치료
IX. 엘리스 : 합리적 정서치료
X. 베크 : 인지치료
XI. 마이켄바움 : 자기교습법
* 참고문헌
본문내용
라서 이러한 부부들에게 가능한 최상의 관계를 맺게 해주는 것이 치료자의 목표라고 보았다. 그는 상호강화(reciprocal reinforement)를 통해서 부부가 서로 바라는 행동을 교환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8단계의 조직적인 치료법을 개발하여 실제로 큰 성과를 거두었다. 스튜어트의 조작적 대인치료의 핵심은 네 번째 단계로 봉사의 날(caring day)을 정하여 각자가 상대방에게 원하는 구체적인 행동을 열거하고 원하는 행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IX. 엘리스(Ellis): 합리적 정서 치료
가족 내에서 발생하는 사건들을 개인이 어떻게 인식하고 해석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치료하였다. 그는 선행사건(A)-사고/신념(B)-결과(C) 모델에 의거하여 불안, 우울, 열등감, 시기, 질투, 죄의식 등과 같은 정서적 반응(emotional consequence: C)은 주로 개인의 신념 체계(belief system: B)에 의해서 발생한다. 즉 심한 불안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정서적 반응(C)의 원인은 어떤 사건의 발생(activating events: A) 때문이 아니라 그 사건에 대해 가지는 자기 자신의 비합리적 신념(irrational belief: iB) 때문이며, 그러한 혼란된 정서는 합리적인 신념(rational belief: rB)에 의해 효과적으로 논박短ispute: D)될 때 사라지며, 이러한 논박의 결과로 새로운 철학이나 새로운 인지 체계를 가져 오는 결과(effects: E)를 낳게 된다는 보았다.
X. 베크(Beck): 인지 치료
우울한 사람은 인생의 초기에 다양하고 불운한 개인적 경험을 하게 되어서 부정적 도식(핵심적 신념, 사람들에 대한 태도, 관계 등이 지속되는 자세)을 습득한다고 가정하고, 이러한 도식은 비슷한 상황이 발생하게 될 때 재개된다고 보았다. 인지에 관한 왜곡은 진실을 제대로 지각하지 못하게 하므로 인지치료에서는 내담자의 역기능적 사고를 재평가하고 수정함으로써 내담자가 전에는 극복할 수 없다고 생각한 문제나 상황에 대처하는 것을 학습함으로써 현실적이고 적응적으로 행동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XI. 마이켄바움(Meichenbaum): 자기교습법
마이켄바움에 의하면 자기진술은 다른 사람의 진술만큼이나 내담자 행동에 영향을 준다. 이 접근법의 가정은 혼란된 정서는 비합리적인 사고의 결과라는RET의 가정과 같다. 그러나 RET와 그의 접근법의 다른 점은 RET는 비합리적 사고를 노출시키고 공격하는 데 있어 직접적이고 직면적이지만 이 자기교시적 치료는 내담자가 자기대화를 자각하도록 하는데 초점을 둔다. 자기교시적 치료는 개인이 자신에게 하는 말이 그의 행동에 직접 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가정에 근거한다. 일차적으로 내적 대화의 역할을 중시하면서 충동적이고 공격적인 행동, 과제를 처리하는 데 대한 두려움, 공중 앞에서 말하는 데 대한 두려움 같은 문제 상황에 대처하는 기술에 강조점을 둔다. 치료절차는 내담자가 부딪치는 문제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기교시를 수정하는 훈련을 시키는 것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IX. 엘리스(Ellis): 합리적 정서 치료
가족 내에서 발생하는 사건들을 개인이 어떻게 인식하고 해석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치료하였다. 그는 선행사건(A)-사고/신념(B)-결과(C) 모델에 의거하여 불안, 우울, 열등감, 시기, 질투, 죄의식 등과 같은 정서적 반응(emotional consequence: C)은 주로 개인의 신념 체계(belief system: B)에 의해서 발생한다. 즉 심한 불안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정서적 반응(C)의 원인은 어떤 사건의 발생(activating events: A) 때문이 아니라 그 사건에 대해 가지는 자기 자신의 비합리적 신념(irrational belief: iB) 때문이며, 그러한 혼란된 정서는 합리적인 신념(rational belief: rB)에 의해 효과적으로 논박短ispute: D)될 때 사라지며, 이러한 논박의 결과로 새로운 철학이나 새로운 인지 체계를 가져 오는 결과(effects: E)를 낳게 된다는 보았다.
X. 베크(Beck): 인지 치료
우울한 사람은 인생의 초기에 다양하고 불운한 개인적 경험을 하게 되어서 부정적 도식(핵심적 신념, 사람들에 대한 태도, 관계 등이 지속되는 자세)을 습득한다고 가정하고, 이러한 도식은 비슷한 상황이 발생하게 될 때 재개된다고 보았다. 인지에 관한 왜곡은 진실을 제대로 지각하지 못하게 하므로 인지치료에서는 내담자의 역기능적 사고를 재평가하고 수정함으로써 내담자가 전에는 극복할 수 없다고 생각한 문제나 상황에 대처하는 것을 학습함으로써 현실적이고 적응적으로 행동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XI. 마이켄바움(Meichenbaum): 자기교습법
마이켄바움에 의하면 자기진술은 다른 사람의 진술만큼이나 내담자 행동에 영향을 준다. 이 접근법의 가정은 혼란된 정서는 비합리적인 사고의 결과라는RET의 가정과 같다. 그러나 RET와 그의 접근법의 다른 점은 RET는 비합리적 사고를 노출시키고 공격하는 데 있어 직접적이고 직면적이지만 이 자기교시적 치료는 내담자가 자기대화를 자각하도록 하는데 초점을 둔다. 자기교시적 치료는 개인이 자신에게 하는 말이 그의 행동에 직접 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가정에 근거한다. 일차적으로 내적 대화의 역할을 중시하면서 충동적이고 공격적인 행동, 과제를 처리하는 데 대한 두려움, 공중 앞에서 말하는 데 대한 두려움 같은 문제 상황에 대처하는 기술에 강조점을 둔다. 치료절차는 내담자가 부딪치는 문제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기교시를 수정하는 훈련을 시키는 것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