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Friedich와 Trautwein의 인수합병이론
I. 효율성이론
1. 재무 시너지효과
2. 운영 시너지효과
3. 관리 시너지효과
II. 독점이론
III. 가치화이론
IV. 제국구축이론
V. 과정이론
VI. 기업사냥꾼이론
VII. 경제적 교란이론
* 참고문헌
I. 효율성이론
1. 재무 시너지효과
2. 운영 시너지효과
3. 관리 시너지효과
II. 독점이론
III. 가치화이론
IV. 제국구축이론
V. 과정이론
VI. 기업사냥꾼이론
VII. 경제적 교란이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는 기업의 주주로부터 부의 이전을 야기하는 사람으로 정의하였다. 여기에서 부의 이전에 Greenmail과 초과 보상도 포함된다고 본다.
그러나 기업사냥꾼이론의 문제점은 부의 이전가설이 비논리적이라는 데 있다. 성공적인 입찰에 있어 기업사냥꾼은 피인수기업의 지배주주가 되기 위하여 다른 주주에게 프리미엄을 지불한다. 어떤 강탈계획에 있어서는 부분적으로 매점된 주주의 경우 그런 활동으로부터 순이익을 챙길 수 있지만, 기업사냥꾼을 불균형하게 다치게 할 수도 있다. Greenmail의 경우에 있어 부는 피인수기업, 궁극적으로는 피인수기업의 주주로부터 빠져 나가게 되는 것이다. 즉 경영진의 수탁의무에 따라 높은 입찰가격이나 주가의 개선이 보장될 때에만 Greenmail이 정당화될 수 있는 것이다.
기업사냥꾼이론의 두 번째 문제점은 Holderness와 Sheehan(1985)의 연구에서 가장 뛰어난 기업사냥꾼에 의하여 타결된 인수 합병의 경우에 대부분의 인수대상기업 주주들이 이익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는 데 있다.
VII. 경제적 교란이론(Economic Disturbance Theory)
Gort(1969)의 교란이론에 따르면, 인수 합병의 물결이 경제적 교란에 의하여 야기되어진다고 한다. 경제적 교란은 개개인의 기대와 순서를 변화시키고, 불확실성의 일반적 수준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결과로 인수 합병이 급격히 증가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더 이상의 진척을 기대할 수 없다.
첫째, 인수 합병에 대한 제도적 틀이 논의되지 않아 거시적 수준에서 설명되어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주요한 경제적 교란으로 연결되지는 않았던 1960년대 말처럼 인수 합병의 물결이 1973년에서 1974년의 석유파동 때 왜 발생하지 않았느냐 하는 것이다.
둘째, 대부분의 교란은 어떤 순환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경제적 교란은 선형적인 형태의 인수 합병을 이끌어야 한다. 그러나 식품 석유산업 같은 경우에서만 관찰될 뿐 다른 산업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셋째, 교란이 개별적인 기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Gort의 근거는 교란이 기대의 순서를 바꾼다는 그의 가설이 충분치 못하다는 것이다. Gort의 이론은 프리미엄을 설명할 수 없다는 주장으로 반박될 수 있다. 경제적 교란이론은 단지 기대의 차이와 자본시장에서의 경쟁적 과정만을 반영했을 뿐이라고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그러나 기업사냥꾼이론의 문제점은 부의 이전가설이 비논리적이라는 데 있다. 성공적인 입찰에 있어 기업사냥꾼은 피인수기업의 지배주주가 되기 위하여 다른 주주에게 프리미엄을 지불한다. 어떤 강탈계획에 있어서는 부분적으로 매점된 주주의 경우 그런 활동으로부터 순이익을 챙길 수 있지만, 기업사냥꾼을 불균형하게 다치게 할 수도 있다. Greenmail의 경우에 있어 부는 피인수기업, 궁극적으로는 피인수기업의 주주로부터 빠져 나가게 되는 것이다. 즉 경영진의 수탁의무에 따라 높은 입찰가격이나 주가의 개선이 보장될 때에만 Greenmail이 정당화될 수 있는 것이다.
기업사냥꾼이론의 두 번째 문제점은 Holderness와 Sheehan(1985)의 연구에서 가장 뛰어난 기업사냥꾼에 의하여 타결된 인수 합병의 경우에 대부분의 인수대상기업 주주들이 이익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는 데 있다.
VII. 경제적 교란이론(Economic Disturbance Theory)
Gort(1969)의 교란이론에 따르면, 인수 합병의 물결이 경제적 교란에 의하여 야기되어진다고 한다. 경제적 교란은 개개인의 기대와 순서를 변화시키고, 불확실성의 일반적 수준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결과로 인수 합병이 급격히 증가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더 이상의 진척을 기대할 수 없다.
첫째, 인수 합병에 대한 제도적 틀이 논의되지 않아 거시적 수준에서 설명되어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주요한 경제적 교란으로 연결되지는 않았던 1960년대 말처럼 인수 합병의 물결이 1973년에서 1974년의 석유파동 때 왜 발생하지 않았느냐 하는 것이다.
둘째, 대부분의 교란은 어떤 순환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경제적 교란은 선형적인 형태의 인수 합병을 이끌어야 한다. 그러나 식품 석유산업 같은 경우에서만 관찰될 뿐 다른 산업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셋째, 교란이 개별적인 기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Gort의 근거는 교란이 기대의 순서를 바꾼다는 그의 가설이 충분치 못하다는 것이다. Gort의 이론은 프리미엄을 설명할 수 없다는 주장으로 반박될 수 있다. 경제적 교란이론은 단지 기대의 차이와 자본시장에서의 경쟁적 과정만을 반영했을 뿐이라고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