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여 현재 도덕적 가치, 신념에 대해서 판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더 높은 수준의 도덕발달을 촉진하여야한다. 그리고 학생 스스로 윤리적 대우를 요하는 규칙을 만들고 시행하여 자신의 도덕원리를 만들 수 있도록 하고, 교사 또한 윤리적 행동을 통해 학생들의 모델링 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2) Kohlberg 이론에서 예상되는 어려움
①교사는 학생들의 윤리적 모델링 대상이 되어야하지만, 교사들도 다른 사람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언제나 올바른 윤리적 모델이 되어 학생들에게 보여질 수는 없을 것이다.
②아이들은 아직 미성숙한 존재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식은 좀더 높은 단계에 있을 수 있지만 행동이 거기에 따르지 못할 수 있고, 이와 반대일 수도 있을 것이다. 알고 있는 것과 행동하는 것에 부조화가 일어난다면 정확한 단계를 측정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다.
③학생들의 도덕수준은 다양할 것이다. 더 높은 수준의 도덕발달을 촉진하는데 있어서 단계가 다양하다는 것은 거기에 맞는 방법 또한 학생들마다 다양하게 제시되어야하는데 이것은 자칫하면 학생들을 차별하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는 것 같다.
5. Epilogue
각각의 이론을 중심으로 시사점과 실제 교육현장에서 예상되는 다양한 어려움을 알아보았다. 예상되는 어려움을 작성할 때 ‘내가 정말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칠 때 어떤 어려움이 있을까?’라고 교사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려 노력해보았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나의 머릿속에 떠오른 것은 아이들을 가르치는데 있어 이러한 이론들을 배우고 그것들을 각각의 하나라고 구분지어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적으로 사고하여 교육현장에서 적절하게 사용하는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들을 사랑하는 마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회초년생이 코앞인 지금에 와서도 초등학교 시절의 선생님으로부터의 좋은 기억들과 몇몇 좋지 않은 기억들은 나의 성격에 많은 영향이 남아 있음을 가끔 느낄 때가 있다.
우리 아이들은 너무나 독특하다. 이러한 이론의 짜여진 틀은 아이들을 이해하는데 분명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겠지만 그것에 가두어 아이들을 이해한다는 것은 어른들의 너무나 부족한 바램이고, 거기에 비해 우리 아이들은 너무나 개성 넘치고,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 참고 문헌 ※
문선모, 『교육심리학』, 양서원, 2004
서봉연ㆍ이순형, 『발달심리학』, 중앙적성출판사, 1983
김남순, 『교육심리학』, 교육과학사, 1997
(2) Kohlberg 이론에서 예상되는 어려움
①교사는 학생들의 윤리적 모델링 대상이 되어야하지만, 교사들도 다른 사람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언제나 올바른 윤리적 모델이 되어 학생들에게 보여질 수는 없을 것이다.
②아이들은 아직 미성숙한 존재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식은 좀더 높은 단계에 있을 수 있지만 행동이 거기에 따르지 못할 수 있고, 이와 반대일 수도 있을 것이다. 알고 있는 것과 행동하는 것에 부조화가 일어난다면 정확한 단계를 측정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다.
③학생들의 도덕수준은 다양할 것이다. 더 높은 수준의 도덕발달을 촉진하는데 있어서 단계가 다양하다는 것은 거기에 맞는 방법 또한 학생들마다 다양하게 제시되어야하는데 이것은 자칫하면 학생들을 차별하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는 것 같다.
5. Epilogue
각각의 이론을 중심으로 시사점과 실제 교육현장에서 예상되는 다양한 어려움을 알아보았다. 예상되는 어려움을 작성할 때 ‘내가 정말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칠 때 어떤 어려움이 있을까?’라고 교사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려 노력해보았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나의 머릿속에 떠오른 것은 아이들을 가르치는데 있어 이러한 이론들을 배우고 그것들을 각각의 하나라고 구분지어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적으로 사고하여 교육현장에서 적절하게 사용하는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들을 사랑하는 마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회초년생이 코앞인 지금에 와서도 초등학교 시절의 선생님으로부터의 좋은 기억들과 몇몇 좋지 않은 기억들은 나의 성격에 많은 영향이 남아 있음을 가끔 느낄 때가 있다.
우리 아이들은 너무나 독특하다. 이러한 이론의 짜여진 틀은 아이들을 이해하는데 분명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겠지만 그것에 가두어 아이들을 이해한다는 것은 어른들의 너무나 부족한 바램이고, 거기에 비해 우리 아이들은 너무나 개성 넘치고,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 참고 문헌 ※
문선모, 『교육심리학』, 양서원, 2004
서봉연ㆍ이순형, 『발달심리학』, 중앙적성출판사, 1983
김남순, 『교육심리학』, 교육과학사, 1997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심리학(교육심리) 분류, 교육심리학(교육심리) 성장발달이론, 교육심리학(교육심리) 발달...
교육심리(교육심리학) 발달이론, 교육심리(교육심리학) 자아와 본능이론, 교육심리(교육심리...
교육심리학(교육심리)의 발달과정이론과 성취동기이론, 교육심리학(교육심리)의 소거이론과 ...
교육심리(교육심리학)의 발달심리이론, 교육심리(교육심리학)의 동기유발이론, 교육심리(교육...
교육심리학(교육심리)의 심리사회적발달이론과 언어인지발달이론, 교육심리학(교육심리)의 도...
교육심리(교육심리학)의 개념과 성격 및 발달이론, 교육심리(교육심리학)의 성격과 적용기제...
교육심리학(교육심리)의 인지발달이론과 도식이론, 교육심리학(교육심리)의 욕구감소이론과 ...
교육심리학 2016년) 1. 콜버그의 도덕성발달이론 설명,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교육적시사점,...
교육심리학 1.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설명+교육적시사점, 가드너다중지능이론, 교육심리학 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