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베트남어 철자
2.베트남어 발음
3.베트남어 성조
4.베트남어 특징
2.베트남어 발음
3.베트남어 성조
4.베트남어 특징
본문내용
du sc, du huyn, du hi, du nga, du nng
ma ma ma m m ma
철자가 동일해도 성조가 다르면 의미가 달라진다.
khong du - ma : 성조 없음. \'솔\' 정도의 톤으로 상하로 꺾임 없는 평상음
du sc - ma: 중간음 ‘미’ 정도에서 위로 올리는 상승음
du huyn - ma: ‘미’ 정도에서 부더럽게 아래로 내리는 하강음
du hi - m: ‘미’ 정도에서 아래로 부더럽게 내렸다가 끝에서 다시 살짝 올림
*물음표 처럼 천천히 곡선을 그리며 내린 후 끝에서 다시 올리는 소리
du nga - ma: ‘미’정도에서 빨리 위로 올렸다 중간에 끊었다가 다시 위로 꺽기는 상승음 *염소 울음 소리 처럼 빠르게 물결 타는 소리(메~에)
du nng - m: 저음에서 짧고 강하게 아래로 끊어짐
*무거운 돌이 갑자기 위에서 아래로 툭 떨어지는 느낌으로 내는 소리
성조 표기
1)모음이 하나인 경우에는 그 모음에 붙인다
ma ph hc
2)모음이 2개 이상인 경우에는 맨 끝자 앞 첫 모음에 붙인다
li mun thing
4.베트남어 특징
1)문장 어순이 다르다
우리말은 서술어가 문장 맨 끝에 오는데, 베트남어는 주어 다음에 서술어(동사, 형용사)가 온다
(우리말 : 주어 + 하고 싶은 말 + 서술어
베트남어 : 주어+ 서술어+ 하고 싶은 말)
나는 베트남 간다 -> 나는 간다 베트남
1 2 3 1 3 2
Toi đi Vit Nam.
2)성조가 있다
Vit Nam에서 Vit 밑에 점을 성조라 한다
성조란 음의 높낮이를 말하는데 베트남어는 6개의 성조가 있다.
ma / ma / ma / m / ma / m
철자가 같아도 성조에 따라 뜻이 달라진다.
예를 들면 anh은 오빠, 형인데 nh은 사진이란 뜻이 된다.
3)수식어는 뒤에, 중심어는 먼저 말한다
나는 신입생이다. Toi la sinh vien mi.
이처럼 베트남어는 꾸며주는 수식어는 뒤에 붙인다.
한국 사람 ngi Han Quc, 베트남 사람 ngi Vit Nam.
한국 사람, 베트남 사람 …. 에서 중심어는 사람이다.
베트남어는 중심어를 먼저 말한다
4)동사 변화가 없다
우리말이나 영어는 시제에 따라 동사 형태가 바뀌는데 베트남어는 현재, 과거, 미래 동사가 같다.
나는 베트남 간다. Toi đi Vit Nam.
나는 베트남 갔다. Toi đa đi Vit Nam.
나는 베트남 갈거다. Toi s đi Vit Nam.
ma ma ma m m ma
철자가 동일해도 성조가 다르면 의미가 달라진다.
khong du - ma : 성조 없음. \'솔\' 정도의 톤으로 상하로 꺾임 없는 평상음
du sc - ma: 중간음 ‘미’ 정도에서 위로 올리는 상승음
du huyn - ma: ‘미’ 정도에서 부더럽게 아래로 내리는 하강음
du hi - m: ‘미’ 정도에서 아래로 부더럽게 내렸다가 끝에서 다시 살짝 올림
*물음표 처럼 천천히 곡선을 그리며 내린 후 끝에서 다시 올리는 소리
du nga - ma: ‘미’정도에서 빨리 위로 올렸다 중간에 끊었다가 다시 위로 꺽기는 상승음 *염소 울음 소리 처럼 빠르게 물결 타는 소리(메~에)
du nng - m: 저음에서 짧고 강하게 아래로 끊어짐
*무거운 돌이 갑자기 위에서 아래로 툭 떨어지는 느낌으로 내는 소리
성조 표기
1)모음이 하나인 경우에는 그 모음에 붙인다
ma ph hc
2)모음이 2개 이상인 경우에는 맨 끝자 앞 첫 모음에 붙인다
li mun thing
4.베트남어 특징
1)문장 어순이 다르다
우리말은 서술어가 문장 맨 끝에 오는데, 베트남어는 주어 다음에 서술어(동사, 형용사)가 온다
(우리말 : 주어 + 하고 싶은 말 + 서술어
베트남어 : 주어+ 서술어+ 하고 싶은 말)
나는 베트남 간다 -> 나는 간다 베트남
1 2 3 1 3 2
Toi đi Vit Nam.
2)성조가 있다
Vit Nam에서 Vit 밑에 점을 성조라 한다
성조란 음의 높낮이를 말하는데 베트남어는 6개의 성조가 있다.
ma / ma / ma / m / ma / m
철자가 같아도 성조에 따라 뜻이 달라진다.
예를 들면 anh은 오빠, 형인데 nh은 사진이란 뜻이 된다.
3)수식어는 뒤에, 중심어는 먼저 말한다
나는 신입생이다. Toi la sinh vien mi.
이처럼 베트남어는 꾸며주는 수식어는 뒤에 붙인다.
한국 사람 ngi Han Quc, 베트남 사람 ngi Vit Nam.
한국 사람, 베트남 사람 …. 에서 중심어는 사람이다.
베트남어는 중심어를 먼저 말한다
4)동사 변화가 없다
우리말이나 영어는 시제에 따라 동사 형태가 바뀌는데 베트남어는 현재, 과거, 미래 동사가 같다.
나는 베트남 간다. Toi đi Vit Nam.
나는 베트남 갔다. Toi đa đi Vit Nam.
나는 베트남 갈거다. Toi s đi Vit Nam.
추천자료
영어 발달사 (고대영어와 현대영어의 연결고리를 찾아서)
중국어 교육 어떻게 할까(제1장~제6장)
제 6 장 음성학 . 언어음 요약본입니다.
발음중심, 총체적, 균형적 언어교육의 언어교육법의 특징, 지도방법을 비교.
[만점 받은 과제물][프랑스어발음연습] 프랑스어 발음의 주요 특징을 기술하시오. 또한 자음...
[한국어교육론 공통] 1. 한국어의 초분절 음소 종류를 구분하고 각각의 특성에 대해 설명한 ...
언어와생활2공통)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사...
(우리말의역사 공통)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언어획득 이전과 언어획득 이후의 언어발달 특징을 설명하고 영유아의 언어발달을 촉진할 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