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육행정
2. 교육경영
3. 리더십
4. 의사결정
5. 동기유발
6. 장학
7. 교육인사행정
8. 학급경영
9. 교육개혁
2. 교육경영
3. 리더십
4. 의사결정
5. 동기유발
6. 장학
7. 교육인사행정
8. 학급경영
9. 교육개혁
본문내용
교육행정과 교육경영
제 1장. 교육행정
※ 학습목표
1. 교육행정이란 무엇인가
2. 교육행정은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가?
3. 교육행정은 어떤 원칙에 따라 이루어져야 하는가?
1. 교육행정의 개념
1) 교육의 개념 2) 행정의 개념 3) 교육과 행정의 관계
1) 교육의 개념:
▶ 규범적 정의: 교육을 바람직한 인간의 양성으로 간주
홍익인간: 널리 인간을 복되게 하다
신지식: 자신의 경험을 통찰하고 성찰함으로써 지식을 창조하고 공유하며 활용하는 사람
세계시민: 세계사회에서 요구하는 규범과 가치를 습득하고 실천하며 세계인들과 의사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
▶ 과학적 정의: 교육을 인간의 계획적인 변화로 간주
(인간변화 가능성을 전제로)
☆ 변화: 신체발육과 같은 자연적인 변화가 아니라, 교육과정이나 프로그램을 통하여 조작되고 의도된 변화
▶ 사회적 정의: 교육을 사회화로 간주
☆ 사회화: 그 사회가 지향하는 가치와 규범을 내면화 화는 과정
2) 행정의 개념
▶ 법 집행: (행정법학자)
- 형식적 의미의 행정: 행정의 실질적 내용이나 기능과 관계없이 제도
나 조직상의 권한을 토대로 행정을 인식하는 입장
- 실질적 의미의 행정: 행정의 고유성질과 그 기능을 중심으로 행정의 개념을 파악하려는 입장
▶ 정치: 통치 기술(the art of government)
공적 업무 (public affairs)
타협과 합의 (compromise and consensus)
권력 (power)
▶ 경영: 경영이란 조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
조직의 상호작용을 통해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의 목표를 성취하는 것 (효율성을 강조)
3) 교육과 행정의 관계
▶ 교육에 관한 행정: 교육보다는 행정을 우위에 두는 개념
(교육행정의 지시적 통제적 측면을 강조)
▶ 교육을 위한 행정: 행정보다는 교육을 우위에 두는 개념
(교육행정의 지원적, 조성적 측면을 강조)
제 1장. 교육행정
※ 학습목표
1. 교육행정이란 무엇인가
2. 교육행정은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가?
3. 교육행정은 어떤 원칙에 따라 이루어져야 하는가?
1. 교육행정의 개념
1) 교육의 개념 2) 행정의 개념 3) 교육과 행정의 관계
1) 교육의 개념:
▶ 규범적 정의: 교육을 바람직한 인간의 양성으로 간주
홍익인간: 널리 인간을 복되게 하다
신지식: 자신의 경험을 통찰하고 성찰함으로써 지식을 창조하고 공유하며 활용하는 사람
세계시민: 세계사회에서 요구하는 규범과 가치를 습득하고 실천하며 세계인들과 의사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
▶ 과학적 정의: 교육을 인간의 계획적인 변화로 간주
(인간변화 가능성을 전제로)
☆ 변화: 신체발육과 같은 자연적인 변화가 아니라, 교육과정이나 프로그램을 통하여 조작되고 의도된 변화
▶ 사회적 정의: 교육을 사회화로 간주
☆ 사회화: 그 사회가 지향하는 가치와 규범을 내면화 화는 과정
2) 행정의 개념
▶ 법 집행: (행정법학자)
- 형식적 의미의 행정: 행정의 실질적 내용이나 기능과 관계없이 제도
나 조직상의 권한을 토대로 행정을 인식하는 입장
- 실질적 의미의 행정: 행정의 고유성질과 그 기능을 중심으로 행정의 개념을 파악하려는 입장
▶ 정치: 통치 기술(the art of government)
공적 업무 (public affairs)
타협과 합의 (compromise and consensus)
권력 (power)
▶ 경영: 경영이란 조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
조직의 상호작용을 통해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의 목표를 성취하는 것 (효율성을 강조)
3) 교육과 행정의 관계
▶ 교육에 관한 행정: 교육보다는 행정을 우위에 두는 개념
(교육행정의 지시적 통제적 측면을 강조)
▶ 교육을 위한 행정: 행정보다는 교육을 우위에 두는 개념
(교육행정의 지원적, 조성적 측면을 강조)
추천자료
교육행정 및 교육 경영- 교육기획론
[교육]교육행정및 교육경영 보고서
교육행정및경영4공통) 여러학자의 행정과정 참작 교육행정과정 공통요소 ①의사결정, ②기획, ③...
[교육행정및경영4공통]교육행정과정에 대한 설명 & 우리나라 학교교육에서 각 과정의 실...
[교육행정및경영4]여러학자의 행정과정 참작하여 교육행정과정의 공통요소를 찾아보면 의사결...
[교육행정및경영] 교육행정과정,교육행정과정 공통요소(의사결정, 기획, 조직, 자극, 조정, ...
[교육행정및경영] 여러 학자들이 제안한 행정과정을 참작하여 교육행정과정의 공통요소를 찾...
[2017 2학기 교육행정및경영] 대표적인 교육행정학인 과학적 관리론, 인간관계론, 체제이론 ...
(방통대 교육학 교육행정및경영4공통) 대표적인 교육행정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적 관...
교육행정및경영 2017년-과학적관리론,인간관계론,체제이론] 대표적인 교육행정학이론 과학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