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목차
1. 순환형사회에 대한 시대적 요청의 배경
2. 순환형사회이 정의
1) <순환권(공간범위)과 개방적 거버넌스>
2) <자원순환(3R)정책의 전개>
3) <생태계의 유지와 복원(resilience)>
4) <공동체의 복원>
5) <유기적 생산영역의 확장>
6) <순환형 인간상의 육성>
7) <내생적 지역순환구조>
8) <순환적 기술혁신과 제도혁신>
3. 결론 : 순환형사회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2. 순환형사회이 정의
1) <순환권(공간범위)과 개방적 거버넌스>
2) <자원순환(3R)정책의 전개>
3) <생태계의 유지와 복원(resilience)>
4) <공동체의 복원>
5) <유기적 생산영역의 확장>
6) <순환형 인간상의 육성>
7) <내생적 지역순환구조>
8) <순환적 기술혁신과 제도혁신>
3. 결론 : 순환형사회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본문내용
인간사회와 자연생태계의 존재방식이 순환구조(Circulative System)임을 발견
자연생태계의 순환: 물질순환+상태순환
경제사회에서 인간의 욕구를 충족하는 두 가지 생산방식
-유기적 생산 : 자연생태계의 순환구조에 조응하는 생산방식
:물질순환과 상태순환이 유지되는 생산방식
-기계적 생산 : 순환구조 밖에서 자연자원을 변경·개조함으로써 일어나는 생산방식
: 자연생태계를 ‘생존의 장’이 아니고 ‘원료의 저장고’로 인식.
: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폐기물과 폐열을 자연생태계로 일방적 배출
: 일방통행 사회는 기계적 생산을 통해 순환의 회로를 파괴(자연환경과 사회구조의 변형)
기계적 생산을 중심으로 구축된 일방통행 사회를 유기적 생산을 중심의 순환 사회로 전환
: 「생태 근대화론」의 등장: 생태계, 산업계를 유기적 생산방식으로 복원
: 「 사회적 경제론」의 등장: 해체된 공동체를 ‘실체적 삶’의 공간으로 복원
자연생태계의 순환: 물질순환+상태순환
경제사회에서 인간의 욕구를 충족하는 두 가지 생산방식
-유기적 생산 : 자연생태계의 순환구조에 조응하는 생산방식
:물질순환과 상태순환이 유지되는 생산방식
-기계적 생산 : 순환구조 밖에서 자연자원을 변경·개조함으로써 일어나는 생산방식
: 자연생태계를 ‘생존의 장’이 아니고 ‘원료의 저장고’로 인식.
: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폐기물과 폐열을 자연생태계로 일방적 배출
: 일방통행 사회는 기계적 생산을 통해 순환의 회로를 파괴(자연환경과 사회구조의 변형)
기계적 생산을 중심으로 구축된 일방통행 사회를 유기적 생산을 중심의 순환 사회로 전환
: 「생태 근대화론」의 등장: 생태계, 산업계를 유기적 생산방식으로 복원
: 「 사회적 경제론」의 등장: 해체된 공동체를 ‘실체적 삶’의 공간으로 복원
키워드
추천자료
국토의 문제점과 향후 계획
생태도시의 논의 및 구축방안
목재의 첨단기술이용
폐기물(쓰레기) 발생과 처리, 서울시 폐기물(쓰레기) 처리, 폐기물(쓰레기) 처리 문제, 폐기...
[빗물관리]분산형 빗물 관리와 물순환 관리, 분산형 빗물 활용, 도시 물 순환 구조 개선을 위...
[목재]목재(나무)의 종류, 목재(나무)의 구조, 목재(나무)의 수분함유, 목재(나무)의 열성능,...
[목재][나무][목재가공]목재(나무)의 특성, 목재(나무)의 분류, 목재(나무)의 구조, 목재(나...
[국토, 자원절약적 국토발전, 국토균형발전, 국토종합계획]국토와 자원절약적 국토발전, 국토...
순환형 사회와 국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