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탈피 측정 결과레포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엔탈피 측정 결과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실험제목
2)실험날짜
3)실험목적
4)시약 및 기구
5)실험결과
6)토의

본문내용

(=3개) 맞춘다. 따라서 최종계산결과도
유효숫자가 3이 되게 해주었다.
<의 측정>
①용액에 의해 흡수된 열량=(140.54g-90.95g) X 4.18J/℃g X (18.9℃-15.0℃)
=49.59g X 4.18J/℃g X 3.9℃
=808.41618J
=
→곱셈에서는 전체 유효숫자 개수가 적은 것에 맞춘다. 따라서 3.9℃에서 유효숫자가
2이므로 최종계산결과도 유효숫자가 2가 되게 해주었다.
②플라스크에 의해 흡수된 열량=90.95g X 0.85J/℃g X (18.9℃-15.0℃)
=90.95g X 0.85J/℃g X 3.9℃
=301.49925J
=
→곱셈에서는 전체 유효숫자 개수가 적은 것에 맞춘다. 따라서 3.9℃에서 유효숫자가
2이므로 최종계산결과도 유효숫자가 2가 되게 해주었다.
③반응2에서 방출된 열량=
=
→덧셈에서는 소수점 밑에 유효숫자 개수가 적은 것에(=1개) 맞춘다.
④NaOH 1mol당 반응열,
a.NaOH의 몰수=
b.=J/mol=방출된 열량/mol수
==
→나눗셈에서는 전체 유효숫자 개수가 적은 것에(=3개) 맞춘다. 따라서 최종계산결과도
유효숫자가 3이 되게 해주었다.
<의 측정>
①용액에 의해 흡수된 열량=(139.90g-91.5g) X 4.18J/℃g X (15.8℃-12.3℃)
=48.85g X 4.18J/℃g X 3.5℃
=714.6755J
=
→곱셈에서는 전체 유효숫자 개수가 적은 것에 맞춘다. 따라서 3.5℃에서 유효숫자가
2이므로 최종계산결과도 유효숫자가 2가 되게 해주었다.
②플라스크에 의해 흡수된 열량=91.05g X 0.85J/℃g X (15.8℃-12.3℃)
=91.05g X 0.85J/℃g X 3.5℃
=270.87375J
=
→곱셈에서는 전체 유효숫자 개수가 적은 것에 맞춘다. 따라서 3.5℃에서 유효숫자가
2이므로 최종계산결과도 유효숫자가 2가 되게 해주었다.
③반응3에서 방출된 열량=
=
→덧셈에서는 소수점 밑에 유효숫자 개수가 적은 것에(=1개) 맞춘다.
④NaOH 1mol당 반응열,
a.NaOH의 질량=
b.NaOH의 몰수=
c.=J/mol=방출된 열량/mol수
==
→나눗셈에서는 전체 유효숫자 개수가 적은 것에(=2개) 맞춘다. 따라서 최종계산결과도
유효숫자가 2가 되게 해주었다.
<실험오차>
오차가 생긴 원인인 3가지가 있다. 첫 번째, NaOH(s)의 경우 조해성이 강하기 때문에 공기에 노출된 순간부터 질량이 변하기 때문에 빠르게 측정하고 삼각플라스크에 넣어 주어야 했다. 빠른 속도로 무게를 맞추고 가져갔지만 완벽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 했을 것이다. 따라서 실제 질량은 이론값과 달라져서 오차가 생기게 되었다. 두 번째, 플라스크를 스티로폼 단열 용기에 넣고 뚜껑을 닫았을 때 완전히 밀폐되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삼각플라스크 내에서 발생한 중화열이 보존되지 않고 외부로 열에너지가 빠져나가게 되었고, 실험에서 동일한 단열상태를 만들어 주지 못했다. 마지막으로는 온도 측정을 했을 때 눈대중으로 대략적인 값을 측정한 것이기 때문에 오차가 생기게 되었다.
  • 가격2,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7.04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045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