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결과) 엔탈피 측정 - 목표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을 이용하여 엔탈피가 상태함수임을 확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예비+결과) 엔탈피 측정 - 목표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을 이용하여 엔탈피가 상태함수임을 확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일시

2. 제목
 - 엔탈피 측정

3. 목적

4. 이론
 * 헤스의 법칙

5. 실험방법 및 실험기구
 - 실험기구
 - 실험방법

6. 결과
 A. ∆H₄의 측정
 B. ∆H₅의 측정
 C. ∆H₆의 측정

7. 고찰
 - ∆₄ = ∆₅ + ∆₆인가?

본문내용

크게 측정되었을 가능성, 혹은 나 이 실제보다 작게
측정되었을 가능성이다. 보다 확실한 판별을 위해 이미 다른 사람들이 분석해놓은
NaOH의 용해열과 중화열을 측정해 본 결과, 용해열의 경우에는 측정값과 비슷한
결과임을 확인하였고, 중화열의 경우에는 42.59kJ/mol로 실험값보다 작음이
확인되었다. 즉, 이 실험의 오류는 중화열이 원래보다 더 많이 측정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이에 대한 원인이 무엇인지 추측해보도록 하겠다.
첫 번째로 실험시료의 농도에 문제가 있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러한 가능성은
일단 배제하겠다.
두 번째로 NaOH와 염산용액의 온도를 잘못 측정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NaOH용액의
온도를 재고, 혹시나 온도계에 묻어있는 NaOH 때문에 중화반응이 일어날 것을 염려
하여 찬물로 온도계를 씻고 염산용액의 온도를 측정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온도계의
온도가 찬물의 온도 때문에 급격히 내려갔었다. 좀 더 충분한 시간을 두고 측정하지
못했다면 원래보다 온도가 낮게 측정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좀 더 복합적이고 여러 가지 이유가 더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어찌되었든 간에,
엔탈피에 대해 눈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유익한 실험이었다.
  • 가격9,66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01.11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84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