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학습동기
I.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
II. 귀인양식
III. 자기효능감
IV. 목표지향성
* 참고문헌
I.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
II. 귀인양식
III. 자기효능감
IV. 목표지향성
* 참고문헌
본문내용
때문에 적은 노력으로 완성한 과제에 대해서는 자랑스럽게 생각하기보다는 실망이나 싫증을 느끼고, 개인의 능력은 노력 여하에 따라 변할 수 있다고 본다.
수행지향성은 과제의 수행과정보다는 결과에 초점을 맞추고 과제의 성패나 다른 사람과의 경쟁에서 이기려 하는 성향을 말한다. 정보를 단순히 암기하거나 어려움에 부딪쳤을 때 스스로 해결하려고 하기보다는 곧바로 타인에게 도움을 청하는 것과 같은 피상적 전략을 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공부를 할 때 좋은 성적을 받아서 능력 있는 사람으로 보이는 것을 중시하는 경우나, 문제를 해결할 때 많은 노력을 들이는 것은 자신의 능력이 없음을 나타낸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높을 때만 도전적 과제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자신의 능력이 부족하다고 여겨지면 극단적으로 쉽거나 어려운 과제를 선택한다.
이는 자신의 무능력을 감추거나 부정적 평가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이들은 한 번 실패하면 계속 실패할 것으로 생각하며, 과제 수행 중 어려움에 부딪치면 쉽게 포기하는 경향이 있다.
개인의 능력이란 변하지 않는 것으로 보는 경향이 강하며, 실패를 경험했을 때 쉽게 좌절하고 포기하는 경향이 있다.
청소년들은 상급학교로 진학할수록 평가를 자주 받게 되는데, 이것이 학생들의 목표지향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학교나 가정에서 숙달목표를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숙달목표를 강조하는 환경일수록 학생들은 도전적인 과제를 기꺼이 선택하고, 성취상황에서 실패를 경험하더라도 좌절하지 않고 노력한다. 이와 같은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자기효능감을 높게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은 학습동기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 참고문헌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수행지향성은 과제의 수행과정보다는 결과에 초점을 맞추고 과제의 성패나 다른 사람과의 경쟁에서 이기려 하는 성향을 말한다. 정보를 단순히 암기하거나 어려움에 부딪쳤을 때 스스로 해결하려고 하기보다는 곧바로 타인에게 도움을 청하는 것과 같은 피상적 전략을 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공부를 할 때 좋은 성적을 받아서 능력 있는 사람으로 보이는 것을 중시하는 경우나, 문제를 해결할 때 많은 노력을 들이는 것은 자신의 능력이 없음을 나타낸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높을 때만 도전적 과제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자신의 능력이 부족하다고 여겨지면 극단적으로 쉽거나 어려운 과제를 선택한다.
이는 자신의 무능력을 감추거나 부정적 평가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이들은 한 번 실패하면 계속 실패할 것으로 생각하며, 과제 수행 중 어려움에 부딪치면 쉽게 포기하는 경향이 있다.
개인의 능력이란 변하지 않는 것으로 보는 경향이 강하며, 실패를 경험했을 때 쉽게 좌절하고 포기하는 경향이 있다.
청소년들은 상급학교로 진학할수록 평가를 자주 받게 되는데, 이것이 학생들의 목표지향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학교나 가정에서 숙달목표를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숙달목표를 강조하는 환경일수록 학생들은 도전적인 과제를 기꺼이 선택하고, 성취상황에서 실패를 경험하더라도 좌절하지 않고 노력한다. 이와 같은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자기효능감을 높게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은 학습동기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 참고문헌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아동발달의 이해 -자아개념
[학습시간][학습시간 개념화][학습시간 관점][학습시간 의의][학습시간과 과제해결시간][학습...
(가정환경, 자아존중감) 가정환경 및 자아존중감과 학습된 무력감의 관계 - 저소득/ 한부모 ...
대학생의 전공 만족도와 정서,대학생활 영향,대학생의 정적 정서,대학생의 부적 정서,대학생...
국내외 유소년 축구시스템 비교를 통한 유소년 축구 육성방안
시험불안 극복기법 ; 시험불안의 정의와 원인 분석 - 시험불안극복
동기의 개념 기능 분류
동기의 종류(동기의 유형 분류)
자기효능감에 따른 행복감에 관한연구 - 학령기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간의 비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