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즉흥연주
II. 재창조 연주의 경험
III. 창작적 경험
1. 작곡활동
2. 작시활동
IV. 감상적 음악경험
* 참고문헌
II. 재창조 연주의 경험
III. 창작적 경험
1. 작곡활동
2. 작시활동
IV. 감상적 음악경험
*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하여금 지역사회와 소속그룹에 연결되도록 한다.
절정의 경험, 영적인 경험으로 자극시킨다.
음악감상을 음악치료에 활용하는 원리에는 동질성의 원칙과 이질성의 원칙이 있다. 동질성의 원칙(ISO principle)은 Altshuler(1948)에 의해 발전된 것으로 그는 우울증 환자에게서는 슬픈 음악이 즐거운 음악에 비해 빨리 자극이 되고, 조증 환자에서는 사고의 비약이 빠르기에 Allegro타입이 Andante에 비해 더욱 빠르게 잘 자극되었던 점을 발견하였다. 즉, ISO는 소리의 존재에 대한 개념, 소리의 구성이 질병 종류에 따른 각자에게 특징적인 내부의 소리현상과 감정적 일치를 가져온다는 말이다. 품질성의 원칙은 환자와 치료자 사이의 의사소통의 창구로써 치료자에 의해 행해진 음악시간과 소리가 환자의 정신적 시간과 일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동질성의 원칙과는 다른 입장에서 음악치료를 시행하는 이질성의 원칙이 있다. 이질성의 원칙은 환자가 처져 있을 때 조용한 음악을 주면 어딘지 분위기가 식어버리고 답답해져서 음악의 연속적 활동이 곤란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처져 있는 환자에게 밝은 곡을 주게 되면 분위기가 확 바뀌면서 세션이 잘 끝날 수가 있는 경우를 본다. 이런 경우를 이질성의 원칙이라고 한다. 음악치료의 실제에서, 우울한 환자에게 먼저 조용한 음악을 들려주고 나서 후반부에 밝은 곡을 들려주어서 세션을 마무리 지을 때가 있다. 이 경우는 처음에는 동질성의 원칙을 적용하고, 나중에는 이질성의 원칙을 혼용한 경우이다. 이처럼 유효하게 두 원칙을 적절히 배함하는 방법도 현명하다.
<표> 질환별로 알맞은 음악요법용 곡목
1930년대 Kansas의 Topeka에 있는 Menninger Clinic에서 약이 처방되듯이 적대감이 쌓인 환자를 위해서 음악요법이 처방된 것이 호시이며 하다보니 음악치료자는 환자의 의학적, 사회적 배경(Dynamics)을 치료목표와 더불어 알아야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 후 일본의 구루미대학에서 질환별로 알맞은 음악치료용 곡목을 처방했던 예를 위의 도표로 소개한다.
이 경우 곡목 선정은 Altshuler(1948)의 동질성 원칙을 따랐다. 그러나 이는 한 예가 있었다는 것이며 이것이 좋은 곡 선정이고 좋은 방법이니 꼭 이대로 수용적 음악치료를 시행하라는 것은 아니다.
* 참고문헌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절정의 경험, 영적인 경험으로 자극시킨다.
음악감상을 음악치료에 활용하는 원리에는 동질성의 원칙과 이질성의 원칙이 있다. 동질성의 원칙(ISO principle)은 Altshuler(1948)에 의해 발전된 것으로 그는 우울증 환자에게서는 슬픈 음악이 즐거운 음악에 비해 빨리 자극이 되고, 조증 환자에서는 사고의 비약이 빠르기에 Allegro타입이 Andante에 비해 더욱 빠르게 잘 자극되었던 점을 발견하였다. 즉, ISO는 소리의 존재에 대한 개념, 소리의 구성이 질병 종류에 따른 각자에게 특징적인 내부의 소리현상과 감정적 일치를 가져온다는 말이다. 품질성의 원칙은 환자와 치료자 사이의 의사소통의 창구로써 치료자에 의해 행해진 음악시간과 소리가 환자의 정신적 시간과 일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동질성의 원칙과는 다른 입장에서 음악치료를 시행하는 이질성의 원칙이 있다. 이질성의 원칙은 환자가 처져 있을 때 조용한 음악을 주면 어딘지 분위기가 식어버리고 답답해져서 음악의 연속적 활동이 곤란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처져 있는 환자에게 밝은 곡을 주게 되면 분위기가 확 바뀌면서 세션이 잘 끝날 수가 있는 경우를 본다. 이런 경우를 이질성의 원칙이라고 한다. 음악치료의 실제에서, 우울한 환자에게 먼저 조용한 음악을 들려주고 나서 후반부에 밝은 곡을 들려주어서 세션을 마무리 지을 때가 있다. 이 경우는 처음에는 동질성의 원칙을 적용하고, 나중에는 이질성의 원칙을 혼용한 경우이다. 이처럼 유효하게 두 원칙을 적절히 배함하는 방법도 현명하다.
<표> 질환별로 알맞은 음악요법용 곡목
1930년대 Kansas의 Topeka에 있는 Menninger Clinic에서 약이 처방되듯이 적대감이 쌓인 환자를 위해서 음악요법이 처방된 것이 호시이며 하다보니 음악치료자는 환자의 의학적, 사회적 배경(Dynamics)을 치료목표와 더불어 알아야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 후 일본의 구루미대학에서 질환별로 알맞은 음악치료용 곡목을 처방했던 예를 위의 도표로 소개한다.
이 경우 곡목 선정은 Altshuler(1948)의 동질성 원칙을 따랐다. 그러나 이는 한 예가 있었다는 것이며 이것이 좋은 곡 선정이고 좋은 방법이니 꼭 이대로 수용적 음악치료를 시행하라는 것은 아니다.
* 참고문헌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음악치료][음악치료프로그램]음악치료(음악치료프로그램)의 정의, 효과, 과정, 대상과 음악...
[음악치료]음악치료의 정의, 음악치료의 효과, 역사, 종류와 음악치료의 사례를 통해 본 음악...
[음악치료][음악치료 개념][음악치료 효과][음악치료 형태][음악치료프로그램][음악치료 사례...
[음악치료][음악치료프로그램][음악치료방법][음악치료기법][음악치료사례][음악치료 대상]음...
음악을 통한 치료 (음악치료)
게슈탈트 음악치료기법에 관하여 서술하시오.
(언어의이해 C형) 언어장애와 치료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시오
방송대 중간과제 언어의이해 C형 언어장애와 치료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