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달 정신병리
I. 발달 정신병리학
II. 다중결정론 및 발달경로
III.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 참고문헌
I. 발달 정신병리학
II. 다중결정론 및 발달경로
III.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다. 첫 번째는 위험요인의 영향을 줄이는 것으로, 예를 들어 부모가 한계설정을 분명히 해서 가정 밖에서의 행동을 통제하고, 또래관계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파악하고 지침을 제공해서 비행과 같은 부적응적 행동을 할 가능성을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로는 부정적 연쇄반응을 줄이는 것으로 강압적인 양육행동과 아동의 강압적인 반응이 서로 악순환을 밟으며 상호작용 하는 것을 중단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세 번째는 아동의 자기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다. 같은 위험요소에 노출되더라도 자기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은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부적응을 덜 보인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기회에 개방되어 있는 것도 강력한 보호요인이 될 수 있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아동기 행동장애와 행동치료 / 김명희 저 / 교육아카데미 / 200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두 번째로는 부정적 연쇄반응을 줄이는 것으로 강압적인 양육행동과 아동의 강압적인 반응이 서로 악순환을 밟으며 상호작용 하는 것을 중단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세 번째는 아동의 자기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다. 같은 위험요소에 노출되더라도 자기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은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부적응을 덜 보인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기회에 개방되어 있는 것도 강력한 보호요인이 될 수 있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아동기 행동장애와 행동치료 / 김명희 저 / 교육아카데미 / 200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