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반면 나무는 너무 착한 것 같았다. 그 이유는 소년을 엄청 사랑하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모든 것을 주었기 때문이다.
우리 옛 것에 숨은 과학!
‘5학년 2학기 때 배웠던 것이라서 읽어야겠다.’ 라는 생각 때문에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제목만 봐도 너무 지루할 것이다.’ 라는 생각을 했는데 읽어보니까 그렇게 지루하지만은 않고 왠지 재미있게 복습을 한 듯한 느낌이 들었다.
이 책에는 첨성대, 측우기, 앙부일구, 거북선 등이 소개 되었는데 이 중에서도 가장 신기했던 것은 휴대용 해시계에 대한 것들이었다.
휴대용 해시계는 손바닥에 쏙 들어갈 만한 크기의 휴대용 해시계에는 자석이 붙어 있어서 남북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만큼 정확한 시간을 알 수 있었다고 한다. 앙부일구는 장영실이 만들었는데 휴대용 해시계는 과연 누가 만들었을까? 참 궁금하다. 나는 여태까지 예전에 앙부일구를 꼭 찾아가서 봐야지만 정확한 시간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휴대용 해시계가 있는 것을 보면 이것을 가지고 다니면서 시간을 확인할 수 있어서 편리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기회가 된다면 휴대용 해시계를 직접 보고 싶다. 어디에 가면 볼 수 있을까?
우리 옛 것에 숨은 과학!
‘5학년 2학기 때 배웠던 것이라서 읽어야겠다.’ 라는 생각 때문에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제목만 봐도 너무 지루할 것이다.’ 라는 생각을 했는데 읽어보니까 그렇게 지루하지만은 않고 왠지 재미있게 복습을 한 듯한 느낌이 들었다.
이 책에는 첨성대, 측우기, 앙부일구, 거북선 등이 소개 되었는데 이 중에서도 가장 신기했던 것은 휴대용 해시계에 대한 것들이었다.
휴대용 해시계는 손바닥에 쏙 들어갈 만한 크기의 휴대용 해시계에는 자석이 붙어 있어서 남북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만큼 정확한 시간을 알 수 있었다고 한다. 앙부일구는 장영실이 만들었는데 휴대용 해시계는 과연 누가 만들었을까? 참 궁금하다. 나는 여태까지 예전에 앙부일구를 꼭 찾아가서 봐야지만 정확한 시간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휴대용 해시계가 있는 것을 보면 이것을 가지고 다니면서 시간을 확인할 수 있어서 편리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기회가 된다면 휴대용 해시계를 직접 보고 싶다. 어디에 가면 볼 수 있을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