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사회주의
(1) 사회주의란?
(2) 사회주의 형성 배경
3. 공상적 사회주의와 과학적 사회주의
(1) 공상적 사회주의
(2)과학적 사회주의
4. 사회주의의 특징
1) 사회주의적 인간관
2) 생산수단의 공유
3) 경제적 불평등의 해소
5. 사회주의의 전개와 붕괴
6. 결론 - 사회주의의 미래
2. 사회주의
(1) 사회주의란?
(2) 사회주의 형성 배경
3. 공상적 사회주의와 과학적 사회주의
(1) 공상적 사회주의
(2)과학적 사회주의
4. 사회주의의 특징
1) 사회주의적 인간관
2) 생산수단의 공유
3) 경제적 불평등의 해소
5. 사회주의의 전개와 붕괴
6. 결론 - 사회주의의 미래
본문내용
지는데다가 일을 하던 안하던 분배가 똑같으므로, 노동자들 전부가 노동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결국 생산성이 낮아지고 경제 역시 활성화 되지 못했기 때문에 소련 같은 경우(스탈린 체제일 때), 강제 노역과 집단 농업을 시킨다. 이상국가로의 발전은커녕 군주제로 역행한 꼴이 되어버린 것이다. 노동력 저하는 후에 소련을 비롯한 사회주의 진영의 몰락을 낳는다. 미국과의 데탕트가 일어난 것도, 더 이상 자급자족 하지 못하는 소련의 저하된 노동력과 산업 발달 때문이라 할 수 있다.
6. 결론 - 사회주의의 미래
앞서 살펴본 사회주의 이론은 그 사상의 배경이나 이론적 형태로 보았을 때 충분히 매력적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적용되었을 때 드러나는 모습들은 결코 그렇지 못하다. 이는 우리로 하여금 사회주의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하였다. 흔히 사회주의를 실패한 이데올로기로 생각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유와 평등, 착취로부터의 해방과 같은 사회주의의 본원적 가치는 충분히 의미 있으며 이는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와 함께 결합하여 절충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국가들은 사회주의에 자본주의가 결합된 수정자본주의를 채택하고 있다고 한다. 자유경쟁을 통해 개개인의 능력에 따라 소득을 얻되 경쟁에서 뒤떨어지거나 하는 빈곤층은 사회주의의 평등이념에 입각하여 소득을 재분배하는 것이다. 이것은 사회주의의 문제점과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절충적인 방법이다. 복잡해진 사회로 인해 경제상황도 다양한 원인으로 복잡한 형태를 띠고 있는 오늘날에 어느 한 가지 노선을 고집하는 것은 옳지 않다. 적절한 조화를 통해 결점을 보완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회주의는 비록 실패한 이데올로기로 불릴지언정 사라지지 않고 다른 자본주의와 같은 다른 형태의 사회와 결합하여 계속해서 우리 사회에 녹아있을 것이다.
**참고**
『인간을 향한 탐구』/ 조준현
『열린 사회주의 닫힌 사회주의』 / 안토니 라이트
『현대 사회와 이데올로기』 / 노병철 외3
『왜 다시 사회주의인가』 / 송병헌
『동물농장』 / 조지오웰
네이버 백과사전 / http://100.naver.com/
네이버 지식인 검색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1&dir_id=110107&eid=6MZ/c4BfRYRyyXkPWrhlVfalquV97LXN&qb=u+fIuMHWwMcgxq/CoQ==
6. 결론 - 사회주의의 미래
앞서 살펴본 사회주의 이론은 그 사상의 배경이나 이론적 형태로 보았을 때 충분히 매력적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적용되었을 때 드러나는 모습들은 결코 그렇지 못하다. 이는 우리로 하여금 사회주의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하였다. 흔히 사회주의를 실패한 이데올로기로 생각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유와 평등, 착취로부터의 해방과 같은 사회주의의 본원적 가치는 충분히 의미 있으며 이는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와 함께 결합하여 절충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국가들은 사회주의에 자본주의가 결합된 수정자본주의를 채택하고 있다고 한다. 자유경쟁을 통해 개개인의 능력에 따라 소득을 얻되 경쟁에서 뒤떨어지거나 하는 빈곤층은 사회주의의 평등이념에 입각하여 소득을 재분배하는 것이다. 이것은 사회주의의 문제점과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절충적인 방법이다. 복잡해진 사회로 인해 경제상황도 다양한 원인으로 복잡한 형태를 띠고 있는 오늘날에 어느 한 가지 노선을 고집하는 것은 옳지 않다. 적절한 조화를 통해 결점을 보완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회주의는 비록 실패한 이데올로기로 불릴지언정 사라지지 않고 다른 자본주의와 같은 다른 형태의 사회와 결합하여 계속해서 우리 사회에 녹아있을 것이다.
**참고**
『인간을 향한 탐구』/ 조준현
『열린 사회주의 닫힌 사회주의』 / 안토니 라이트
『현대 사회와 이데올로기』 / 노병철 외3
『왜 다시 사회주의인가』 / 송병헌
『동물농장』 / 조지오웰
네이버 백과사전 / http://100.naver.com/
네이버 지식인 검색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1&dir_id=110107&eid=6MZ/c4BfRYRyyXkPWrhlVfalquV97LXN&qb=u+fIuMHWwMcgxq/CoQ==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