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제품진열이 기업 매출에 미치는 영향(제품진열 방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고서] 제품진열이 기업 매출에 미치는 영향(제품진열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제품진열 방법
1. 제품진열의 5가지 원칙
2. 제품진열의 결정 요소
3. 제품진열법
Ⅲ. 제품진열 사례
1. 3대 대형 할인점의 진화형 매대 사례
2. 편의점의 제품진열 사례
3. 소비자 패턴을 이용한 제품진열 사례
참고문헌

본문내용

볼 수 있도록 매대의 높이를 기존 20cm에서 40cm로 높였다. 이마트의 경우에는 기존의 매대 진열방침을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 홈플러스의 경우 신선식품 매출이 전년 대비 10% 가까이 증가하였다.
2. 편의점의 제품진열 사례
<사례2> 편의점 물건 진열의 비밀
“국내 편의점 매장의 평균 크기는 72㎡(약 21평)입니다. 진열대 사이를 지날 때 두 사람이 오가기 힘들 정도로 작은 게 대부분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작은 매장 한곳에서 취급하는 물건의 종류는 무려 2000여종(담배 제외)이 넘습니다. 규모가 큰 매장에선 최대 3000종에 달하는 품목을 팔기도 합니다.” 중앙일보(2016.11.29.) [틴틴 경제] 편의점 물건 진열의 비밀 뭔가요?
편의점을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제품 카테고리 별로 5∼7단의 선반을 활용하여 제품을 진열하고 있다. 각 선반은 소비자가 서서도 아래의 물건을 잘 볼 수 있도록 위쪽 단은 폭이 좁고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계단식 진열대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제품 가격표 역시 20도 정도 눕혀져 있어 고객들이 가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편의점에서는 안정감을 위해 가볍고 작은 상품은 선반의 윗칸에 진열하고 무겁고 부피가 큰 상품은 아랫칸에 진열하고 있다.
3. 소비자 패턴을 이용한 제품진열 사례
<사례3> 이마트·삼성전자 기술 개발 협력
“이마트는 이르면 오는 10월부터 \'쇼핑 패턴 분석 기술\'을 도입할 예정이다. 우선 삼성전자와 공동으로 고객 동선 분석 기술 \'힛트맵\'(Heat Map)을 개발 중이다. 누가 어떤 물건을 어디서 사는지, 어느 경로로 움직이는지 등을 분석해 매장 진열과 상품 배치, 재고 관리 등에 활용한다.” 매일신문(2017.08.29.) “소비자 패턴 분석해 상품 진열”... 이마트·삼성전자 기술 개발 협력
향후 모든 매장 내에 디지털 인프라가 확충된다면 소비자들의 쇼핑 패턴을 분석한 제품진열이 가능해질 것이다. 이는 상품의 혁신을 넘는 진열의 혁신을 불러올 것이다.
참고문헌
- 마트저널(2016.08.02.) 차별화된 상품 진열로 증대되는 매출
- 헤럴드경제(2017.10.16.) ‘시선 잡아라’... ‘진화형 매대’ 3色전쟁
- 중앙일보(2016.11.29.) [틴틴 경제] 편의점 물건 진열의 비밀 뭔가요?
- 매일신문(2017.08.29.) “소비자 패턴 분석해 상품 진열”... 이마트·삼성전자 기술 개발 협력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7.31
  • 저작시기201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075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