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신분석이론에서 제시된 주요 자아방어기제에 대해 논하시오
I. 억압
II. 합리화
III. 부정
IV. 전치
V. 투사
VI. 반동형성
VII. 승화
VIII. 동일시
IX. 퇴행
* 참고문헌
I. 억압
II. 합리화
III. 부정
IV. 전치
V. 투사
VI. 반동형성
VII. 승화
VIII. 동일시
IX. 퇴행
*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모나 형제 또는 자신이 존경하는 누군가의 힘과 기질을 숭배하고 동경하고, 그들의 태도와 행동양식을 획득하여 자신도 그러한 성공을 얻고 싶어 하는 무의식적 소망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은 먼저 부모로부터, 나중에는 교사, 친구나 동료의 행동을 동일시하게 된다. 성장기의 청소년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가수나 연예인에게 열광하는 것도 일종의 동일시 현상이다.
장기간에 걸친 바람직하고 성공적인 동일시를 통하여 한 개인은 성인으로서의 개별화가 이루어져 견고한 자기주체성을 가진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동일시는 자신에게 이상적인 대상과 공생함으로써 그의 힘과 권력을 함께 누리려는 병적 동일시와는 구분되어야 한다.
IX. 퇴행(regression)
퇴행은 개인이 현재의 심리적 갈등이나 욕구좌절을 피하기 위해 이미 달성했던 이전의 발달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인격발달의 이전 단계로 후퇴하는 퇴행은 개인의 생각이나 감정 또는 행동 면에서 미성숙한 양상을 띠는 것이 그 특징이다.
대소변 가리기가 끝난 형이 동생이 출생한 후 가족들의 관심을 모두 동생에게 빼앗기면서 갑자기 오줌을 싸거나 어리광을 부리는 경우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런 경우 형은 퇴행을 통해 어렸을 때의 만족을 되찾으려는 것이다. 그리고 성인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없다고 해서 크게 울거나 신경질적으로 분노의 감정을 노골적으로 드러냄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경우도 이에 해당된다.
성장과정에서 일어나는 유아기나 아동기로의 장기적인 퇴행은 한 개인이 성인이 되어 독립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생활과 책임으로 인한 불안과 두려움을 피하게 해 준다. 퇴행은 그 목적은 적응에 있지만 파괴적인 면이 있어 한 재인의 바람직한 적응을 저해하며, 아주 심한 희행은 결국 한 개인의 인격을 황폐화시키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장기간에 걸친 바람직하고 성공적인 동일시를 통하여 한 개인은 성인으로서의 개별화가 이루어져 견고한 자기주체성을 가진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동일시는 자신에게 이상적인 대상과 공생함으로써 그의 힘과 권력을 함께 누리려는 병적 동일시와는 구분되어야 한다.
IX. 퇴행(regression)
퇴행은 개인이 현재의 심리적 갈등이나 욕구좌절을 피하기 위해 이미 달성했던 이전의 발달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인격발달의 이전 단계로 후퇴하는 퇴행은 개인의 생각이나 감정 또는 행동 면에서 미성숙한 양상을 띠는 것이 그 특징이다.
대소변 가리기가 끝난 형이 동생이 출생한 후 가족들의 관심을 모두 동생에게 빼앗기면서 갑자기 오줌을 싸거나 어리광을 부리는 경우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런 경우 형은 퇴행을 통해 어렸을 때의 만족을 되찾으려는 것이다. 그리고 성인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없다고 해서 크게 울거나 신경질적으로 분노의 감정을 노골적으로 드러냄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경우도 이에 해당된다.
성장과정에서 일어나는 유아기나 아동기로의 장기적인 퇴행은 한 개인이 성인이 되어 독립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생활과 책임으로 인한 불안과 두려움을 피하게 해 준다. 퇴행은 그 목적은 적응에 있지만 파괴적인 면이 있어 한 재인의 바람직한 적응을 저해하며, 아주 심한 희행은 결국 한 개인의 인격을 황폐화시키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