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학개론 발표계획서 - 어린이집의 환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육학개론 발표계획서 - 어린이집의 환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영유아를 위한 어린이집에서의 환경의 중요성...............1





2. 영유아를 위한 어린이집의 환경..................1~12




3. 함께 만들어 가는 영유아의 삶터....................................... 12~13





4. 마무리.................................................................................13~14

본문내용

학 영역에 놓도록 도와준다.
영유아의 질문에 귀를 기울이고 스스로 생각하여 답을 찾는 노력을 하도록 돕고 즉시 답을 주거나, 잘 모르는 것까지 대답해 주어서 잘못된 지식을 형성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알고 있는 지식을 영유아들에게 함부로 이야기하지 않는다.
(6) 수 조작 놀이 영역
-영유아가 직접 조작 경험해 봄으로써 소근육 발달과 감각 기능, 인지 발달을 돕기 위한 영역이므로 조용한 위치에 설치한다.
-수조작놀이 영역에서의 지원 전략
주사위나 판을 이용한 보드게임 자료는 활동방법을 사전에 이해한 후 영유아들이 하는 것을 도와줄 수 있다.
게임을 같이 하자고 요청할 때는 함께 한다.
영유아들은 교사가 제시한 규칙과 다른 방법으로 활동 할 수 있다.
그림 맞추기를 시작할 때 그림 맞추기 판을 한 번에 뒤집어서 조각이 요란한 소리를 내고 튀어나가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그림 맞추기를 시작할 때는 조각을 손으로 집어 밖으로 꺼내도록 한다.
2~3명 이상의 영유아들이 판이나 카드를 이용하여 활동을 할 때 누가 이겼는지 보다는 활동의 과정에 더 초점을 둔다.
놀았던 자료는 자신이 정리하도록 돕는다.
(7) 음률 영역
-음률 영역은 영유아가 편안하게 마음대로 움직일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고 활동적이며 시끄러운 영역이기 때문에 쌓기놀이나 역할 놀이 영역 가까이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영유아가 일상생활의 경험을 통해 음악과 리듬적 움직임을 경험할 수 있도록 음악적인 자극을 마련해 줄 수 있는 환경이 요구된다.
-음률 영역에서의 지원 전략
악기를 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모델을 보인다.
노래를 불러 주거나 영유아들과 함께 노래를 할 때는 정확한 음으로 노래를 들려준다.
녹음기를 바른 방법으로 사용하는지 관찰하고 사용을 어려워하는 경우에는 도와준다.
(8) 컴퓨터 영역
-컴퓨터에 관해 이루어지는 영유아의 경험은 컴퓨터 자체의 교육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체 교육과정과 조화를 이루어야 하므로 흥미 영역 중 하나로 설치되어야 한다. 이는 영유아로 하여금 컴퓨터를 끊임없이 실험 탐색하고 새로운 것을 탐색 창조하도록 허용하는 동시에 다른 영역과 자연스러운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영역간 상호 보완적 학습을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컴퓨터 영역에서의 지원 전략
소프트웨어와 연관이 있는 책을 컴퓨터 영역에 놓아 준다.
컴퓨터 영역에서 지켜야 할 약속을 잘 보이는 곳에 게시해 주고 그 약속들이 계속 바꿔 나가게 돕는다.
전선이 영유아들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잘 정리해 준다.
컴퓨터를 활용해서 출력하여 만든 작품들을 게시해 주어 작품이 존중되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
3. 함께 만들어가는 영유아의 삶터
환경은 우리로 하여금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하게해서 삶의 질에 영향을 준다. 그래서 환경이란, 단순한 물리적 의미로서가 아니라 시간이 조작되는 방법과 기대되는 역할까지 포함한다 Loris Malaguzzi-
-매일매일 많은 시간을 살아가는 어린이집은 영유아에게 안전하고 유용하며 그리고 행복해야 하는 삶터이다. 적합한 물리적 환경 구성은 영유아가 지루하지 않게 개인 저마다의 능력을 찾아내는 곳이 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4. 마무리
-퓨처라마 시즌6 에피소드19편 “Ghost in the machine”감상하고 설명을 해본다.(왜 이 만화를 보여줬을까요?, 릴라(보라색머리에 외눈여자)를 프로그램제작자라고 생각하고 보시면 재밌을 듯.)
-왜 제목이 “Ghost in the machine”인지 생각해본다.(우리나라에서는 바보상자라고 하는데 서양에서는 그 기계 안에 움직이고 있어서 영혼이 있다고 한다. TV나 컴퓨터 태블릿 따위를 뜻하는 말인 것 같은데 어린이집 일과를 마치고 영유아들이 제일 많이 하는 게 Tv시청, 어린이프로그램 시청이라 생각하고 어린이집을 벗어난 그 환경도 영유아들에게는 중요한 것인 것 같습니다.)
-릴라의 결말을 보며 건담의 철학, 비판적 결론(애니메이션이나 만화에서 너무나 당연시되는, \'싸우는 십대 주인공\' 원래는 잘못됐다는 기존 상식을 비틀어버리는 메세지를 담는다.) vs 릴라의 벌을 바라지 않는 등장인물들
-마지막 결말에 대하여 이야기 해본다.(릴라는 과연 벌을 받아야하나?)
-무한도전에서 나온 산속의 어린이집도 언급해본다.
-SBS뉴스에 나온 어린이집 관련 기사를 소개해본다.(아이 한명 당 220만원?)
- 이런 교육 민영화를 펼친 신자유주의의 대표 철의 여인 마가렛 대처는 마녀인가? 조지오웰의 ‘1984-동물농장’을 추천하는 것으로 마무리.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8.17
  • 저작시기201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093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