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IV. 참고문헌
II. 본론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고 있는 아동폭력에 대한 윤리도 시급하게 추가가 되어야한다고 생각했다. 내담자를 지킬 수 있는 대상은 주 양육자가 아닐 수 있다는 점도 생각할 필요가 있었다. 많은 아이들이 가정폭력으로 고통을 받고 있지만 여전히 신고 의무자에 대한 관심이나 격려는 부족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만약 신고를 한다고 해도 아동이 주 양육자와 떨어져서 생활하기는 어려우며, 가해자인 주 양육자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아동과 함께 살고자 한다면 쉽게 다시 가정으로 복귀가능 한 시스템을 볼 수 있다. 신고 의무자가 폭력의 정황을 발견했음에도 불구하고 조사를 받는 경우나 자신의 입지가 불리해지는 미래, 혹은 성인들과의 마찰로 불미스러운 일에 엮이고 싶지 않다는 이유로 신고하지 않을 경우에도 윤리적인 문제 발생으로 언급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물론 상담자와 치료사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사회적 제도가 중요하며 사회적으로도 문제가 되고 있는 가정폭력이 어떤 방법으로 실질적인 예방을 마련할 수 있을지 생각하는 것 또한 어쩌면 상담자나 심리치료사들이 윤리적으로 도움을 주어야하는 부분이라고 생각되었다.
IV. 참고문헌
천성문 (2015).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IV. 참고문헌
천성문 (2015).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