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channel effects vs cross-campaign effects 외 1건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ross-channel effects vs cross-campaign effects 외 1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5. Cross-channel effects vs. cross-campaign effects (설명-비교, 차이점)

6. SNS마케팅 활용의 영향요인

본문내용

친구의 페이스북이 아니라 본인의 페이스북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사람들은 기업이 자신의 브랜드로 SNS를 할 때 거기에 합류하고 연결되고자 하는 반응을 보이긴 한다. 하지만 그것이 물건의 구매로 이어지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존재한다. 물론 연구에 따르면 기업의 SNS와 개인을 연결하는 작업은 긍정적인 마케팅의 결과로 나오기는 한다. 하지만 이 부분에 있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에서는 SNS마케팅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고객을 유입시키는 것보다는 기존에 브랜드에 대해서 좋은 태도를 가지고 있는 고객들이 더 많이 브랜드에 노출되고 브랜드와 연결될 수 있는 기회를 만드는 방향이 되어야 한가도 조언한다.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는 고객의 성향과 관계없이 긍정적인 지표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 가격3,7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9.04.08
  • 저작시기201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15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