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 임상에서의 규칙
I. 효과가 있으면 수정하지 말 것
II. 지금 하고 있는 것이 효과가 없다면 다른 방법을 시도할 것
III. 단순하게 할 것
IV. 각 치료면담을 환자와의 마지막이며 유일한 시간으로 접근할 것
* 참고문헌
I. 효과가 있으면 수정하지 말 것
II. 지금 하고 있는 것이 효과가 없다면 다른 방법을 시도할 것
III. 단순하게 할 것
IV. 각 치료면담을 환자와의 마지막이며 유일한 시간으로 접근할 것
*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보게 되면 결국은 해결을 구축해 나가는 과정이 환자로 하여금 스스로 해결책을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각 치료면접이 유일할 수 있다는 것은 이러한 해결책 구축과정을 환자가 스스로 인식하게 될 때 해결책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해결중심적 접근의 또 하나의 강점으로서 치료자에게서 환자에게 문제를 해결하는 권위를 넘겨주는 것이다.
기존의 가족치료자가 해결책을 제시해 주는 관계에 있게 한다든가, 진단을 통한 개입의 성공 여부가 환자의 협조와 의지가 관련되어 있다는 관점과는 근본적으로 다르게 되는 것이다. 오히려 해결중심에서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환자의 저항이라는 것은 치료자에 대한 부정적 반응이라는 관점으로 이해하며, 이에 대한 책임은 치료자가 해결책을 구축하는 데 실패했다고 보게 되는 것이다.
* 참고문헌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이는 해결중심적 접근의 또 하나의 강점으로서 치료자에게서 환자에게 문제를 해결하는 권위를 넘겨주는 것이다.
기존의 가족치료자가 해결책을 제시해 주는 관계에 있게 한다든가, 진단을 통한 개입의 성공 여부가 환자의 협조와 의지가 관련되어 있다는 관점과는 근본적으로 다르게 되는 것이다. 오히려 해결중심에서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환자의 저항이라는 것은 치료자에 대한 부정적 반응이라는 관점으로 이해하며, 이에 대한 책임은 치료자가 해결책을 구축하는 데 실패했다고 보게 되는 것이다.
* 참고문헌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