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Ⅱ. 사례보고서(치료적 의사소통기술 적용 case study)
-간호사정, 간호중재
-Nursing Progress
III. 현장포트폴리오
Ⅱ. 사례보고서(치료적 의사소통기술 적용 case study)
-간호사정, 간호중재
-Nursing Progress
III. 현장포트폴리오
본문내용
다
대
항
목
소항목
업무수행 평가기준
4.
비판적 사고능력
4.3 간호과정 적용능력
4.3.3 계획에 따른 간호중재를 수행할 수 있다.
4.3.4 수행된 간호 결과의 목표달성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5.
교육능력
5.1 교육
5.1.1 대상자에게 요구되는 교육을 할 수 있다.
5.1.2 대상자가 교육받은 사항을 이행할 수 있다.
5.1.3 대상자에게 필요한 교육 자료를 개발할 수 있다.
5.2 정보제공
5.2.1 대상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5.3 상담
5.3.1 대상제의 문제에 대해 상담할 수 있다.
5.3.2 대상자와 치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6.
지도력
6.1 지도력
6.1.1 간호수행자로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다.
6.2 협동
6.2.1 대상자 및 건강관리팀과 협력할 수 있다.
6.3 역할 인식
6.3.1 보건의료팀 일원으로서의 역할을 인식하고 수행할 수 있다.
6.4 옹호
6.4.1 건강 옹호자로서 간호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7.
관리능력
7.1 조직이해 및 평가
7.1.1 간호부서의 조직, 구조를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다.
7.1.2 각 지위 및 부서별로 요구되는 간호사의 역할과 직무를 파악할 수 있다.
7.2 환경관리 및 안전관리
7.2.1 대상자에게 필요한 치료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7.2.2 간호단위의 안전관리를 할 수 있다.
7.3 감염관리
7.3.1 간호수행 시 감염을 최소화하는 원칙을 이행할 수 있다.
7.3.2 간호단위의 병원감염을 예방하고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다.
7.4 물품관리
7.4.1 간호수행에 있어 기구 및 물품관리를 할 수 있다.
7.5 자원활용
7.5.1 간호수행에 필요한 자원을 효과적/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7.6 입퇴원 관리
7.6.1 입퇴원 및 전동 시 필요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8.
전문직으로서의 법적윤리적 실무수행 및
실천능력
8.1 법적 실무
8.1.1 간호수행 시 법적 의무와 책임을 알고 수행할 수 있다.
8.1.2 간호수행과 관련하여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의 기반/범위를 인정할 수 있다.
8.2 윤리적실무
8.2.1 간호윤리에 기초하여 환자를 돌볼 수 있다.
8.2.2 대상자 정보에 대한 비밀을 보장할 수 있다.
8.2.3 대상자의 자기 결정권 및 간호에 참여를 최대한 보장할 수 있다.
8.3 질 관리
8.3.1 간호실무에서 질 관리를 실행할 수 있다.
8.4 전문직 역할
8.4.1 전문직 간호사로의 자세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8.5 연구
8.5.1 간호실무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데 있어 간호연구의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8.5.2 간호실무 중심의 연구 활동에 기여할 수 있다.
3. 실습일지
실습 일지
실 습 일
년 월 일 화요일
Duty
DAY
실습기관
실습병동
학 번
성 명
실습내용
(시간
순으로
기록)
7시에 신생아실에 도착하여 인계를 듣고 나서 정상아실로 가게 되었다.
정상아실에는 두명의 아이가 있었는데 한 아기는 건강한 정상아였고 한 아이는 옥시메트리를 달고 있었다. 아기의 아침목욕을 끝내고, 아이 엄마가 모유수유를 하러 모자동실로 오셔서 그 쪽으로 아이를 보내었다.
8시 40분쯤에 오늘 출생한 새로운 아이가 들어와서 분만 건강력 인계 후 비타민 K를 근육주사로 투여하고, 아기의 머리와 가슴둘레를 측정하고 대천문, 소천문 확인, 손가락과 발가락 개수 확인, 입 안에 이물질을 확인하고 흡인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suction을 하고 제대확인 등을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기의 베지넷이 만들어질 때 까지 보온유지를 위해 천으로 덮어두었다. 9시 v/s을 측정하고 notify 하고나서, 11시쯤에 오늘 분만된 아기가 또 신생아실로 오게 되었다. 이 아기는 정말 바로 분만 된 것처럼 머리와 몸에 피가 조금씩 묻어있고 태지가 뚜렷하게 보여서 신기하였다. 아까와 똑같은 방법으로 아기를 사정하고 보온유지를 해주었다. 새로 병동으로 온 아기들의 베지넷과 이름표 등이 다 준비되어 옷을 입히고 베지넷에 눕히고 나서 아기의 머리를 조심스럽게 만져보면서 대천문과 소천문을 확인해보았는데 눈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손으로 섬세하게 만져보니 어디에 위치하는지 알 수 있었다. 1시 면회시간이 되어, 창문의 블라인드를 올려서 신생아 면회를 도왔다. 그리고 아기 feeding을 하는데 이제 처음보다는 능숙해지고 자세도 아기가 편하게 느끼도록 뒷목쪽을 잡고 비스듬히 우유를 줄 수 있었다. 그리고 아기가 울 때 처음에는 당황스러웠지만 가슴을 토닥여주거나 입 주위를 톡톡 두드리거나 좌위를 취하게 하여 등을 두드리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게되었다.
실습평가
아기에게 간호수행을 할 때, 한 아기에서 다른 아기로 옮겨갈 때마다 손 소독제를 사용하고 v/s기구를 소독솜으로 매번 닦는 등 감염예방을 철저히 잘 하였고 정확한 방법으로 활력징후와 신체측정을 하였다. 하지만 임상검사결과 등을 사정하는 지식이 부족해 분석하는데 미흡하였고, 아기와의 의사소통에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
건의사항
(학교/실습기관)
-
실습지도교수 : (인)
4. 자가평가표
현장실습 자가평가표
교과목:아동간호학실습Ⅰ
학 년
학 번
성 명
평가
문항
평가
영역
평 가 내 용
평 가
A
(1)
B
(0.5)
C
(0)
비고
1
지식
나는 정상 신생아와 미숙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2
나는 신생아 Apgar 점수 영역과 결과를 해석할 수 있다.
3
나는 신생아 일반 및 특수간호에 대한 나의 지식이 향상되었다고 생각하다.
4
기술
나는 신생아 및 영아에게 정확하게 신체검진(physical assessment)을 수행할 수 있다.
5
나는 신생아 및 영아를 사정하고 비정상인 경우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6
나는 신생아 및 영아에 대한 일반 및 특수간호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7
태도
나는 신생아에게 즉각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인격체로서 존중하였다.
8
나는 실습에 적극적으로 임하며 시간을 철저히 준수하였다.
9
나는 의료팀원과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하며 협조하였다.
10
나는 실습과 집담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 산출방법: 각 항목별 1점 만점 기준(총점:10점)
총 점
(점)
비 고
대
항
목
소항목
업무수행 평가기준
4.
비판적 사고능력
4.3 간호과정 적용능력
4.3.3 계획에 따른 간호중재를 수행할 수 있다.
4.3.4 수행된 간호 결과의 목표달성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5.
교육능력
5.1 교육
5.1.1 대상자에게 요구되는 교육을 할 수 있다.
5.1.2 대상자가 교육받은 사항을 이행할 수 있다.
5.1.3 대상자에게 필요한 교육 자료를 개발할 수 있다.
5.2 정보제공
5.2.1 대상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5.3 상담
5.3.1 대상제의 문제에 대해 상담할 수 있다.
5.3.2 대상자와 치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6.
지도력
6.1 지도력
6.1.1 간호수행자로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다.
6.2 협동
6.2.1 대상자 및 건강관리팀과 협력할 수 있다.
6.3 역할 인식
6.3.1 보건의료팀 일원으로서의 역할을 인식하고 수행할 수 있다.
6.4 옹호
6.4.1 건강 옹호자로서 간호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7.
관리능력
7.1 조직이해 및 평가
7.1.1 간호부서의 조직, 구조를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다.
7.1.2 각 지위 및 부서별로 요구되는 간호사의 역할과 직무를 파악할 수 있다.
7.2 환경관리 및 안전관리
7.2.1 대상자에게 필요한 치료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7.2.2 간호단위의 안전관리를 할 수 있다.
7.3 감염관리
7.3.1 간호수행 시 감염을 최소화하는 원칙을 이행할 수 있다.
7.3.2 간호단위의 병원감염을 예방하고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다.
7.4 물품관리
7.4.1 간호수행에 있어 기구 및 물품관리를 할 수 있다.
7.5 자원활용
7.5.1 간호수행에 필요한 자원을 효과적/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7.6 입퇴원 관리
7.6.1 입퇴원 및 전동 시 필요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8.
전문직으로서의 법적윤리적 실무수행 및
실천능력
8.1 법적 실무
8.1.1 간호수행 시 법적 의무와 책임을 알고 수행할 수 있다.
8.1.2 간호수행과 관련하여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의 기반/범위를 인정할 수 있다.
8.2 윤리적실무
8.2.1 간호윤리에 기초하여 환자를 돌볼 수 있다.
8.2.2 대상자 정보에 대한 비밀을 보장할 수 있다.
8.2.3 대상자의 자기 결정권 및 간호에 참여를 최대한 보장할 수 있다.
8.3 질 관리
8.3.1 간호실무에서 질 관리를 실행할 수 있다.
8.4 전문직 역할
8.4.1 전문직 간호사로의 자세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8.5 연구
8.5.1 간호실무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데 있어 간호연구의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8.5.2 간호실무 중심의 연구 활동에 기여할 수 있다.
3. 실습일지
실습 일지
실 습 일
년 월 일 화요일
Duty
DAY
실습기관
실습병동
학 번
성 명
실습내용
(시간
순으로
기록)
7시에 신생아실에 도착하여 인계를 듣고 나서 정상아실로 가게 되었다.
정상아실에는 두명의 아이가 있었는데 한 아기는 건강한 정상아였고 한 아이는 옥시메트리를 달고 있었다. 아기의 아침목욕을 끝내고, 아이 엄마가 모유수유를 하러 모자동실로 오셔서 그 쪽으로 아이를 보내었다.
8시 40분쯤에 오늘 출생한 새로운 아이가 들어와서 분만 건강력 인계 후 비타민 K를 근육주사로 투여하고, 아기의 머리와 가슴둘레를 측정하고 대천문, 소천문 확인, 손가락과 발가락 개수 확인, 입 안에 이물질을 확인하고 흡인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suction을 하고 제대확인 등을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나서 아기의 베지넷이 만들어질 때 까지 보온유지를 위해 천으로 덮어두었다. 9시 v/s을 측정하고 notify 하고나서, 11시쯤에 오늘 분만된 아기가 또 신생아실로 오게 되었다. 이 아기는 정말 바로 분만 된 것처럼 머리와 몸에 피가 조금씩 묻어있고 태지가 뚜렷하게 보여서 신기하였다. 아까와 똑같은 방법으로 아기를 사정하고 보온유지를 해주었다. 새로 병동으로 온 아기들의 베지넷과 이름표 등이 다 준비되어 옷을 입히고 베지넷에 눕히고 나서 아기의 머리를 조심스럽게 만져보면서 대천문과 소천문을 확인해보았는데 눈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손으로 섬세하게 만져보니 어디에 위치하는지 알 수 있었다. 1시 면회시간이 되어, 창문의 블라인드를 올려서 신생아 면회를 도왔다. 그리고 아기 feeding을 하는데 이제 처음보다는 능숙해지고 자세도 아기가 편하게 느끼도록 뒷목쪽을 잡고 비스듬히 우유를 줄 수 있었다. 그리고 아기가 울 때 처음에는 당황스러웠지만 가슴을 토닥여주거나 입 주위를 톡톡 두드리거나 좌위를 취하게 하여 등을 두드리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게되었다.
실습평가
아기에게 간호수행을 할 때, 한 아기에서 다른 아기로 옮겨갈 때마다 손 소독제를 사용하고 v/s기구를 소독솜으로 매번 닦는 등 감염예방을 철저히 잘 하였고 정확한 방법으로 활력징후와 신체측정을 하였다. 하지만 임상검사결과 등을 사정하는 지식이 부족해 분석하는데 미흡하였고, 아기와의 의사소통에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
건의사항
(학교/실습기관)
-
실습지도교수 : (인)
4. 자가평가표
현장실습 자가평가표
교과목:아동간호학실습Ⅰ
학 년
학 번
성 명
평가
문항
평가
영역
평 가 내 용
평 가
A
(1)
B
(0.5)
C
(0)
비고
1
지식
나는 정상 신생아와 미숙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2
나는 신생아 Apgar 점수 영역과 결과를 해석할 수 있다.
3
나는 신생아 일반 및 특수간호에 대한 나의 지식이 향상되었다고 생각하다.
4
기술
나는 신생아 및 영아에게 정확하게 신체검진(physical assessment)을 수행할 수 있다.
5
나는 신생아 및 영아를 사정하고 비정상인 경우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6
나는 신생아 및 영아에 대한 일반 및 특수간호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7
태도
나는 신생아에게 즉각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인격체로서 존중하였다.
8
나는 실습에 적극적으로 임하며 시간을 철저히 준수하였다.
9
나는 의료팀원과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하며 협조하였다.
10
나는 실습과 집담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 산출방법: 각 항목별 1점 만점 기준(총점:10점)
총 점
(점)
비 고
추천자료
아동간호학 실습 case study-박테리아성 뇌수막염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 폐렴(Pneumonia),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문헌고찰
아동간호학 case study 천식(asthma)
[아동간호학] 급성기관지염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폐렴 환자 사례 보고서 - 의학적 진단...
PED 소아과 입원아동 간호사례연구 수족구병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case study-급성기관지염
아동간호학) Bronchial Asthma(기관지 천식) 케이스 스터디, 기관지 천식 케이스, 천식 케이...
폐렴 케이스스터디, 피부반응 검사, 폐기물관리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