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심부전 간호과정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심부전 간호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p. 1 - 4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p. 1
2. 문헌고찰 --------------------------------------------------------- p. 1 - 4

Ⅱ. 간호과정 -------------------------------------------------------- p. 4
# 심박출량 감소 ----------------------------------------------------- p. 5 -11
# 체액과다 -------------------------------------------------------- p. 11- 15
# 가스교환장애 ---------------------------------------------------- p. 15 - 19

Ⅲ. 결론 --------------------------------------------------------------- p. 20
1. 느낀 점 ------------------------------------------------------------- p. 20
2. 참고문헌 ------------------------------------------------------------- p. 20

본문내용

ide계 이뇨제는 효과가 없다.)
→ 치료의 반응을 사정하기 위해 이뇨제의 치료적 효과를 사정한다.
- 체액 상태를 사정하기 위해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
- 폐부종을 사정하기 위해 호흡곤란의 증상과 호흡양상을 관찰한다.
- 치료효과를 사정하기 위해 매일 아침 체중을 측정하고 체중의 변화경향을 관찰한다.
- 과도한 전해질 소실을 사정하기 위해 이뇨제 투여 후 칼륨수치를 관찰한다.
- 치료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가능하다면 CVP, MAP, PAWP를 포함한 혈액 역동학적 상태를 관찰한다.
- 치료의 반응을 사정하기 위해 말초부종의 변화를 모니터한다.
- 환자가 호흡곤란이 없고, 자세를 취할 수 있다면 주기적으로 횡와위로 휴식을 취하도록 격려한다. (편평하게 눕는 것은 정맥귀환을 촉진시켜 심박출과 신혈류의 증가를 가져오는데, 이는 사구체 여과율을 증가시키고 이뇨를 촉진시킨다.)
10) 심호흡, 기침, 체위변경을 격려하고 중요성을 교육한다.
→ 산소공급과 기도청결을 촉진시킨다.
- 정담미디어 성인간호학 상권 p.843
11) 스트레스 및 손상위험의 감소
→ 심실의 박출을 증가시키고 심근의 작업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신체적, 정서적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야 한다. 적절한 휴식은 심부전 관리의 첫 단계로서 이뇨를 증진시키고 심박동수를 낮추며, 호흡곤란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약물(ACEI, 이뇨제, 베타차단제 등)의 요구량을 증가시킨다.
- 정담미디어 성인간호학 상권 p.840
[외과관리]
심장 재동기화
- 좌심실 박출률이 저하된 심부전환자(NYHA Ⅲ,Ⅳ 심부전환자, 박출계수 35%미만인 심부전 대상자)의 심실 수축의 동기화 개선, 승모판막 역류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좌우 심실에 박동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전기 충격을 주어 심실이 정상 수축 주기에 수축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삽입형 제세동기
- 경증 및 중증도 NYHA Class Ⅱ,Ⅲ 심부전 특히 약물치료 중에서도 심실박출량이 30~35% 미만인 경우 돌연사를 감소할 수 있다.
좌심실 보조장치
- 기계적 순환보조의 목적은 박출력이 저하된 심실의 압력을 낮추고 심근의 부담을 덜어주며 산소요구량을 감소시켜, 신체기관의 기능유지를 위한 적절한 전신관류를 유지하는 것이다. 심부전 대상자에게 가장 흔히 적용되는 두 가지 경우는 심실보조장치(ventricular assist devices, VAD)를 심장이식 전 단계로 사용하는 것과 영구적인 보조장치로 사용하는 것이다. 심실보조장치는 심장이 회복되거나 이식될 때까지 혈액순환을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이 장치는 우심실, 좌심실 혹은 양 심실을 모두 보조할 수 있다. 심실 보조장치의 합병증은 출혈, 용혈, 혈전색전증, 감염, 여러신체기관의 부전 등이다.
전통적 심실보조장치로서 약 10일 정도 단기간 적용 가능한 비박동성 펌프(nonpulsatile pump)가 사용되어 왔으나, 종말기관의 기능부전, 혈전색전성 합병증 및 고용량 항응고제를 사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사용빈도가 감소하고 있다.
전체 인공심장(total artificial heart)은 심혈관계를 완벽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심장의 모든 운동들이 가능하다. 합병증은 감염, 혈색전증 및 기계고장의 가능성 등이다.
체외막산화기(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는 주로 단기적으로 혈액학적 상태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사용한다. 이 장치는 하대정맥의 혈액을 산화기에 연결된 원심펌프(centrifugal pump)로 이동시킨다. 산화된 혈액은 대퇴동맥을 통해 다시 대상자의 신체로 전달된다. 장기간(48시간 이상)의 사용은 회복을 지연시키며, 항응고제 치료가 시행됨에 따라 출혈의 문제가 대두될 수 있다.
심근성형술
- 심장이식 적응증에는 해당되지 않으며 심박출량이 낮은 대상자에게는 저하된 심장기능을 보조해 주기 위해 심근성형술을 시행한다. 심근성형술(cardiomyoplasty)은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활배근(latissimus dorsi muscle)에 심실수축기 동안 전기적인 자극을 전달하는 것이다. 심장기능과 혈액학적 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심박동기(pulse generator)가 작동할 때(2~3주 이내)까지는 심박출량을 유지하기 위해서 심장수축제와 혈관수축제를 투여한다.
심장이식
- 심장이 비가역적으로 손상되거나 적절히 기능할 수 없을 때 혹은 대상자가 죽음에 직면했을 때, 심장을 대치하거나 보조해주는 심장이식(heart transplantation)이나 인공심장이 마지막 중재로 시뙨다. 사이클로스포린()이 개발되고 최근에 FK-506과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이 추가로 개발되어 공여자의 심장을 잘 보존할 수 있게 되면서 심장이식이 치료방법으로 선택되고 있다. 이식후 1년 생존율은 약 85% 이상이다. 이식이 모든 대상자에게 적합한 것은 아니지만, 일부 경우에는 선택 가능한 유일한 치료가 되기도 한다.
Ⅲ. 결론
1. 느낀 점
모든 심장질환의 맨 마지막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심부전에 대해 케이스를 하면서 조금 알 것 같았던 심부전에 대해 더 심오하고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어떤 장기이던 ‘부전’ 해야할 기능을 하지 못하다는 것은 신체에 많은 영향을 주지만, 특히 전신에 혈액을 박출하는 역할을 하는 심장의 기능부전은 제일 중요한 기관 중에 하나라고 생각한다. 심부전의 치료에 필요한 약물이나 치료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대상자의 선행된 심질환의 관리와 이 심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흡연, 스트레스, 운동 등의 환자 스스로의 관리 또한 교육하는 간호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느꼈으며, 더 나아가 실습에서 혹은 임상간호사가 되어서 교육과 상담을 맛깔나게 하는 간호사가 되고 싶다. 이번 과제가 지금까지 했던 과제 중에 제일 많은 공부를 하게 되었고, 끊임없이 부족함을 채워가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2.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상 제 5판, 전시자 외, 현문사 (2011)
- 성인간호학 하권 제 6판, 조경숙 외, 현문사 (2013)
- 성인간호학 상권, 이영휘 외, 정담미디어 (2013)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9.09.26
  • 저작시기201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35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