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복더위에 떨어진 기력을 보충하기 위하여 보양식으로 닭고기를 섭취하곤 한다 덜 익힌 가금류에 증식하여 식중독을 일으키는 식중독균 한 종을 선정하고 그 균의 특징 및 증상을 설명하시오 최근 5년간 우리나라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복더위에 떨어진 기력을 보충하기 위하여 보양식으로 닭고기를 섭취하곤 한다 덜 익힌 가금류에 증식하여 식중독을 일으키는 식중독균 한 종을 선정하고 그 균의 특징 및 증상을 설명하시오 최근 5년간 우리나라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살모넬라균의 개념
3. 살모넬라균의 특징
4. 살모넬라균의 증상
5. 국내 살모넬라균 식중독 발생 추이
6. 식중독 예방교육
7. 살모넬라균에 의한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예방법
8. 결론
9. 참고 자료

본문내용

치료보다는 예방에 역점을 두어 관리하는 것이 인적, 물적으로 그 파급효과를 최소화 하는 가장 유효한 대처방안이다.
7. 살모넬라균에 의한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예방법
살모넬라균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균돈과 오염된 사료가 중요한 전염원이기 때문에 사료위생이 중요하며 스트레스, 영양결핍, 합병증 등이 발병원인이 됨으로 철저한 위생적 사양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겨울철의 보온과 여름철의 통풍, 환기, 설사변 등 분뇨의 신속한 제거, 정기적인 축사소독, 이환축의 신속한 격리 등을 통해서 본병을 효과적 예방할 수 있다.
살모넬라균은 우리 주변 환경에 널리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모든 살모넬라를 제거하기란 불가능한 상태이다. 도살장의 시설 전체가 높은 수준으로 오염되었다면 식육 등의 오염을 완전히 방지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식육으로부터 살모넬라 오염을 확산시키지 않기 위하여 저온유통을 철저히 하여 살모넬라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수단이다. 따라서 음식물 제공자나 소비자는 오염 우려가 있는 음식물에 대하여 가열 조리를 철저히 함과 아울러 조리 후 2차 오염 방지와 함께 증식 기회를 주지 않기 위하여 조리식품은 가급적 빨리 먹는 것이 바람직하다.
8. 결론
살모넬라증을 임상 증상만으로 진단하는 것은 곤란하다. 진단은 오로지 대변, 혈액, 요, 기타 검체에서 살모넬라를 분리하는 것이다. 대변의 직접 경검에서는 제법 다수의 백혈구를 볼 수 있으나, 혈청응집가의 측정과 똑같은 진단 의의는 크다.
살모넬라에 의한 급성위장염은 숙주나 혈청에도 좌우되나, 일반적으로 경증으로 사람에서 사람으로 옮기는 것은 아니지만 병원에서는 사람끼리의 옮김도 세밀히 관찰된다. 특히, 신생아실 및 소아과병동이다. 우선 대증요법으로 수분보급과 전해질 관리를 하면 서서히 회복한다. 항생제의 투여는 분리균이 투여하는 항생제에 감수성을 나타낸 경우에도, 치료에 무익일 뿐만 아니라 오히려 살모넬라의 균 배출을 연장시킨다. 유아에 대한 항생제 투여의 이중 맹검 테스트에서도 투여군의 53%에서 균의 재배출이 인정되고, 그 위에 1/3에는 설사의 재발이 관찰되었다고 한다. 또 분리균의 약제내성의 획득, 급성위장염 또는 단순한 보균이 균혈증을 수반한 전신증상으로의 변화 등, 장점은 볼 수가 없다. 티푸스증에서는 클로람페니콜(CP)의 정맥주사, CP내성균에는 암피실린(ABAC)의 정맥주사, 설파메소키사졸트리메토프림 합제(ST합제)의 경구 투여가 권장된다. 건강보균자에 대한 항생제의 투여는 전혀 의미가 없다.
살모넬라균에 대한 면역형성은 일반적으로 사균보다는 생균백신이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따라서 균을 인공적으로 조작하여 순화된 변이주를 작성하여 백신으로 사용하려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약물투약에 의한 예방목적으로 효과있는 설파제를 사료나 인공유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치료시에는 분리된 원인균에 대한 약제 감수성시험을 통하여 효과적인 약제를 선발 투약하고 대증요법을 병행 실시한다. 그러나 살모넬라균의 특성이 치료약제로는 완치가 어렵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왜냐하면 약물이 못미치는 숙주의 세포내로 기생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치료보다는 감염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9. 참고 자료
이성모, 김정희, 인천지경 닭도축장에서 분리된 Salmonella spp. 의 항생제 내성 및 FGE 패턴 분석 ,한국가축위생학회지, 32(4): 325~334, 2014.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2018).식품위생교육.식품안전관리팀.
김선옥 (2015).병원급식 조리종사자들의 위생관리 수행도 및 위생지식에 대한 비교분석.가톨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서울.
정병열, 이강록, 김용환, 소와 돼지 유래 Salmonella 속 균의 혈청형 및 약제 감수성, 가축위생학회지, 32(1): 49~59, 2015.
고주희 (2016).최근 집단식중독 발생현황과 단체급식소의 위생관리 방안에 관한 연
구.울산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상별 맞춤형 식중독 예방 교육 콘텐츠 개발 연구 (2013).서울:식품의약품안전청.
대형접객업소의 위생수준 제고방안 연구 (2015).서울:식품의약품안전청
유경애. 2016. 학교급식 식중독 저감화를 위한 HACCP 시스템 운영과 식재료 규격기준 실행 시 장애요인 인지도 조사. 연세대학교교육대학원.
김기석, 도계과정에서의 Salmonella 속 균의 오염에 대하여,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26(3): 195~250, 2016.
  • 가격3,9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9.26
  • 저작시기201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35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