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포타슘의 평형반응에서 H+농도에 따른 변화에 대해 고찰해보자.
K2Cr2O7의 이온화과정 : Cr2O72- + H2O ↔ 2HCrO4- ↔ 2CrO42- + 2H+
K2Cr2O4 수용액에 HCl을 떨어뜨리면 H+농도가 증가해 역반응이 우세하게 진행되어 Cr2O72- 양이 증가하고 CrO42- 의 양이 감소해 주황색을 띠게된다. 또, K2Cr2O7 수용액에 NaOH를 떨어뜨리면 H+가 OH-와 반응하여 H+농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정반응이 우세하게 진행되어 Cr2O72- 양이 감소하고 CrO42-의 양이 증가해서 용액이 노란색을 띠게 된다.
4. 코발트(Ⅱ)이온 착물의 가열-식힘에 따른 변화에 대해 고찰해보자.
[Co(H2O)6]2+ + 4Cl- ↔ CoCl42- + 6H2O
화학평형에서 생성물 쪽 농도가 옅어지면 정반응이 우세해져 푸른색이 되는데, 이 반응은 흡열반응이므로, 가열 시 정반응이 우세해져 푸른색이 된다. 또, 가열을 멈추고 식히게 됨에 따라 역반응이 보다 우세해져 다시 분홍색으로 돌아가게된다.
Ⅶ논의 및 고찰
가역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반응을 이용하여 르샤틀리에의 원리를 눈으로 확인하는 실험을 하였다. 이때의 진행되는 방향은 항상 쌍방향이나 정반응의 물질의 농도가 진하면 정반응이 더 활발히 일어나고 반대의 경우 역반응이 더 활발히 일어난다. 이러한 원리를 색 변화를 통해 보게 되니 신기했다. 또한, 염화코발트를 농도를 통해하는 실험을 찾아보았는데, 그 실험에서 황산을 넣어주는 이유가 수분을 흡수하게 하기 위해서임을 알게 되었고, 기회가 된다면 농도를 통해하는 실험 또한 해보고싶다.
K2Cr2O7의 이온화과정 : Cr2O72- + H2O ↔ 2HCrO4- ↔ 2CrO42- + 2H+
K2Cr2O4 수용액에 HCl을 떨어뜨리면 H+농도가 증가해 역반응이 우세하게 진행되어 Cr2O72- 양이 증가하고 CrO42- 의 양이 감소해 주황색을 띠게된다. 또, K2Cr2O7 수용액에 NaOH를 떨어뜨리면 H+가 OH-와 반응하여 H+농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정반응이 우세하게 진행되어 Cr2O72- 양이 감소하고 CrO42-의 양이 증가해서 용액이 노란색을 띠게 된다.
4. 코발트(Ⅱ)이온 착물의 가열-식힘에 따른 변화에 대해 고찰해보자.
[Co(H2O)6]2+ + 4Cl- ↔ CoCl42- + 6H2O
화학평형에서 생성물 쪽 농도가 옅어지면 정반응이 우세해져 푸른색이 되는데, 이 반응은 흡열반응이므로, 가열 시 정반응이 우세해져 푸른색이 된다. 또, 가열을 멈추고 식히게 됨에 따라 역반응이 보다 우세해져 다시 분홍색으로 돌아가게된다.
Ⅶ논의 및 고찰
가역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반응을 이용하여 르샤틀리에의 원리를 눈으로 확인하는 실험을 하였다. 이때의 진행되는 방향은 항상 쌍방향이나 정반응의 물질의 농도가 진하면 정반응이 더 활발히 일어나고 반대의 경우 역반응이 더 활발히 일어난다. 이러한 원리를 색 변화를 통해 보게 되니 신기했다. 또한, 염화코발트를 농도를 통해하는 실험을 찾아보았는데, 그 실험에서 황산을 넣어주는 이유가 수분을 흡수하게 하기 위해서임을 알게 되었고, 기회가 된다면 농도를 통해하는 실험 또한 해보고싶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