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외국의 자원봉사 역사와 발달과정(영국, 미국, 일본의 자원봉사활동 발전과정)
I. 고대
II. 영국
1. 기초기 : 비조직화시기(16세기~18세기 말)
2. 형성기 : 민간 차원의 조직화시기(19세기~1900년)
3. 확대기 : 정부주도하의 육성시기(1905~1978년)
4. 재정립기 : 공, 사 협력시기(1979년~현재)
III. 미국
1. 기초기 : 비조직화시기(1600년대~18세기 말)
2. 형성기 : 민간 차원의 조직화시기(19세기~1950년 말)
3. 확대기 : 정부주도하의 육성시기(1950년~1990년)
4. 재정립기 : 공, 사 협력기(1991년~현재)
IV. 일본
1. 기초기 : 비조직화시기(1950년대 이전)
2. 형성기 : 민간 차원의 조직화시기(1950~1971년)
3. 확대기 : 정부주도하의 육성시기(1972년~1990년)
4. 재정립기 : 공, 사 협력시기(1991년~현재)
* 참고문헌
I. 고대
II. 영국
1. 기초기 : 비조직화시기(16세기~18세기 말)
2. 형성기 : 민간 차원의 조직화시기(19세기~1900년)
3. 확대기 : 정부주도하의 육성시기(1905~1978년)
4. 재정립기 : 공, 사 협력시기(1979년~현재)
III. 미국
1. 기초기 : 비조직화시기(1600년대~18세기 말)
2. 형성기 : 민간 차원의 조직화시기(19세기~1950년 말)
3. 확대기 : 정부주도하의 육성시기(1950년~1990년)
4. 재정립기 : 공, 사 협력기(1991년~현재)
IV. 일본
1. 기초기 : 비조직화시기(1950년대 이전)
2. 형성기 : 민간 차원의 조직화시기(1950~1971년)
3. 확대기 : 정부주도하의 육성시기(1972년~1990년)
4. 재정립기 : 공, 사 협력시기(1991년~현재)
* 참고문헌
본문내용
회봉사법(National and Community Service Act)이 제정되어 자원봉사활동을 위한 법적 지위가 강화되었으며, 1993년에는 클린턴 행정부가 전국자원봉사트러스트법을 새로이 제정하여 자원봉사활동의 적극적 참여를 강화하였다.
IV. 일본
(1) 기초기: 비조직화시기(1950년대 이전)
일본은 명치유신 이후 신분폐지, 교육보급 등으로 자원봉사활동이 성장할 사회적 기반이 정비되었다. 일본의 자원봉사활동이 시작된 것은 패전 후 국가의 공권력에만 의존할 수 없는 혼란한 상황에서 자발적인 지역 활동이 시작되면서부터이다. 패전 후 부상자의 원호, 부랑자의 보호를 필두로 하여 1947년에는 \'공동모금\', \'BBS운동\'이 시작되었고, 그 후 워크캠프(Workcamp) 활동, 학생인보관운동이 시작되었다.
(2) 형성기: 민간 차원의 조직화시기(1950~1971년)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자원봉사활동이 행해졌고, \'전국부모연락회\', \'전국중중심신장애아(인)을 지키는 모임\' \'전국노인그룹연락회\' 등의 자원봉사조직이 조직화되기 시작하였다 1962년 이후 사회복지협의회에 선의은행의 설치, 오사카자원봉사협회, 후지자원봉사협회, 일본청년봉사협회 등 민간주도의 자원봉사사무국이 설치되어 자원봉사활동을 활발히 전개하였다. 1965년에 설립된 오사카 자원봉사협회는 최초의 민간자원봉사협회로 교육과 훈련에 주력하기 시작하였는데, 이것은 일본자원봉사학교의 전형이 되었다.
1968년에는 자원봉사활동의 일대전환기를 맞이하였다. 전국사회복지협의회에서 \'자원봉사자 육성기본요강\'을 책정하였을 뿐 아니라 전국선의은행연락협의회가 발족되어 자원봉사자의 참여를 독려하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3) 확대기: 정부주도하의 육성시기(1972년-1990년)
이 시기의 일본은 후생성이 전국사회복지협의회를 통해 자원봉사활동육성에 주력할 뿐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도 자원봉사활동을 적극적으로 육성해 나갔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지역의 여러 문제해결을 위해 자원봉사자를 육성하였고, 1975년부터는 각지에서 자원봉사자 학교가 개최되어 지역에서 활동할 자원봉사자 그룹이 생겨났다.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독립된 특별법이나 진흥법의 제정 없이 다만 정부가 위촉하는 일종의 관선자원봉사자인 민생위원제도가 민생위원법에 근거해 운영되었고, 1975년부터는 지역사회보호형, 즉 지역사회 중심의 복지시책을 추진하려고 하는 방향으로 변화해 나갔으며, 여기에 자원봉사자의 활동을 육성하였다. 자원봉사보험제도를 개시하였고, 자원봉사정보센터뉴스 발행, 시민운동, 공해반대운동, 소비자운동 등에 자원봉사자들이 참여하였다. 1979년 이후 일본형 복지사회를 구상하면서, 자원봉사활동의 활용방안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구체화되어 추진되기 시작하였다.
(4) 재정립기: 공 사 협럭시기(1991년~현재)
이 시기에 일본은 자원봉사활동이 복지 분야에 한정되지 않고 생활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분야에서 이루어졌다. 기업들도 사회적 공헌을 한다는 취지에서 자원봉사활동을 추진하는 등 국가적 차원의 자원봉사활동이 붐처럼 활성화되었다.
* 참고문헌
자원봉사 여가 및 취미생활 - 한국생애설계협회 저,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자원봉사관리론 - 최유미 저, 공동체, 2015
시민사회와 자원봉사 - 김동배 저, 학지사, 2005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자원봉사 여가 및 취미생활 - 한국생애설계협회 저, 2016
IV. 일본
(1) 기초기: 비조직화시기(1950년대 이전)
일본은 명치유신 이후 신분폐지, 교육보급 등으로 자원봉사활동이 성장할 사회적 기반이 정비되었다. 일본의 자원봉사활동이 시작된 것은 패전 후 국가의 공권력에만 의존할 수 없는 혼란한 상황에서 자발적인 지역 활동이 시작되면서부터이다. 패전 후 부상자의 원호, 부랑자의 보호를 필두로 하여 1947년에는 \'공동모금\', \'BBS운동\'이 시작되었고, 그 후 워크캠프(Workcamp) 활동, 학생인보관운동이 시작되었다.
(2) 형성기: 민간 차원의 조직화시기(1950~1971년)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자원봉사활동이 행해졌고, \'전국부모연락회\', \'전국중중심신장애아(인)을 지키는 모임\' \'전국노인그룹연락회\' 등의 자원봉사조직이 조직화되기 시작하였다 1962년 이후 사회복지협의회에 선의은행의 설치, 오사카자원봉사협회, 후지자원봉사협회, 일본청년봉사협회 등 민간주도의 자원봉사사무국이 설치되어 자원봉사활동을 활발히 전개하였다. 1965년에 설립된 오사카 자원봉사협회는 최초의 민간자원봉사협회로 교육과 훈련에 주력하기 시작하였는데, 이것은 일본자원봉사학교의 전형이 되었다.
1968년에는 자원봉사활동의 일대전환기를 맞이하였다. 전국사회복지협의회에서 \'자원봉사자 육성기본요강\'을 책정하였을 뿐 아니라 전국선의은행연락협의회가 발족되어 자원봉사자의 참여를 독려하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3) 확대기: 정부주도하의 육성시기(1972년-1990년)
이 시기의 일본은 후생성이 전국사회복지협의회를 통해 자원봉사활동육성에 주력할 뿐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도 자원봉사활동을 적극적으로 육성해 나갔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지역의 여러 문제해결을 위해 자원봉사자를 육성하였고, 1975년부터는 각지에서 자원봉사자 학교가 개최되어 지역에서 활동할 자원봉사자 그룹이 생겨났다.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독립된 특별법이나 진흥법의 제정 없이 다만 정부가 위촉하는 일종의 관선자원봉사자인 민생위원제도가 민생위원법에 근거해 운영되었고, 1975년부터는 지역사회보호형, 즉 지역사회 중심의 복지시책을 추진하려고 하는 방향으로 변화해 나갔으며, 여기에 자원봉사자의 활동을 육성하였다. 자원봉사보험제도를 개시하였고, 자원봉사정보센터뉴스 발행, 시민운동, 공해반대운동, 소비자운동 등에 자원봉사자들이 참여하였다. 1979년 이후 일본형 복지사회를 구상하면서, 자원봉사활동의 활용방안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구체화되어 추진되기 시작하였다.
(4) 재정립기: 공 사 협럭시기(1991년~현재)
이 시기에 일본은 자원봉사활동이 복지 분야에 한정되지 않고 생활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분야에서 이루어졌다. 기업들도 사회적 공헌을 한다는 취지에서 자원봉사활동을 추진하는 등 국가적 차원의 자원봉사활동이 붐처럼 활성화되었다.
* 참고문헌
자원봉사 여가 및 취미생활 - 한국생애설계협회 저,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자원봉사관리론 - 최유미 저, 공동체, 2015
시민사회와 자원봉사 - 김동배 저, 학지사, 2005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자원봉사 여가 및 취미생활 - 한국생애설계협회 저,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