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와 대기오염 레포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구온난화와 대기오염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I. 대기오염 ­­­­­­­­­­­­­­­­­­­­­­­­­­­­­­­­­­­­­­­­­­­­­­­­­­­­­­­ P.1
1.대기
2.대기오염
3.한국의 대기오염
4.대기오염의 영향
① 건강
② 환경
5.대기오염 사례
① 지속적인 대기오염
② 돌발적인 대기오염
6.대기오염 예방

II. 지구온난화 ­­­­­­­­­­­­­­­­­­­­­­­­­­­­­­­­­­­­­­­­­­­­­­­­­­ P.12
1.지구온난화
2.지구온난화 국제협약
① 도쿄의정서
② 기후변화협약

III. 참고문헌 ­­­­­­­­­­­­­­­­­­­­­­­­­­­­­­­­­­­­­­­­­­­­­­­­­­­­ P.16

본문내용

존층이 감소 등의 원인이 있지만 온실효과 이외에는 뚜렷한 원인이 밝혀지지 못했다.
지구의 연평균기온이 계속 올라감으로써 땅이나 바다에 들어 있는 각종 기체가 대기 중에 더욱 많이 흘러나올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피드백 효과는 온난화를 더욱 빠르게 진행시킬 것이다. 온난화에 의해 대기 중의 수증기량이 증가하면서 평균 강수량이 증가할 것이고 이는 홍수나 가뭄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가장 큰 문제는 해수면이 상승하는 것으로, 기온 상승에 따라 빙하가 녹으면서 이 현상이 일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2000년 7월 NASA는 지구온난화로 그린란드의 빙하가 녹아내려 지난 100년 동안 해수면이 약 23cm 상승하였다고 발표하였다. 그린란드의 빙하 두께는 매년 2m씩 얇아지고 있으며 이 때문에 1년에 500억 톤 이상의 물이 바다로 흘러 해수면이 0.13mm씩 상승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해수면 상승은 섬이나 해안에 사는 사람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특히 해안에 가까운 도시에는 대단히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인도의 벵골 호랑이는 절반 정도로 개체수가 줄었으며, 중국의 대표 동물 판다는 겨우 수백 마리만이 남아 있고, 북극곰이나 펭귄을 비롯한 여러 동식물들이 멸종위기에 처해있다. 지금과 같은 추세로 생물종이 사라진다면 20년 후에는 100만 여 종에 달하는 생물이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겨울이 사라지고 사막이 생길 수 있으며 태풍과 가뭄 등 자연재해의 강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지구온난화 국제협약
지구온난화는 1972년 로마클럽보고서에서 처음 공식적으로 지적됐다. 이후 1985년 세계기상기구(WMO)와 국제연합환경계획(UNEP)이 온실가스 중 이산화탄소가 온난화의 주범임을 선언했다. 1988년에는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이 구성되어 기후 변화에 관한 조사와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미국 의회에서 발언한 것을 계기로 지구온난화는 일반인에게도 알려졌다.
이후 1992년 6월, 브라질의 리우 회의에서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상 기후 현상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후변화협약(기후변화에 관한 국제 연합 기본 협약)\'이 채택되었다. 이 협약은 인류에 의해 발생되는 위험 요소들이 기후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대기 중 온실가스의 농도를 안정화시키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회의 참가국 178개국 중 한국을 포함해 154개국이 협약에 서명, 1994년 3월 발효, 2007년 8월 192개국이 비준한 상태다.
1995년 3월 베를린에서 개최된 1차 당사국 총회에서 협약상 감축의무만으로는 지구온난화 방지가 불충분함을 인정하고, 1997년 12월 교토에서 개최된 3차 당사국 총회에서 2000년 이후 선진국의 감축목표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교토의정서가 채택되었다. 교토의정서는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법적 구속력이 있는 국제협약으로 전 세계 국가들이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기후변화협약과 달리 감축목표 수준 및 설정방식, 교토메커니즘을 도입한 구체적인 국제협약이다.
<교토 의정서(Kyoto Protocol)>
지구 온난화의 규제 및 방지를 위한 국제 협약인 기후 변화 협약의 수정안이다. 이 의정서를 인준한 국가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여섯 종류의 온실 가스의 배출량을 감축하며, 배출량을 줄이지 않는 국가에 대해서는 비관세 장벽을 적용하게 된다.
1997년 12월에 일본의 교토에서 개최하여 제3차 당사국 총회에 채택되었으며, 2005년 2월 16일 발효되었다. 대상국은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미국, 일본, 유럽 연합 회원국 등 총 38개국이 2008년~2012년 사이에 온실 가스 배출량을 1990년 수준보다 5.2%로 감축시켜야 하고, -8~+10%의 감축 목표량을 정하여 감축대상 가스는 이산화탄소, 메테인, 이산화질소, 불화탄소, 수소화 불화탄소, 불화유황 등의 6가지가 있다.
교토 의정서는 28개조와 부속서로 이루어져 있다. 미국의 조지 W. 부시 정권과 오스트레일리아의 존 하워드 정권만이 아직까지 비준을 거부하고 있다. 양국의 환경 단체들과 특히 야당(미국 민주당, 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은 모두 이를 정면으로 비판하며, 집권 시 이 조약의 조속한 비준을 약속했다.
우리 나라는 2002년 11월에 국회가 이 조약을 비준하였으나 개도국으로 분류가 되어 이행의 의무는 아직 없다. 그러나 2008년부터는 점진적으로 이 의정서의 이행 의무를 지게 된다. 나라별로 배출을 할 수 있는 양이 정해져 있다.
<기후면화협약>
정식명칭은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 기본협약\'이고 \'리우환경협약\'이라고도 한다. 1979년 G. 우델, G. 맥도날드 등의 과학자들이 지구온난화를 경고한 후 논의를 계속했다. 1987년 제네바에서 열린 제1차 세계기상회의에서 정부간기후변화패널(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을 결성했다. 1988년 6월 캐나다 토론토에서 주요 국가의 대표들이 모여 지구온난화에 대한 국제협약 체결을 공식으로 제의했다. 1990년 제네바에서 열린 제2차 세계기후회의에서 기본적인 협약을 체결하고, 1992년 6월 정식으로 기후변화협약을 체결했다.
목적은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가스의 방출을 제한하여 지구온난화를 막는 것이다. 대표적인 규제대상 물질로 탄산·메테인가스·프레온가스 등이 있다. 협약 내용은 기본원칙, 온실가스 규제문제, 재정지원 및 기술이전문제, 특수상황에 처한 국가에 대한 고려로 구성되어 있다. 기후변화협약 체결국은 염화플루오린화탄소(CFC)를 제외한 모든 온실가스의 배출량과 제거량을 조사하여 이를 협상위원회에 보고해야 하며 기후변화 방지를 위한 국가계획도 작성해야 한다.
III.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대기 [atmosphere, 大氣] (두산백과)
서영수 ( Young Soo Seo ). 2016. 한국의 지리적 특성을 이용한 대기오염 실증 연구. 유라시아연구, 13(4) : 89-110
조광우. 2001.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주변의 해수면변화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Ⅰ. 기본연구보고서, 2001(0) : 1-107
  • 가격1,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9.10.27
  • 저작시기201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61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